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현대미술 강의 : 순수 미술의 탄생과 죽음

조주연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조주연
서명/저자사항현대미술 강의 : 순수 미술의 탄생과 죽음 / 조주연 지음.
발행사항파주 : 글항아리, 2017.
형태사항453 p. : 천연색삽화 ; 21 cm.
ISBN9788967354183
서지주기참고문헌(p. 403-444), 색인(p. 445-453) 포함
기금정보주기이 저서는 2013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비통제주제어미술,순수미술,현대미술,미술강의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08155 709.04 조776ㅎ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2 E508156 709.04 조776ㅎ c.2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현대미술 강의』는 미술이란 인간이 만들어낸 ‘기호’라는 가장 근본적인 사실에서 출발하여 이 난관을 돌파한다. 저자는 미술의 역사 대부분을 차지하는 현대 이전의 시기에 언제나 세계를 ‘재현하는 기호’였던 미술이 더 이상 이런 기호이기를 거부했던 때를 현대 미술의 시발점으로 잡는다. 재현을 거부한다는 것은 현대 이전에 미술이 생각조차 할 수 없는 것이었기 때...

목차 전체

『현대미술 강의』는 미술이란 인간이 만들어낸 ‘기호’라는 가장 근본적인 사실에서 출발하여 이 난관을 돌파한다. 저자는 미술의 역사 대부분을 차지하는 현대 이전의 시기에 언제나 세계를 ‘재현하는 기호’였던 미술이 더 이상 이런 기호이기를 거부했던 때를 현대 미술의 시발점으로 잡는다. 재현을 거부한다는 것은 현대 이전에 미술이 생각조차 할 수 없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재현하는 기호로부터 재현을 거부하는 기호로의 이동은 현대의 전과 후를 가르는 미술사 전체의 기호학적 전환이다. 다음으로, 현대 미술사 내부의 기호학적 전환은 현대 미술의 독보적 성취인 순수 미술을 중심축으로 해서 제시한다.

목차

목차 일부

프롤로그: 0.4초의 반란
서론: 현대 미술은 무엇이며,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갔는가?

1부 모더니즘 : 재현을 거부하는 순수 미술
1. 초기 모더니즘: 세계로부터 점점 멀어지는 미술
1_ 에두아르 마네: 고전주의의 내파
2_ 모네의 인상주의: 대상이 아니라 시각의 작용
3_ 후기 인상주의: 묘사에서 분리된 색과 선
2. 전성기 모더니즘: 세계와 단절한 ...

목차 전체

프롤로그: 0.4초의 반란
서론: 현대 미술은 무엇이며,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갔는가?

1부 모더니즘 : 재현을 거부하는 순수 미술
1. 초기 모더니즘: 세계로부터 점점 멀어지는 미술
1_ 에두아르 마네: 고전주의의 내파
2_ 모네의 인상주의: 대상이 아니라 시각의 작용
3_ 후기 인상주의: 묘사에서 분리된 색과 선
2. 전성기 모더니즘: 세계와 단절한 순수 미술의 등장
1_ 재현 체계의 전복
1) 앙리 마티스: 선, 면, 색의 해방
2) 파블로 피카소: 형태의 파괴
2_ 미술의 기호학적 전환
1) 입체주의 콜라주: 도상에서 기호로
2) 말레비치의 절대주의: 연역적 추상
3) 몬드리안의 신조형주의: 구성적 추상
3. 후기 모더니즘: 순수 미술의 영광과 몰락
1_ 폴록의 드립 페인팅: 회화적 추상
2_ 색면 회화와 착색 회화: 순수시각적 추상

2부 아방가르드 : 순수 미술을 거부하는 반예술
4. 전전 유럽의 아방가르드: 담론적 미술의 등장
1_ 취리히 다다: 무정부주의적 반예술
2_ 베를린 다다: 정치적 대항의 반예술
3_ 러시아 아방가르드: 구축과 생산을 향한 반예술
5. 전후 미국의 아방가르드: 담론적 미술의 복귀
1_ 전후 미국의 아방가르드에 대한 두 관점: 네오냐, 사후냐?
2_ 미니멀리즘: 미술과 사물 사이
3_ 팝: 실재와 시뮬라크럼 사이

3부 포스트모더니즘 : 반예술의 역설 혹은 곤경
6. 포스트미니멀리즘: 모더니즘의 대체?
1_ 과정 미술: 대상과 형태를 넘어서
2_ 신체 미술: 끝없이 애매한 매체
3_ 장소 특정적 미술: 조각의 확장과 분산
7. 포스트팝: 모더니즘의 해체?
1_ 개념 미술: 언어와 사진의 개입
2_ 제도 비판 미술: 결코 중립적이지 않은 미술 제도
3_ 차용 미술: 작품의 저작권과 소유권

결론: 순수 미술의 무덤 위에서
에필로그
주석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 : 조주연
저자 조주연은 2002년 서울대학교 미학과에서 「클레멘트 그린버그의 미술론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 논문에서 마네부터 폴록에 이르는 추상 미술의 흐름을 현대 미술의 유일한 계보로 옹립한 그린버그의 모더니즘 미술론을 비판적으로 조명했다. 이후 그린버그의 현대 미술론이 배제한 모더니즘의 타자 아방가르드 미술과 포스트모더니즘 미술로 연구 범위를 확장해 현대 미술의 미학적 기원과 역사적 전개를 입체적으로 포괄하기 위한 연구에 전념해왔다. 현재 서울대 미학과에서 현대 및 동시대 미술과 사진 이론을 가르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미학으로 읽는 미술』(공저), 『미학』(공저)이 있으며, 『실재의 귀환』 『예술과 문화』 『60년대 미술』 등을 번역했다.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