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진행하면서 내담자 대답의 내용만이 아니라 그들의 정서, 각성 상태,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을 포함해서 그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의 과정 또한, 주의를 기울여라. 예를 들어 내담자의 소매틱 및 정서적 단서를 관찰하면 당신은 질문의 진행 속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_165쪽, ‘복합 PTSD와 애착 트라우마에 대한 과거력 청취’
중요하게도 수치심은 치료가...
목차 전체
진행하면서 내담자 대답의 내용만이 아니라 그들의 정서, 각성 상태,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을 포함해서 그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의 과정 또한, 주의를 기울여라. 예를 들어 내담자의 소매틱 및 정서적 단서를 관찰하면 당신은 질문의 진행 속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_165쪽, ‘복합 PTSD와 애착 트라우마에 대한 과거력 청취’
중요하게도 수치심은 치료가 너무 빠르게 진행되면 쉽게 간과될 수 있는 감정이다. 치료자는 주제를 바꾸려는 내담자의 충동이나 내담자를 구하거나 수치심을 없애려는 욕구를 알아차릴 수 있다. 그러나 내담자가 안전한 치유 환경에서 수치심의 감정을 안전하게 통과해나가도록 하는 것은 강력할 수 있다. _168쪽, ‘수치심과 작업하기’
내담자가 몸에서의 안전을 만들게 돕는 한 가지 방법이 트라우마와 해리의 신경생리학에 대한 심리교육이다. 만약 내담자가 그들의 몸이 그들을 보호하기 위해 연결되어 있음을 이해한다면 감각을 덜 두렵게 느낄 것이다. 이 정보와 함께 치료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인내의 창을 배워서 자신을 안전하게 유지하는 파트너가 될 수 있도록 돕는다. _171쪽, ‘몸에서의 안전 만들기’
치료적인 관계는 현재 내담자의 애착 관계에서 누락된 요소에 주의를 기울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어렸을 때 내담자가 잃어버린 부분을 치료 내에서 다루고 처리할 수 있다. 물론 치유 작업이 과거에 실제 일어났던 것을 바꾸지는 않는다. 그러나 취약한 파트의 자원만들기는 돌봄과 보호의 새로운 감각느낌felt sense을 제공할 수 있다. 내담자가 이 새로운 경험을 체화하면서, 이제는 어리거나 취약한 파트를 돌보는 방식으로 관계할 수 있는 자신의 내재화된 연민 어린 성인 자기adult self를 강화시킨다. _184쪽, ‘관계 자원만들기’
진자운동은 민감소실 단계에서 처리 속도를 늦추어 홍수flooding의 가능성을 줄인다. 대조적으로, 시퀀싱sequencing과 소매틱 리패터닝somatic repatterning는 재처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체적으로 이러한 통합 방식의 의도는 내담자가 EMDR 치료 내에서 체화된 인식과 움직임의 치유력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_279쪽, ‘만성 통증 및 질병’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