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한국어 교재론

강현화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강현화
박지순
박수연
홍혜란
장채린
서명/저자사항한국어 교재론 / 강현화 [외]지음.
발행사항서울 : 한국문화사, 2022.
형태사항328 p. ; : 삽화 ; 25 cm.
총서사항한국문화사 한국어교육학 시리즈
대등서명Theory and practice of material development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ISBN9791169190121
일반주기 공지은이: 박지순, 박수연, 홍혜란, 장채린
서지주기참고문헌(p. 320-326), 색인(p. 327-328) 포함
비통제주제어한국어교육,한국어교재,한국어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62563 495.707 강9421ㅎㅁ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예약서가비치 예약가능
(1명 예약중)
인쇄
2 E562564 495.707 강9421ㅎㅁ c.2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중 2023-04-26
인쇄

초록

언어 교수.학습에서 교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교재는 교사와 학습자에게 교수.학습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제공할 뿐 아니라 교수.학습의 방법까지도 안내함으로써 언어 학습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한국어 모국어 화자들이 사용하는 여러 언어 형태 중 어떤 형태를 우선적으로 익혀야 하는가를 제시한다.

목차

목차 일부

I부 한국어 교재론 개괄
1장 교재의 범위와 기능
1. 교재의 정의 및 범위
1.1. 교재론이란
1.2. 교재의 정의
1.3. 교재의 종류
2. 교재의 기능
2.1. 교육과정에서의 교재
2.2. 교재의 기능과 역할
2.3. 교재의 윤리성
3. 교재와 학습, 학습자, 교사
3.1. 교재와 학습
3.2. 교재와 학습자
3.3. 교재와 교...

목차 전체

I부 한국어 교재론 개괄
1장 교재의 범위와 기능
1. 교재의 정의 및 범위
1.1. 교재론이란
1.2. 교재의 정의
1.3. 교재의 종류
2. 교재의 기능
2.1. 교육과정에서의 교재
2.2. 교재의 기능과 역할
2.3. 교재의 윤리성
3. 교재와 학습, 학습자, 교사
3.1. 교재와 학습
3.2. 교재와 학습자
3.3. 교재와 교사
2장 언어 교수 이론과 교재
1. 교재와 언어 습득 연구
2. 국외 교재 연구
2.1. 교재의 저작 및 개발에 대한 연구
2.2. 교재 분석 및 평가에 대한 연구
2.3. 교재의 사용에 대한 연구
2.4. 교재의 효과에 대한 연구
3. 국내 교재 개발 및 연구
3.1. 한국어 교재 개발
3.2. 한국어 교재 연구

II부 교육과정과 교재
3장 교육과정과 교수요목
1. 교육과정 확인
1.1.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
1.2. 교육과정 개발 절차
2. 교수요목의 유형
2.1. 교수요목의 구성 요소
2.2. 교수요목 유형
2.3. 교수요목 설계의 원리
4장 교재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1. 요구 분석의 개념
2. 요구 분석의 방법
3. 요구 분석의 절차
4. 설문지 설계 시 유의 사항
5. 상황 분석
5.1. 상황 분석의 개념
5.2. 상황 분석의 절차
5장 교재 평가와 교재 선정
1. 교재 분석과 교재 평가
1.1. 교재 분석
1.2. 교재 평가
2. 교재 평가의 원리와 유형
2.1. 교재 평가의 원리
3. 교재 선정을 위한 교재 평가

