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사람 중심의 사회적경제가 대중문화로 쉽게 다가온다
기존의 딱딱한 사회적경제 이론서는 가라!
영화, 드라마, 소설로 풀어본 쉽고 재미난 사회적경제 이야기
승자독식 자본주의의 전환, 사회적경제에 주목하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는 현재의 승자독식 자본주의가 만들어내는 극심한 빈부격차 문제에 주목했다. 이에 사회적경제가 새로운 대안으로...
목차 전체
사람 중심의 사회적경제가 대중문화로 쉽게 다가온다
기존의 딱딱한 사회적경제 이론서는 가라!
영화, 드라마, 소설로 풀어본 쉽고 재미난 사회적경제 이야기
승자독식 자본주의의 전환, 사회적경제에 주목하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는 현재의 승자독식 자본주의가 만들어내는 극심한 빈부격차 문제에 주목했다. 이에 사회적경제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올랐다. 사회적경제는 시장경제의 효율성을 살리면서도 실업ㆍ빈곤 등 경제ㆍ사회 문제까지 극복할 수 있어 포용적 성장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EU는 이미 2009년에 사회적경제 개념인식ㆍ법적조치 권고 등 48개 항목의 ‘사회적경제에 관한 결의문’을 채택했으며, 2015년 기준 EU에서의 사회적경제기업 고용 비중은 6.5%다. 우리나라 역시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부처별로 사회적경제 지원정책을 마련해 자활기업,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협동조합, 소셜벤처 등 다양한 사회적경제기업이 활동 중이다. 또 2017년에는 정부에서 일자리위원회 관계부처 합동으로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으며, 기획재정부의 장기전략국에 사회적경제과가 설치되었다. 이처럼 우리 사회에서 중요한 이슈로 떠오른 ‘사회적경제’에 대해 이 책은 우리에게 친근한 영화와 TV 드라마를 끌어와 보다 쉽게 설명하고자 한다.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