목차 일부
머리말
제1장 아동학에 대한 이해
1. 아동관의 시대별 발달 과정
1) 고대사회(기원후 4세기)
2) 중세사회(4~17세기)
3) 근대사회(17~20세기)
4) 현대사회
2. 아동학에 대한 정의
3. 아동학의 학문적 특성
1) 생애발달적 관점(life-span perspective)
2) 생태학적 관점(ecological perspe...
목차 전체
머리말
제1장 아동학에 대한 이해
1. 아동관의 시대별 발달 과정
1) 고대사회(기원후 4세기)
2) 중세사회(4~17세기)
3) 근대사회(17~20세기)
4) 현대사회
2. 아동학에 대한 정의
3. 아동학의 학문적 특성
1) 생애발달적 관점(life-span perspective)
2) 생태학적 관점(ecological perspective)
3) 다학제적 접근(multidisciplinary approach)
4. 아동학의 연구 분야
1) 아동발달 이론의 주요 쟁점들
2) 아동학 관련 연구 분야
제2장 아동학 연구 방법
1. 과학적 연구의 개념 및 특성
2. 아동학 연구에 대한 기초
1) 아동학 연구의 목적
2) 아동학 연구의 과학적 절차
3. 아동학 연구의 설계 방법
1) 종단적 설계(longitudinal design)
2) 횡단적 설계(cross-sectional design)
3) 계열적 설계(cross-sequential design)
4. 아동학 연구의 유형
1) 실험 연구(experiment study)
2) 상관 연구(correlation study)
3) 사례 연구(case study)
5. 아동학 연구의 윤리적 문제
제3장 아동발달 이론
1. 발달의 개념과 원리
1) 발달의 개념
2) 발달의 원리
2. 성숙 이론
1) Rousseau(1712~1778)의 자연주의
2) Hall(1844~1924)의 발달론
3) Gesell(1889~1961)의 성숙론
3. 정신분석 이론
1) Freud(1856~1939)의 심리성적 이론
2) Erikson(1902~1994)의 심리사회적 이론
4. 학습 이론
1) Pavlov(1849~1936)의 고전적 조건화 이론
2) Thorndike(1874~1949)의 시행착오 이론
3) Watson(1878~1958)의 이론
4) Skinner(1904~1990)의 조작적 조건 형성과 강화 이론
5) Bandura(1925~)의 사회학습 이론
5. 인지발달 이론
1) Piaget(1896~1980)의 인지발달 이론
2) Vygotsky(1896~1934)의 사회문화적 인지 이론
3) Gardner(1943~ )의 다중지능 이론
6. 동물행동학 이론
1) Lorenz(1903~1989)의 각인 이론
2) Bowlby(1907~1990)의 애착 이론
7. 생태학 이론
1) Bronfenbrenner(1917~2005)의 생태적 체계이론
2) Elder(1934~ )의 생애이론
8. Maslow(1908~1970)의 자아실현 이론
제4장 아동 연령별 특성
1. 태내기의 발달
1) 생명의 시작
2) 태내 발달 단계
3) 출산
4) 태내기와 사회 환경
2. 신생아·영아기의 발달 특성
1) 신생아기의 발달
2) 영아기의 발달
3. 유아기의 발달 특성
1) 신체운동발달
2) 인지발달
3) 언어발달
4) 사회·정서발달
4. 아동기의 발달 특성
1) 신체운동발달
2) 인지발달
3) 언어발달
4) 사회·정서발달
제5장 아동교육의 이해
1. 아동교육의 개념
1) 유아교육의 개념
2) 유아교육의 목적
3) 유아교육의 중요성
2. 유아교육기관의 유형 및 특성
1) 유치원(kindergarten)
2) 어린이집(childcare-center)
3. 유아 교사의 역할과 자질
1) 유아 교사의 역할
