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본성, 개념인가 실재인가

이필원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이필원
인경
신정근
신승환
박성현
한자경
박찬욱
서명/저자사항본성, 개념인가 실재인가 / 이필원 외 집필.
발행사항서울 : 운주사, 2022.
형태사항431 p. : 삽화 ; 24 cm.
총서사항밝은 사람들 총서 ; 17
ISBN9788957467176
9788957464113(세트)
일반주기 공집필: 인경, 신정근, 신승환, 박성현
기획: 박찬욱, 편집: 한자경
서지주기서지적 각주, 각 장마다 참고문헌, 색인(p. [420]-431) 포함
비통제주제어심리학,종교,본성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63588 128.3 이849ㅂ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이 책은 인류의 오래된 화두인 ‘본성’이 무엇인가를 들여다보기 위해 초기불교와 대승불교를 비롯하여 동서양철학, 그리고 현대 심리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각과 관점에서 성찰하였다. 이 책에서는 본성이 무엇이고, 그것은 실재인가 개념인가를 묻는다. 그런데 본성, 실재, 개념, 이 세 용어는 모두 일의적이지 않다. ‘본성’은 말 그대로 ‘본래적 성품’인데, 인간...

목차 전체

이 책은 인류의 오래된 화두인 ‘본성’이 무엇인가를 들여다보기 위해 초기불교와 대승불교를 비롯하여 동서양철학, 그리고 현대 심리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각과 관점에서 성찰하였다. 이 책에서는 본성이 무엇이고, 그것은 실재인가 개념인가를 묻는다. 그런데 본성, 실재, 개념, 이 세 용어는 모두 일의적이지 않다. ‘본성’은 말 그대로 ‘본래적 성품’인데, 인간에 관해 물을 경우 본성은 인간의 생존본능이나 욕망을 뜻할 수도 있고(진화생물학), 인간의 도덕성이나 이성을 뜻할 수도 있다(유학이나 서양 고대철학). 또는 인간에게 변하지 않는 본성인 자성自性은 아예 없다는 주장도 가능하고(초기불교 무아론), 그렇게 본성이 없다는 것을 깨닫는 자각성 내지 불성佛性이 곧 본성이라는 주장도 가능하다(대승불교 불성론). 그러니까 본성이 실재인가 개념인가를 묻기 전에, 본성이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은 이러한 ‘본성’을 제대로 이해하고 자신의 삶에서 적용하기 위해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동서고금의 다양한 사상과 성현들의 주장을 검토하고 정리하여 한 권으로 묶은 것이다.

목차

목차 일부

기획자 서문·5
본성에 대한 사색을 통하여 성장하기를 기원하며

편집자 서문·9
자성自性 너머 불성佛性

{초기불교} 본성, 그 상상 너머(이필원)·41
1. 본성이란 무엇인가?·43
2. 감각의 너머에 있는 본성에 대한 상상·46
1) 왜 붓다는 Ātman을 부정하는가?·47
2) 아뜨만은 관념이다·50
3. 관념을 넘어 사실의 세계로...

목차 전체

기획자 서문·5
본성에 대한 사색을 통하여 성장하기를 기원하며

편집자 서문·9
자성自性 너머 불성佛性

{초기불교} 본성, 그 상상 너머(이필원)·41
1. 본성이란 무엇인가?·43
2. 감각의 너머에 있는 본성에 대한 상상·46
1) 왜 붓다는 Ātman을 부정하는가?·47
2) 아뜨만은 관념이다·50
3. 관념을 넘어 사실의 세계로·53
1) 까르마는 누가 짓는가?·54
2) 상주론과 단멸론·62
3) 둑카는 존재의 본성인가?·72
4. 연기, 사실들의 세계·77
1) 무상을 본질로 하는 존재자·81
2) 단절이 아닌 연속, 독립이 아닌 관계·87
5. 가을이 깊어지니 낙엽이 진다·93
6. 사족을 덧붙이며·96
참고문헌·101

{대승불교 & 선불교} 마음의 해석학: 본성이란 무엇인가?(인경)·103
1. 글쓰기 전략·105
2. 실용주의적 순환적 통합모델·107
1) 인식론과 해석학·107
2) 마음의 본성·116
3. 심성론: 아비담마와 대승불교에서의 본성·127
1) 몸/지수화풍·127
2) 마음(心)의 본질과 작용·133
3) 성품/본성(性)·147
4. 실천론: 선불교에서의 본성·157
1) 돈점과 정혜의 해석 문제·158
2) 견성의 실천론·169
3) 조사선과 간화선·173
5. 경험적 실재론을 옹호하면서·182
참고문헌·189

{동양철학} 질서를 낳는 본성과 질서랑 일체화된 본성(신정근)·193
1. “일체유성조一切唯性造”의 성립과 전개 역사·194
2. 본성의 어원과 초기 의미의 지형도·198
1) 성性의 어원과 상호작용론의 맥락·198
2) 초기 본성 담론의 지형도: 성선性善 대 성악性惡·208
3) 한 제국에서 초기 본성 담론의 보완: 성선질性善質과 성선악혼性善惡混·220
3. 본성의 형이상학적 실체화: 질서와 일체화된 본성·227
1) 새로운 본성 담론의 기반: 기의 품수稟受와 도교의 신선가학神仙可學·227
2) 주희朱熹: 본성의 선천적 실체화와 기질 변화론·235
3) 왕양명王陽明: 통합적 실체와 관점주의·245
4. 형이상학적 실체의 해체와 질서를 낳는 본성·251
1) 대진: 리理의 폭력성 조명과 본성 구도의 대체·251
2) 정약용: 실체의 무능력과 기호嗜好의 본성·260
5. 논점과 앞으로의 과제·270
참고문헌·273

{서양철학} 인간의 본성: 이성, 자기실현과 생명성(신승환)·277
1. 본성은 무엇을 말하는가·278
2. 서구 철학의 원형적 본성 개념·283
1) 본성 개념의 자리·283
2) 로고스(logos)와 인간 본성·285
3)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간 본성 이해·288
4) 로고스 개념의 그리스도교적 수용·292
3. 로고스(logos) 개념 이외의 본성 이해·294
1) 인격성·294
2) 자기 유지의 본성·302
3) 정념(감성)적 본성·305
4) 본성 개념의 계몽주의적 해명·311
4. 자기실현의 본성·315
1) 본질과 실존으로서의 본성 개념·315
2) 자유로서의 인간 본성·319
3) 자율성·330
5. 진화생물학적 본성 이해·336
1) 진화생물학적 전환·336
2) 사회생물학의 본성 이해·339
3) 진화심리학의 본성 이해·343
4) 본성과 양육·347
6. 생명철학적 본성 이해·349
1) 인간의 존재론적 자리·349
2) 포스트휴먼적 본성·352
3) 생명성의 인간 본성·356
참고 문헌·359

{심리학} 본성 실현을 향한 자아초월의 길(박성현)·361
1. 자아초월 심리학은 인간 본성을 어떻게 보는가?·362
2. 심층 무의식을 향한 아래로의 초월·369
1) 융의 개성화의 길·369
2) 워시번의 초월을 위한 퇴행·378
3. 초개인 의식을 향한 위로의 초월·386
1) 아사지올리의 영적 정신통합·386
2) 윌버의 비이원 의식·395
4. 삶의 세계를 향한 수평으로의 초월·405
1) 페러의 참여하는 영성·405
5. 우리 시대가 실현해 가야 할 본성은 무엇인가?·410
참고문헌·418

찾아보기·421

저자소개

저자(글) 인경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