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신앙인은 누구나 생태 사도입니다 009
제1부 생태 사도의 길
우리 공동의 집 지구에 불이 났습니다! 014
생태적 회개 021
강도 만나 쓰러진 이웃 같은 지구 024
피조물 보호가 곧 하느님 사랑 030
생태 사도 036
조금 모자라게 갖기 041
지구를 살리기 위한 작은 행동 하나 045
창조 질서의 회복 049
즐거운 ...
목차 전체
머리말
신앙인은 누구나 생태 사도입니다 009
제1부 생태 사도의 길
우리 공동의 집 지구에 불이 났습니다! 014
생태적 회개 021
강도 만나 쓰러진 이웃 같은 지구 024
피조물 보호가 곧 하느님 사랑 030
생태 사도 036
조금 모자라게 갖기 041
지구를 살리기 위한 작은 행동 하나 045
창조 질서의 회복 049
즐거운 지구 살리기 056
우리 공동의 집 구출하기 061
제2부 생태 위기에 대한 그리스도교 책임 논쟁
1장 생태 위기는 그리스도교 때문인가? 068
1. 그리스도교의 책임 문제 제기 070
2. 그리스도교 유죄론에 대한 반론 075
2장 창세기 창조 기사의 두 가지 해석 082
1. 창조 이야기의 부정적 해석 082
2. 창조 이야기의 긍정적 새 해석 - 생태 신학의 모색 094
제3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교회 문헌에 나타난 환경 인식
1장 생태 위기를 언급한 교회 문헌 110
1. 사목 헌장(Gaudium et Spes, 1965년) 112
2. 민족들의 발전(Populorum Progressio, 1967년) 117
3. 팔십주년(Octogesima Adveniens, 1971년) 119
4. 세계 정의(Convenientes ex Universo, 1971년) 122
5. 스톡홀름 인간 환경 회의에 보낸
바오로 6세 교황의 담화문(1972년) 125
6. 바오로 6세 교황의 세계 환경 보호의 날 담화문
“인류의 번영을 위하여”(1977년) 129
7. 인간의 구원자(Redemptor Hominis, 1979년) 130
8. 노동하는 인간(Laborem Exercens, 1981년) 132
9. 사회적 관심(Sollicitudo rei Socialis, 1987년) 136
10.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의 세계 평화의 날 담화문
“창조주 하느님과의 평화, 모든 조물들과의 평화”(1990년) 140
11. 백주년(Centesimus Annus, 1991년) 145
12.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의 사순 시기 담화문(1993년) 148
2장 교회 문헌의 공통 주제 다섯 가지 150
1. 정의와 평화 실천은 환경 보전의 관건 150
2. 과학 기술을 통한 환경 문제 해결 155
3. 그리스도교적 인간 중심주의 157
4. 의식 개혁의 중요성 - 윤리적 책임의 요청 162
5. 환경 보전은 신앙인의 의무 164
제4부 생태 위기 시대의 가톨릭 사회 교리
1장 생태 위기에 관한 교황들의 사회 교리 176
1. 바오로 6세 교황 시기 176
2. 요한 바오로 2세 교황 시기 181
3. 베네딕토 16세 교황 시기 186
4. 프란치스코 교황 시기 190
5. 시기별 특징 요약 및 시사점 198
2장 『간추린 사회 교리』의 생태적 메시지 204
1. 그리스도교 인간 중심주의 - 인간의 특별 지위 205
2. 과학 기술의 양면성 208
3. 지상 재화의 보편 목적성 - 공평한 분배의 문제 210
4. 새로운 생활 양식 212
5. 가톨릭 사회 원리에 따른 비판적 평가 213
3장 가톨릭 생태 사회 교리의 요청과 한국 천주교회의 응답 219
맺음말
「찬미받으소서」 7년 여정의 축복을 빌며 226
부록
한국 천주교 주교단 기후 위기 성명서
- 기후 위기, 지금 당장 나서야 합니다 229
한국 천주교 주교단 특별 사목 교서
- 울부짖는 우리 어머니 지구 앞에서 234
주 241
참고 문헌 268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