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Chapter 1 수질환경개론
제 1 절 수질 기초 단위
1. 기본 단위 (Unit)와 차원 (Dimension)
1.1 기본 단위
1.2 유도 단위
1.3 단위계의 특성
2. 기초 물리량
2.1 압력 (P); 13
2.2 밀도 (ρ) 2.3 비중 (S); 14
2.4 비중량 (Υ)
2.5 연습문제
제 2 절 물 (water...
목차 전체
Chapter 1 수질환경개론
제 1 절 수질 기초 단위
1. 기본 단위 (Unit)와 차원 (Dimension)
1.1 기본 단위
1.2 유도 단위
1.3 단위계의 특성
2. 기초 물리량
2.1 압력 (P); 13
2.2 밀도 (ρ) 2.3 비중 (S); 14
2.4 비중량 (Υ)
2.5 연습문제
제 2 절 물 (water)
1. 물의 특성
1.1 극성 용매인 물 ;
1.2 액체 상태의 물 (물의 용해성 )
1.3 물 분자의 수소결합과 표면장력
1.4 물의 열용량 , 비열 , 증발열 22
1.5 밀도
1.6 요점정리 및 연습문제
2. 물의 분포와 순환
2.1 물의 분포 30
2.2 물의 순환
2.3 요점정리 및 연습문제
3. 수자원의 종류와 특성
3.1 우수 ;
3.2 지표수
3.3 지하수
3.4 해수
3.5 요점정리 및 연습문제
4. 수자원 현황과 이용
4.1 수자원 현황 ;
4.2 수자원 이용 현황
4.3 요점정리 및 연습문제
제 3 절 수질오염
1. 수질오염원
1.1 생활하수
1.2 농 축산폐수
1.3 산업폐수
1.4 점오염과 비점오염원
1.5 요점정리 및 연습문제
2. 수질오염물질
2.1 수질오염물질
2.2 수질오염 물질의 종류 및 영향
2.3 요점정리 및 연습문제
제 4 절 수질오염 기초화학
1. 용액의 농도
1.1 미량 물질의 농도
1.2 몰농도
1.3 노르말농도
1.4 요점정리 및 연습문제
2. 환경화학
2.1 산과 염기
2.2 중화
2.3 산화 환원
2.4 완충용액
2.5 용해도적
2.6 요점정리 및 연습문제
제 5 절 수질오염의 지표
1. pH(hydrogen ion exponent : 수소이온농도 )
1.1 자연수의 pH 조절인자
1.2 요점정리 및 연습문제 2. DO(Dissolved Oxygen : 용존산소 )
2.1 수중의 용존산소 변화 요인
2.2 수질에서 DO 의 중요성 ;
2.3 DO 자료의 활용
2.4 요점정리 및 연습문제
3.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
3.1 BOD 감소 반응식
3.2 BOD 곡선의 이해
3.3 NOD
3.4 BOD 자료의 활용
3.5 요점정리 및 연습문제
4. COD(Chemical Oxygen Demand : 화학적 산소요구량 )
4.1 BOD 와 COD 133
4.2 COD 분석의 한계점 및 장점
4.3 SOD ; 135
4.4 요점정리 및 연습문제
5. TOC 와 TOD &ThOD
5.1 TOC
5.2 TOD
5.3 ThOD
5.4 산소요구량의 상호관계
5.5 요점정리 및 연습문제
6. SS(Suspended Solids : 부유물질 )
6.1 SS 와 GF/C;
6.2 BOD, COD &SS 의 관계
6.3 SS 의 특성 및 의의
6.4 Colloid(콜로이드 )
6.5 요점정리 및 연습문제
7. 경도 (Hardness)
7.1 경도의 개요 및 분류
7.2 경도의 특성과 의의
7.3 요점정리 및 연습문제
8. 알칼리도 (Alkalinity)
8.1 알칼리도의 개요
8.2 용액속의 알칼리도 존재 상태
8.3 자연수의 알칼리도와 pH
