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냉전의 섬 금문도의 재탄생 = Rebirth of cold war island, Jinmen

정근식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정근식
김민환
강백위
김란
이정훈
오준방
전원근
박배균
이정만
서명/저자사항냉전의 섬 금문도의 재탄생 = Rebirth of cold war island, Jinmen / 정근식 ; 김민환 [공]편.
발행사항과천 : 진인진, 2016.
형태사항370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세계 속의 아시아연구 ; 014
ISBN9788963472959
일반주기 지은이: 정근식, 장보웨이, 김란, 김민환, 이정훈, 우쥔팡, 전원근, 박배균, 이정만
금문도 연표: p. 368-370
서지주기서지적 각주, 참고문헌(p. 337-367) 포함
기금정보주기이 책은 2013학년도 서울대학교 미래 기초학문 분야 기반조성 사업(사회과학분야)의 지원 및 2013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비통제주제어금문도,진먼다오,진먼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59565 951.249 정1823ㄴ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중국의 개방과 대만의 민주화에 맞물려 중국-대만 사이에 평화적인 양안관계가 성립되고 관리되어 가는 과정은, 최근 경색되어가는 남북 관계 해결의 실마리를 모색하는 데 있어서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번에 발간된 『냉전의 섬 금문도의 재탄생』은 양안관계에 있어서 그 갈등과 화해의 최접점에 있었던 금문도라는 지역을 심도있게 고찰함으로 해서,...

목차 전체

중국의 개방과 대만의 민주화에 맞물려 중국-대만 사이에 평화적인 양안관계가 성립되고 관리되어 가는 과정은, 최근 경색되어가는 남북 관계 해결의 실마리를 모색하는 데 있어서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번에 발간된 『냉전의 섬 금문도의 재탄생』은 양안관계에 있어서 그 갈등과 화해의 최접점에 있었던 금문도라는 지역을 심도있게 고찰함으로 해서, 양안관계 전개에 있어서 금문도 및 대만해협이 가지는 의미를 재조명했다.

목차

목차 일부

책머리에 정근식 5
1장 동아시아적 맥락에서의 금문 지역사 장보웨이 13
2장 민족주의 경합의 장, 정성공 영웅만들기 김란 54 
3장 경계의 섬과 포격전의 기억 김민환 90 
4장 샤먼과 금문의 ‘심리전’ 이정훈 123 
5장 냉전생태의 형성과 해체 우쥔팡·정근식 157
6장 냉전 경관의 비교준거, 연평도와 백령도 전원근 195
7장 냉전산업으로서의 고량...

목차 전체

책머리에 정근식 5
1장 동아시아적 맥락에서의 금문 지역사 장보웨이 13
2장 민족주의 경합의 장, 정성공 영웅만들기 김란 54 
3장 경계의 섬과 포격전의 기억 김민환 90 
4장 샤먼과 금문의 ‘심리전’ 이정훈 123 
5장 냉전생태의 형성과 해체 우쥔팡·정근식 157
6장 냉전 경관의 비교준거, 연평도와 백령도 전원근 195
7장 냉전산업으로서의 고량주 경제의 
형성과 변화 박배균·김민환 224
8장 탈냉전과 민주화의 이중적 전환 정근식·우쥔팡 265
9장 탈냉전과 금문학 우쥔팡 292

에필로그 이정만 324
금문도 연표 368

저자소개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전남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하버드·옌칭연구소, 교토대학, 시카고대학, 대만 중앙연구원, 베를린자유대학 등에서 방문교수로 활동했다. 한국사회사학회, 비판사회학회, 냉전학회, 구술사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위원,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장을 역임했다. 『소련형 대학의 형성과 해체』, 『북한의 대학: 역사, 현실, 전망』, 『냉전의 섬, 금문도의 재탄생』, 『한국전쟁의 기억과 기념의 문화정치: 전쟁기념관연구』 등의 저서와 “On the Ruins: Forgetting and Awakening Korean War Memories at Cheorwon” 등의 논문이 있다.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