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조선 유학의 이단 비판 : 『이학집변』을 중심으로

이용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이용주
박종천
박원재
박경환
김미영
김선희
단체저자명한국국학진흥원. 연구부
서명/저자사항조선 유학의 이단 비판 : 『이학집변』을 중심으로 / 이용주 [외]지음.
발행사항서울 : 새물결, 2016.
형태사항327 p. ; 23 cm.
총서사항국학자료 심층연구 총서 ; 10
ISBN9788955594010
일반주기 공지은이: 박종천, 박원재, 박경환, 김미영, 김선희
기획: 한국국학진흥원 연구부
서지주기서지적 각주 포함
비통제주제어조선시대,유교정통론,이단비판,이학비판,이단담론,서학비판,천주학비판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59418 181.119 이6654ㅈ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중 2023-06-10 예약가능
인쇄

초록

목차 일부

조선 성리학은 약 500여 년 동안 조선사회를 지배한 지도 이념이었다. 조선의 성리학은 마키아벨리가 근대 정치의 조건으로 내세운 정치와 도덕의 분리 내지는 도덕에 대한 정치의 우위라는 근대적 이념과 달리 일중의 도덕 우위의 정치론이었다. 즉 조선의 유학은 근대적 정치 이념이라기보다는 도덕과 정치가 행복하게 결합하는 일종의 플라톤적 이상국가론에 가까웠으며, ...

목차 전체

조선 성리학은 약 500여 년 동안 조선사회를 지배한 지도 이념이었다. 조선의 성리학은 마키아벨리가 근대 정치의 조건으로 내세운 정치와 도덕의 분리 내지는 도덕에 대한 정치의 우위라는 근대적 이념과 달리 일중의 도덕 우위의 정치론이었다. 즉 조선의 유학은 근대적 정치 이념이라기보다는 도덕과 정치가 행복하게 결합하는 일종의 플라톤적 이상국가론에 가까웠으며, 그것은 당연히 공맹의 세계와 주자의 가르침을 이 땅에 실현하는 것은 목표로 했다.





하지만 조선 시대의 정치는 전반기에는 또한 무수한 사화와 당쟁으로 그리고 후반에는 강력한 ‘이단’으로 등장한 천주교에 대한 탄압으로 점철되었다. 어느 나라, 어느 시대의 정치나 ‘이상’과 ‘현실’ 사이의 이러한 갈등은 필연적이지만 조선 유학은 ‘현실 정치’나 ‘마키아벨리즘’이 아니라 도덕 국가의 실현을 표방하고 있던 점에서 현실과 이상 사이의 격리에 대한 유학자들의 인식과 대응방식은 오늘날의 한국 정치에도 시사 하는 바가 많아 보인다.





특히 [조선 유학의 이단 비판]에서 집중적으로 논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조선후기의 ‘이단’ 논쟁은 그동안 주로 ‘실학’이라는 또 다른 프리즘을 통해 조선사회를 이해해보려는 학계의 시도에 덧붙여 ‘이단’에 대한 조선 성리학의 대응이라는 또 다른 거울로 조선시대 후기를 비추어보려는 새로운 시도로 평가받을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목차 일부

책머리에    9

1부  ·이단에 대한 유학의 문제의식과 그 흐름

1장    유교 정통론과 이단(이학) 비판 그리고 현대적 과제          15
1종교, 욕망을 비추는 거울          15
2정통과 이단    20
3유교 정통론의 배경    29
4맹자와 순자: 유교 정통론의 두 방향    33
5경학과 순자의 부각    37
6맹자인가, 순...