8.4 알칼리도 자료의 이용
8.5 요점정리 및 연습문제
9. 산도 (Acidity)
9.1 산도의 개요
9.2 탄산가스와 무기산도
9.3 요점정리 및 연습문제
10. 대장균군 (E-Coliform group)
10.1 요점정리 및 연습문제
제 6 절 수질환경 미생물
1. 수질오염과 미생물의 특성
1.1 미생물과 용존산소 (DO)의 관계
1.2 미생물과 먹이 (영양원 )의 관계
1.4 미생물과 수소이온농도 (pH)와의 관계
2. 종류별 미생물의 특징
2.1 박테리아 (세균 )
2.2 균류
2.3 조류
2.4 원생동물
2.5 후생동물 ;
3. 미생물의 증식 (성장 ) 단계
3.1 미생물의 증식 (성장 ) 곡선
3.2 미생물의 성장과 유기물과의 관계 곡선
4. 수중의 물질순환과 미생물
4.1 탄소순환
4.2 질소순환
4.3 요점정리 및 연습문제
제 7 절 하천수의 수질관리
1. 하천의 자정작용 (Self-purification)
1.1 자정작용의 분류
1.2 하천의 자정단계
1.3 자정작용 인자
1.4 유기물 유입된 하천의 유하거리에 따른 자정작용의 변화
1.5 요점정리 및 연습문제
제 8 절 호소수의 수질관리
1. 호소의 성층현상 (Stratification)
2. 호소의 부영양화 (Eutrophication)
2.1 부영양화의 일반적인 특성
2.2 부영양화의 영향인자
2.3 부영양화가 미치는 영향
2.4 부영양화 방지대책
2.5 부영양화 평가방법
2.6 요점정리 및 연습문제
제 9 절 해양의 수질관리
1. 해수의 특성
1.1 해수의 수온
1.2 해수의 염분 농도
1.3 해수의 밀도
1.4 해수의 영양염류의 농도
1.5 해수의 용존 기체
1.6 해수의 pH
2. 해양오염
2.1 해양의 유류오염
2.2 해양의 열오염
2.3 해양의 고형폐기물 오염
2.4 해양의 영양염류 오염
3. 적조현상 (赤潮 , Red tide)
3.1 적조현상의 발생원인
3.2 적조현상의 영향
3.3 적조현상에 대한 대책
3.4 요점정리 및 연습문제
Chapter 2 수질환경 분석실험
제 1 절 수질실험을 위한 기본사항
1. 실험의 일반규칙 및 주의사항
2. 실험실에서의 응급처치법
3. 실험약품 및 실험기구의 취급법
4. 액체의 부피 측정법
5. 실험노트 작성방법
제 2 절 수질환경 분석의 기초
1.1 계량의 단위 및 기호
1.2 농도 표시
1.3 온도 표시
1.4 방울수 (滴水 )
1.5 항량
1.6 액의 농도
1.7 진공
1.8 물
1.9 액성
1.10 시약 및 용액
1.11 용기
1.12 기구 및 기기
1.13 분석용 저울 및 분동
1.14 시험 용어 및 기타
제 3 절 수질오염 분석의 일반사항
1. 공장폐수 및 하수유량측정방법
제 4 절 수질오염 기본항목별 시험방법
1.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의 적용범위
2. 수질오염측정 항목의 분석방법 및 정량범위
3. 항목별 시험방법
3.1 수소이온농도 (pH)
3.2 경도 , 알칼리도 , 산도
3.3 용존산소 (DO)
3.4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BOD)
3.5 화학적 산소요구량 (COD)
3.6 부유물질 (SS)
3.7 총질소 (TN)
3.8 총인 (TP)
제 5 절 수질환경기사 작업형 실기시험
1. 작업형 실기시험 시 유의사항 및 경향
2. 총질소 (T-N) 측정
3. 총인 (T-P) 측정
4. 철 (Fe) 측정
5. 암모니아성 질소 (NH3-N) 측정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