2) 유아 교사의 자질
4. 아동기의 교육
1) 영유아 교육과정
2) 초등학교 교육과정
3)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의 연계성
4) 방과후 프로그램
제6장 부모교육
1. 부모교육의 정의
2. 부모교육의 목적
3. 부모교육의 필요성
4. 부모교육의 내용
5. 부모교육의 이론
1) Dreikurs의 민주적 부모교육 이론
2) Ginott의 인본주의적 부모교육 이론
3) Gordon의 부모효율성훈련(P.E.T.) 이론
4) 효율적 부모 역할 수행을 위한 체계적 훈련(STEP 프로그램)
5) Berne의 상호교류분석 이론(Transactional Analysis: TA)
6) 행동수정 이론
6.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1) 가정통신문
2) 개인 편지
3) 전화
4) 홈페이지
5) 지상 강좌
6) 부모 강연회
7) 개인 상담
8) 부모참여수업
9) 부모참관수업
10) 부모자원 활동(보조 교사)
11) 놀잇감 대여 및 도서관 프로그램
제7장 아동상담
1. 아동상담의 정의와 필요성
1) 정의와 특성
2) 필요성
2. 아동상담의 목표
3. 아동상담의 유형
1) 미술치료
2) 음악치료
3) 소시오드라마(sociodrama)
4) 가족상담
4. 아동상담자의 역할과 윤리
제8장 놀이치료
1. 놀이치료의 개념
2. 놀이치료의 구성 요소
1) 놀이의 치료적 가치
2) 치료자의 이론적 지식과 수련 경험
3) 아동-치료자 간 치료적 관계
3. 놀이치료의 실제
1) 정신분석 놀이치료
2) 아동중심 놀이치료
3) 인지행동 놀이치료
4. 놀이치료실과 치료 도구
제9장 장애아동 교육
1. 장애아동의 이해
1) 장애아동의 정의
2) 장애 위험 아동
2. 장애아동의 유형별 발달 특성
1) 발달지체
2) 정신지체
3) 지체장애
4) 정서·행동장애
5) 자폐성장애
6) 의사소통장애
7) 시각장애
8) 청각장애
9) 건강장애
10) 학습장애
11) 반응성 애착장애
3. 장애아동 교육
1) 장애아동 교육의 개념
2) 장애아동 교육의 현황
3) 장애아동 교육과정
4. 장애아동 통합교육
1) 통합교육의 정의
2) 통합교육과정 모형
3) 통합교육의 이점
5. 조기중재
1) 조기중재의 개념
2) 조기중재의 현황 및 실태
3) 조기중재 프로그램
4) 조기중재의 방향
제10장 아동복지
1. 아동복지의 이해
1) 아동복지의 필요성 및 개념
2) 아동복지의 정의
3) 아동권리와 아동복지
4) 아동복지의 기본조건 및 실천원칙
5) 아동복지의 대상과 서비스 분류
2. 아동복지의 접근 방법
1) 정책적 접근 방법
2) 아동복지 행정과 전달체계
3) 실천적 접근방법
3. 아동복지 실천 영역
1) 빈곤아동
2) 장애아동
3) 학대아동
4) 가정위탁, 입양, 시설보호
5) 다문화아동
4. 아동복지의 과제와 전망
1) 아동복지의 과제
2) 아동복지의 전망
제11장 아동과 환경 Ⅰ
1. 가족
1) 가족의 정의
2) 가족의 기능
2. 부모
1) 부모 양육 태도
2) 아버지
3) 맞벌이 부모
4) 학대부모
5) 부모의 행동 지침
3. 형제
4. 생태학적 접근
1) 생태도
2) 가계도
제12장 아동과 환경 Ⅱ
1. 또래
1) 또래 관계의 발달 및 기능
2) 또래 수용 유형과 특성
3) 또래 괴롭힘 및 집단따돌림
4) 원만한 또래 관계를 위한 지침
2. 대중매체
1) TV
2) 컴퓨터
3) 인터넷
4) 스마트폰
5) 휴대용 게임기
3. 보육
1) 보육의 필요성
2) 보육과 발달
3) 보육의 질
4. 조기사교육
5. 학교
6. 지역사회
참고문헌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