목차 전체

책머리에    9

1부  ·이단에 대한 유학의 문제의식과 그 흐름

1장    유교 정통론과 이단(이학) 비판 그리고 현대적 과제          15
1종교, 욕망을 비추는 거울          15
2정통과 이단    20
3유교 정통론의 배경    29
4맹자와 순자: 유교 정통론의 두 방향    33
5경학과 순자의 부각    37
6맹자인가, 순자인가?    41
7북송 초의 유교 정통론: 맹자의 부각    47
8주자의 정통론 완성    53
9도통론의 정치-종교학적 의미    56
10현대 신유학의 도통론 논의    65
11왜 ‘정통/이단’을 논의하는가?    72

2장    조선시대 이단 담론과 영남 유학의 이단 비판론          77  
1조선시대 이단 비판의 유형과 전개          77
2‘이단’을 넘어 ‘외도’의 시대로          85
3천주교와 영남학파 위상 사이의 함수 관계          95
4조선후기 영남 지역 이단 비판론의 스펙트럼          104
5『이학집변』, 영남 퇴계학파의 이단 비판론을
집대성하다          122  
6『이학집변』의 이단 비판의 사상사적 의의          132

2부  ·『이학집변』과 영남학파의 이단 인식

1장    도가 비판: 정학 수호를 위한 선택과 집중 전략          137
1동아시아 사상사의 라이벌          137
2유가와 도가, 그 길항 관계의 역사          143
3유가와 도가의 갈림길    146
4『이학집변』의 도가 비판의 내용과 논점          152
5유학의 정체성 수호    164
6새로운 ‘정학’의 자리 매기기    169
7정주학에서 퇴계학으로, 퇴계학에서 호학으로          172

2장    육왕학 비판: 인간 완성의 길에 관한 유학 내부의 충돌          179
1시대 상황이 환기시킨 ‘정통성’에의 관심          179
2유학사에 나타난 정통 확립과 이단 배척          186
3인간 완성의 길을 향한 주자와 육왕의 엇갈린 시선          198
4인간 완성의 길을 둘러싼 『이학집변』의 비판적 시선          209
5『이학집변』의 육왕학 비판의 의의          231

3장    선불교 비판: 이질적인 두 문화권 사상의 충돌과 변용          239
1이질적인 두 문화권의 만남: 불교의 중국 전래          239
2‘불교’를 둘러싸고 이루어진 문화 투쟁          243
3주희의 유학사관과 불교 비판          248
4『이학집변』의 선불교 비판의 기본적인 문제의식          258
5『주자어류』의 ??와 『이학집변』의 선불교 비판    264
6『이학집변』의 선불교 비판 자료의 특징          274
7『이학집변』 중 선불교 비판과 중용관          280

4장    서학(천주학) 비판: 영남학파의 서학 대응과 지식 권력         289
1도통과 새로운 이단의 등장          289
2서학의 확산과 남인을 향한 위협          292
3서학을 둘러싼 성호학파의 토론과 갈등          297
4실용을 향해: 서양의 자연학과 기술에 대한 
기호남인의 이해          304
5영남학파의 서학 비판          307
6무엇이 진정한 학문인가: 성호학파의 서학관에 대한
영남학파의 비판          314
7천주학에 대한 저격: 『이학집변』에서의 서학 비판          317
8남인과 지적 권력의 자장    324

저자소개

비교종교학과 유교와 도교를 중심으로 동양의 사상 종교 전통에 대해 공부했으며, 현재 광주과학기술원 지스트 대학에서 철학 및 비교종교학을 가르치고 있다. 앞으로는 지금까지의 공부를 정리하는 작업으로 동양 고전에 대한 연구와 해석에 힘을 쏟으려고 한다. 학자로서 남은 인생이 길지 않지만, 평생 공부의 마무리로서 학계와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작업이 되었으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다. 이 책 『주역의 예지』는 앞으로 출간될 고전 연구 및 해석의 첫 번째 결과물이다. 지은 책으로는 『세계관 전쟁』(2020), 『성학집요: 군자의 길, 성찰의 힘』(2018), 『죽음의 정치학: 유교의 죽음이해』(2015), 『생명과 불사: 포박자 갈홍의 도교사상』(2009), 『동아시아 근대사상론』(2009), 『도, 상상하는 힘』(2003), 『주희의 문화 이데올로기』(2003)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세계 종교의 역사』(2018), 『종교 유전자: 진화심리학으로 본 종교의 기원과 진화』(2015), 『20세기 신화이론』(2008), 『세계종교사상사1』(2005) 등이 있다.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