III부 교재 분석의 원리와 실제
6장 영역별 한국어 교재
1. 한국어 자모 및 발음 교재
1.1. 발음 교육의 목표 및 교재 개발의 원리
1.2. 한국어 자모 교재
1.3. 발음 교재
2. 어휘 교재
2.1. 어휘 교육의 목표 및 교재 개발의 원리
2.2. 교재에서의 어휘 구현 내용
2.3. 어휘 교재의 유형
3. 문법 교재
3.1. 문법 교육의 목표 및 교재 개발의 원리
3.2. 교재에서의 문법 구현 내용
3.3. 문법 교재의 유형
4. 문화 교재
4.1. 문화 교육의 목표 및 문화 교재 개발의 원리
4.2. 문화 교재의 유형 및 특징
제7장 기능별 한국어 교재
1. 기능의 통합 여부에 따른 교재의 유형
1.1. 기능 통합형 교재
1.2. 부분 통합형 교재
1.3. 기능 분리형 교재
2. 기능별 교재의 개발 방향
2.1. 말하기 교재
2.2. 듣기 교재
2.3. 읽기 교재
2.4. 쓰기 교재
8장 학습 목적 및 대상별 한국어 교재
1. 학습자 집단과 교육 목표
2. 일반 목적 학습자를 위한 교재
3.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교재
4. KSL 배경 학습자를 위한 교재
5. 직업 목적 학습자를 위한 교재
6. 결혼 이민자를 위한 교재
7. 재외동포 교재
9장 매체별 한국어 교재
1. 시각 매체를 활용한 교재
2. 청각 매체를 활용한 교재
3. 시청각 매체를 활용한 교재
4. 상호작용 매체를 활용한 교재
4.1. 웹 기반 교재
4.2.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4.3. 디지털 교재
제10장 보조 교재
1. 교사용 지침서
1.1. 교사용 지침서의 개념과 역할
1.2. 교사용 지침서의 개발 원리
1.3. 교사용 지침서의 구성 및 내용
2. 학습자용 익힘책
2.1. 익힘책의 개념과 역할
2.2. 학습자용 익힘책의 개발 원리
2.3. 주교재와 익힘책의 관련성과 차별성

IV부 교재의 개발과 개발
11장 교육 내용 선정 및 조직
1. 교육 내용 선정 및 배열
2. 단원 구성 및 모형 설계
2.1. 단원의 개념과 구성 원리
2.2. 단원 구성 모형 설계
2.3. 집필
3. 시험 사용 및 피드백, 수정
4. 후속 작업
4.1. 교재의 뒤붙이 정리
4.2. 음성 자료 녹음
12장 교재의 개작
1. 교재 개작의 필요성
2. 교재 개작의 원리
3. 교재 개작의 과정
4. 교재 개작 방법
13장 교재 출판과 저작권
1. 교재 출판의 과정
2. 편집과 교정
2.1. 디자인과 편집
2.2. 삽화
2.3. 교정
3. 저작권과 출판 윤리
3.1. 타인의 저작권 침해와 표절
3.2. 저작권과 출판권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강현화 (지은이) 
연세대학교 국문과 교수
•학력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
•경력
세종학당재단 이사장
한국문법교육학회 회장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회장
한국사전학회 부회장
•주요 저서
『한국어교육학의 이해와 탐구』
『한국어 표현교육론』
『한국어 이해교육론』
『한국어 유사 문법항목 연구』
『한국어교육 문법』
『학습자 말뭉치의 구축과 활용』


박지순 (지은이)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연세대학교 글로벌인재학부 교수
저서
『현대 국어 상대높임법의 맥락 분석적 연구』 (2019, 신구문화사)
『코퍼스기반 한국어교육 연구의 이론과 실제』 (공저, 2015, 보고사)


박수연 (지은이)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세종사이버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
저서
『교환 학생을 위한 기초 한국어』 (공저, 2018, 한글파크)
『이화 한국어 6』 (공저, 2012, 이화여자대학교 출판사)
『이화 한국어 6 workbook』 (공저, 2012, 이화여자대학교 출판사)


홍혜란 (지은이)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BK21 Four 연구교수
저서
『단어 형성 원리로 배우는 한국어 어휘 1, 2』 (공저, 2019, 소통)
『코퍼스기반 한국어교육 연구의 이론과 실제』 (공저, 2015, 보고사)


장채린 (지은이)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강의전담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어교육 문법(자료편)』(공저),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 연구』(공저),
『한국어 표현 교육론』(공저), 『한국어 이해 교육론』(공저)
등을 집필하였다.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