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교육혁명가 파울로 프레이리 : 교육사상과 사회변혁론

문혜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문혜림
서명/저자사항교육혁명가 파울로 프레이리 : 교육사상과 사회변혁론 / 문혜림 지음.
발행사항서울 : 학이시습, 2012.
형태사항xv, 179 p. : 삽화, 초상 ; 23 cm.
ISBN9788966809110
일반주기 프레이리 연보: p. 168-169
서지주기서지적 각주, 참고문헌(p. 170-179) 포함
주제명(개인명)Freire, Paulo,1921-1997
비통제주제어교육혁명가,민중교육,교육철학,교육학자,사회변혁론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62370 370.92 F8665ㄱ문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중 2023-04-07 예약가능
인쇄

초록

목차 일부

프레이리 교육학, 어떻게 읽어야 하나? 남미의 대표적 교육자 파울로 프레이리의 교육사상을 시기별(초기-전환기-후기)로 나누어 살피고, 전 교육사상을 관통하는 ‘교육의 정치성’ 개념을 사회변혁론이란 논제로 확장해 고찰한다. 프레이리를 필두로 한 비판적 교육학파의 기본 관점과 쟁점 사항, 앞으로의 과제 등도 폭넓게 다룬다. 프레이리 교육론을 논한 많은 연구가 ...

목차 전체

프레이리 교육학, 어떻게 읽어야 하나? 남미의 대표적 교육자 파울로 프레이리의 교육사상을 시기별(초기-전환기-후기)로 나누어 살피고, 전 교육사상을 관통하는 ‘교육의 정치성’ 개념을 사회변혁론이란 논제로 확장해 고찰한다. 프레이리를 필두로 한 비판적 교육학파의 기본 관점과 쟁점 사항, 앞으로의 과제 등도 폭넓게 다룬다. 프레이리 교육론을 논한 많은 연구가 프레이리의 생애사 전반을 전기적으로 다룬 경우가 많은데 비해, 이 책은 이런 전기적인 접근을 가급적 지양하고 프레이리 교육론과 개념 연구에 논의를 집중한다. 또한 프레이리 교육론과 공방 속에 있는 여타 비판 이론들도 비교적 심도 있게 다뤄 프레이리의 관점이 갖는 특징과 한계 모두 보여준다.

목차

목차 일부

목차
추천사 1
추천사 2
책을 내며

프롤로그 : 프레이리 교육학, 어떻게 읽을 것인가?

1부 프레이리 교육학의 형성과 전개 과정

01 프락시스 교육론의 형성 원리와 사상적 시기 구분
프락시스 교육론의 형성 원리
프레이리 교육론의 사상적 시기 구분

02 초기 교육사상(1946~1964) : 군부 쿠데타 이전 문해교육
브라질의...

목차 전체

목차
추천사 1
추천사 2
책을 내며

프롤로그 : 프레이리 교육학, 어떻게 읽을 것인가?

1부 프레이리 교육학의 형성과 전개 과정

01 프락시스 교육론의 형성 원리와 사상적 시기 구분
프락시스 교육론의 형성 원리
프레이리 교육론의 사상적 시기 구분

02 초기 교육사상(1946~1964) : 군부 쿠데타 이전 문해교육
브라질의 현실과 교육
문해교육 방법의 고안
문해교육 방법의 적용과 성공
초기 교육사상의 특징

03 전환기 교육사상(1964~1979) : 망명기 문해교육과 탈문해교육
칠레로의 망명 : 사회변혁을 위한 문화활동으로서의 교육
제네바와 아프리카에서의 활동 : 문화혁명으로서의 민중학교 건립
전환기 교육사상의 특징

04 후기 교육사상(1979~1997) : 브라질 귀환 후 학교교육 재건
상파울루시 교육감으로 취임 : 브라질 공교육 개혁
퇴임 후 저술활동 : 포스트모더니즘의 비판적 수용과 보편 윤리의 모색
후기 교육사상의 특징

2부 프레이리의 교육-정치담론

05 교육학에서의 정치담론 지형

06 프레이리의 ‘교육의 정치성’ 개념
교육의 범주화 문제 : 학교교육과 교육작용
정치성의 중의적(衆意的) 해석 문제 : 재생산성과 저항성
교육의 정치성 : 교육작용의 비중립성과 저항

07 프레이리의 사회변혁 방법론
변혁의 대상 : 시민사회와 정치사회의 구분
변혁의 방법 : 정치의 교육화를 통한 문화정치
변혁의 주체 : 지식인으로서의 교육자와 민중

08 프레이리 교육-정치담론의 비판적 고찰
교사 중심적인 개념화가 지닌 난제
이데올로기, 지식, 문화 사이의 불명료한 구분
저항 및 변혁 대상의 모호한 개념화

3부 프레이리 교육학의 현대적 수용

09 사회변혁론으로서 비판적 교육학 정립과 과제

10 교육현장 민주화를 위한 교육개혁론에의 기여

프레이리 연보
참고 문헌

저자소개

문혜림

고려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교육철학 및 교육사학을 전공하여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마르크스 역사과학을 공부하기 위해 경상대학교 정치경제학 대학원에 진학해 석사학위를 받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역서 『마르크스의 마지막 투쟁』(2018), 『거리 민주주의』(2017), 『계급 이해하기』(2017) 등을 출간했다. 민주노총 정책연구원에서 연구위원으로 활동했으며, 현재 정치경제학연구소 프닉스에서 연구원으로 활동 중이다.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