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플러스) 고급 영양학 = Plus advanced nutrition

현태선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현태선
한성림
김혜경
권영혜
정자용
서명/저자사항(플러스) 고급 영양학 = Plus advanced nutrition / 현태선 [외]지음.
발행사항고양 : 파워북, 2019.
형태사항575 p. : 주로천연색삽화, 표 ; 28 cm.
ISBN9788981603335
일반주기 공지은이: 한성림, 김혜경, 권영혜, 정자용
부록: 1,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보건복지부, 2015). - 2, 시트르산 회로. - 3, 전자전달계
서지주기참고문헌(p. 546-564), 색인(p. 565-575) 포함
비통제주제어영양학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39284 613.2 현832ㄱ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중 2023-10-05 예약가능
인쇄
2 E539285 613.2 현832ㄱ c.2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중 2023-10-11
인쇄

초록

목차 일부

영양학에서는 식품 내의 영양소가 어떻게 소화·흡수되고 대사되며, 체내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그리고 영양소의 섭취가 부족하거나 과다하였을 때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배움으로써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식생활 계획의 근거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영양학은 화학, 물리학, 생리학, 생화학 등의 기초과학과 생명과학에 대한 ...

목차 전체

영양학에서는 식품 내의 영양소가 어떻게 소화·흡수되고 대사되며, 체내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그리고 영양소의 섭취가 부족하거나 과다하였을 때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배움으로써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식생활 계획의 근거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영양학은 화학, 물리학, 생리학, 생화학 등의 기초과학과 생명과학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최근의 식품 및 건강 관련 변화와 이슈에 대한 이해를 하고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통합적인 학문입니다.

각종 영양소에 대한 정확하고 심층적인 지식을 위해서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며, 최근의 영양학 관련 이슈를 이해하려면 종합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절감한 저자들이 뜻을 모아 오랜 시간 의논하며 집필하였습니다. 영양학의 발전사 및 연구방법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 영양학의 발자취를 살펴보고 학문적 측면에서 영양학 연구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습니다. 국내외의 최신 자료와 연구결과를 토대로 영양소에 대해 심도 있게 설명하는 한편, 영양학의 실제적인 적용성과 최신의 지견을 다루었습니다. 이러한 저자들의 노력이 담긴 이 책이 식품영양학을 전공하는 학생과 영양 및 건강 관련 분야에서 공부하는 학생이나 일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책의 내용을 살펴보면, 1장과 2장에서는 영양학의 정의 및 발전사, 영양학 연구방법, 영양상태와 영양소 섭취기준 및 식사구성안과 식생활 지침 등을 다루어 개념을 확실히 하고 포괄적인 이해를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3, 4, 5장에서는 열량영양소인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에 대해 특성, 급원식품, 체내 이용과 대사 및 기능, 건강관련 문제, 섭취기준을 다루었습니다. 6장에서는 에너지 대사의 균형을 위해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대사가 어떻게 종합적으로 대사되는지 다루었으며, 신체 조성, 에너지 소비, 섭식 조절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또한, 운동으로 인한 에너지 대사의 변화 및 운동에 따른 적절한 에너지 섭취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7장과 8장에서는 지용성과 수용성 비타민 그리고 9장과 11장에서는 다량 무기질과 미량 무기질의 특성과 급원식품, 흡수와 대사 및 기능, 영양상태의 판정과 결핍·과잉증, 섭취기준 및 실태를 다루었습니다.

10장에서는 수분 평형과 산-염기 평형 및 이에 관여하는 전해질에 대해 다루었고, 12장에서는 노화의 개념과 노화에 따른 대사 변화, 산화적 스트레스와 항산화 체계 및 관련 질환을 다루었습니다. 각 장의 마지막 부분에 Nutritional Issue를 두어 각 장의 내용과 관련성이 높은 영양관련 주제에 대한 최신 지견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목차

목차 일부

목차

CHAPTER 01 영양학의 개요 
1. 영양학의 정의 및 발전사 
2. 식품과 영양소 
3. 영양학의 연구방법 

CHAPTER 02 건강한 식생활 
1. 영양상태 
2. 영양소 섭취기준 
3. 식사구성안 
4. 영양표시 
5. 식생활지침 

CHAPTER 03 탄수화물 
1. 분류와 급원식품 
2. 소화와 흡수 
3. 대사 
4. 체내 기능 
5...

목차 전체

목차

CHAPTER 01 영양학의 개요 
1. 영양학의 정의 및 발전사 
2. 식품과 영양소 
3. 영양학의 연구방법 

CHAPTER 02 건강한 식생활 
1. 영양상태 
2. 영양소 섭취기준 
3. 식사구성안 
4. 영양표시 
5. 식생활지침 

CHAPTER 03 탄수화물 
1. 분류와 급원식품 
2. 소화와 흡수 
3. 대사 
4. 체내 기능 
5. 관련 건강문제 
6. 섭취기준과 섭취실태 
7. 식이섬유 

CHAPTER 04 지질 
1. 종류와 급원식품 
2. 소화와 흡수 
3. 체내 이동과 대사 
4. 체내 기능 
5. 관련 건강문제 
6. 섭취기준과 섭취실태 

CHAPTER 05 단백질 
1. 분류와 급원식품 
2. 소화와 흡수 
3. 단백질과 아미노산 대사 
4. 기능 
5. 관련 건강문제 
6. 단백질 섭취기준과 섭취실태 

CHAPTER 06 에너지 대사의 조절과 균형 
1. 에너지 대사의 조절 
2. 에너지 균형과 체중 조절 
3. 운동과 영양 

CHAPTER 07 지용성 비타민 
1. 비타민의 개요 
2. 비타민 A 
 3. 비타민 D 
 4. 비타민 E 
 5. 비타민 K 

CHAPTER 08 수용성 비타민 
1. 티아민 
2. 리보플라빈 
3. 니아신 
4. 비타민 B6 
 5. 엽산 
6. 비타민 B12 
 7. 판토텐산 
8. 비오틴 
9. 비타민 C 

CHAPTER 09 다량 무기질 
1. 무기질의 개요 
2. 칼슘 
3. 인 
4. 칼슘과 인의 항상성 조절 
5. 마그네슘 

CHAPTER 10 수분 조절과 전해질 
1. 체내 수분 조절 
2. 산-염기 평형 
3. 나트륨 
4. 염소 
5. 칼륨 

CHAPTER 11 미량 무기질 
1. 철 
2. 아연 
3. 구리 
4. 요오드 
5. 셀레늄 
6. 크롬, 망간, 불소 

CHAPTER 12 노화와 항산화영양 
1. 노화와 영양 
2. 항산화 영양

저자소개

저자 : 현태선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졸업 
University of Alabama at Birmingham 영양학 박사 
현재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저자 : 한성림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졸업 
Tufts University 영양학 박사 
현재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저자 : 김혜경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영양학 박사 
현재 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저자 : 권영혜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졸업 
Cornell University 영양학 박사 
현재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저자 : 정자용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졸업 
Tufts University 영양학 박사 
현재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