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근대 건축과 하이데거 : 모더니티의 시작에서 건축적 형태와 세계

이동언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이동언
서명/저자사항근대 건축과 하이데거 : 모더니티의 시작에서 건축적 형태와 세계 / 이동언 지음.
발행사항부산 : 산지니, 2021.
형태사항256 p. ; 23 cm.
ISBN9788965457428
일반주기 2022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임
서지주기참고문헌(p. [253]-256)
기금정보주기이 과제는 부산대학교 기본연구지원사업(2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비통제주제어건축이론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61881 720.1 이22555ㄱ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 건축이론 비평 전문가 이동언 교수의 신간
개념적 건축과 창조적 건축의 구분을 시도하다
건축과 인문학을 접목해 건축이론 비평 분야에서 새로운 지평을 열어온 부산대학교 건축공학과 이동언 교수의 책이 출간되었다. 이동언 교수는 그동안 써낸 건축비평집 『건축 詩로 쓰다』, 『삶의 건축과 패러다임 건축』, 『시를 통해 부산건축 새롭게 읽기』를 통해 건축과 인...

목차 전체

▶ 건축이론 비평 전문가 이동언 교수의 신간
개념적 건축과 창조적 건축의 구분을 시도하다
건축과 인문학을 접목해 건축이론 비평 분야에서 새로운 지평을 열어온 부산대학교 건축공학과 이동언 교수의 책이 출간되었다. 이동언 교수는 그동안 써낸 건축비평집 『건축 詩로 쓰다』, 『삶의 건축과 패러다임 건축』, 『시를 통해 부산건축 새롭게 읽기』를 통해 건축과 인문학의 결합이라는 낯선 조합을 독자들에게 소개하며, 서울 중심의 편향된 건축문화 비평의 관점을 ‘지역’으로 돌리는 데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이번에 출간된 『근대 건축과 하이데거』에는 개념적 건축과 창조적 건축의 구분을 위한 시도가 담겨 있다. 이 책은 두 가지 물음에서 출발한다. 첫 번째는 작품의 창조와 수용에 있어서 예술의 기여이다. 어떤 건축이 가장 중요한 장소를 만들며 이 세계에 기여하는가이다. 두 번째는 건축을 창작된 대로, 그 창조성을 순전히 이해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에 대한 물음이다. 건축 작품은 그 자체로 순전히 받아들여지지 않고 과학적, 언어적 분석 방식과 도구적 측면에서 파악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작품을 그 시작에서부터 끝까지 전체를 상징으로, 이미지로 받아들일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에 대한 해답을 이 책에서 찾아간다.
☞ 선정내역
- 2022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목차

목차 일부

1. 서문

2. 세계, 기호와 건축
2.1 세계(1), 세계(2), 기호와 건축
2.2 세계(3), 세계(4), 침묵과 건축

3. 세계의 패러다임과 건축적 해석
3.1 서론: 세계의 패러다임과 건축적 해석
3.2 형식주의와 건축적 해석
3.3 기계주의와 건축적 해석
3.4 유기주의와 건축적 해석
3.5 맥락주의와 건축적 해석

4...

목차 전체

1. 서문

2. 세계, 기호와 건축
2.1 세계(1), 세계(2), 기호와 건축
2.2 세계(3), 세계(4), 침묵과 건축

3. 세계의 패러다임과 건축적 해석
3.1 서론: 세계의 패러다임과 건축적 해석
3.2 형식주의와 건축적 해석
3.3 기계주의와 건축적 해석
3.4 유기주의와 건축적 해석
3.5 맥락주의와 건축적 해석

4. 모더니티의 시작에서 건축적 형태와 세계
4.1 네 개의 세계와 바로크 건축
4.2 스컬리와 바로크 건축: 세계와 상징
4.3 노베르크 슐츠와 바로크 건축: 진정한 공간 아니면 게슈탈트 공간?
4.4 페레즈 고메즈와 바로크 건축: 살아 있는 세계 또는 패러다임의 퍼즐?

5. 근대 건축에서 개념적 세계(2)와 실존적 세계(3): 스컬리, 노베르크 슐츠와 코쿤
5.1 서론: 모더니즘과 전통
5.2 스컬리와 패러다임
5.3 노베르크 슐츠의 “맥락주의”
5.4 코쿤의 “해석학”

6. 결론: 건축의 상징과 공간

하이데거를 왜 다시 말해야 하나 - 임성훈
참고문헌

저자소개

저자(글) 이동언

1956년 경북 포항생으로 부산대학교 건축공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 미국 콜로라도 대학교 및 조지아 공과대학교에서 건축학 석사 및 박사를 취득했다. 현재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교수이다. 관심분야는 ‘현상학적 맥락’에 바탕을 둔 건축설계 및 이론·비평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맥락주의 건축이론화 하기」, 「우리건축의 기본방향설정을 위한 현상학적 탐색」, 「물려받는 것(傳承)에 바탕을 둔 현대건축」(공저) 등이 있다. 주요 저서로는 『삶의 건축과 패러다임 건축』, 『時를 통해 부산건축 새롭게 읽기』, 『한국현대건축의 정체성탐구』(공저), 『건축 時로 쓰다』 등이 있다.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