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역자서문 3
한국독자들을 위한 서문 6
감사의 글 9
서문 16
Chapter 01 살아내고, 이야기하고, 그리고 다시 이야기하기: 내러티브 탐구의 과정 31
- ''''이야기로(with) 생각하는 것''''과는 구별되는 ''''이야기에 대해(about) 생각하기'''' 44
Chapter 02 내러티브 탐구를 설계하고 실행하기 47
- 내러티브 ...
목차 전체
역자서문 3
한국독자들을 위한 서문 6
감사의 글 9
서문 16
Chapter 01 살아내고, 이야기하고, 그리고 다시 이야기하기: 내러티브 탐구의 과정 31
- ''''이야기로(with) 생각하는 것''''과는 구별되는 ''''이야기에 대해(about) 생각하기'''' 44
Chapter 02 내러티브 탐구를 설계하고 실행하기 47
- 내러티브 탐구의 네 가지 핵심 용어 48
- 탐구의 전 과정에서 현상에 대한 내러티브 관점 55
- 내러티브 탐구 공통요인 57
- 탐구 설계 시 고려사항들 62
Chapter 03 내러티브 시작: 딘(Dean)과의 점심시간 대화 79
- 1장: 내러티브 시작 80
Chapter 04 "내러티브 시작: 딘(Dean)과의 점심시간 대화"를 풀어내기 117
Chapter 05 이야기 말하기로 시작하기: 앤드류(Andrew)의 농구하기 이야기 131
- 앤드류에 대한 내러티브 기술 - 진 클랜디닌 131
Chapter 06 "이야기 말하기로 시작하기: 앤드류(Andrew)의 농구하기 이야기"를 풀어내기 149
- 내러티브 기술을 마무리 짓기 182
- 더 높은 단계의 분석: 다양한 내러티브 기술을 가로질러 보기 183
- 내러티브 탐구를 관계적 연구로 이해하게 되기 188
- 경계와 경계영역 192
- 경계영역 공간들 194
Chapter 07 살아가는 이야기로 시작하기: "요새 박물관(Fort)" 방문하기 201
- 긴장 속에서 살아가기: 전문적 지식의 전경에서 삶의 교육과정 절충하기 201
Chapter 08 "살아가는 이야기로 시작하기: 요새 박물관(Fort) 방문하기"를 풀어내기 241
Chapter 09 자서전적 내러티브 탐구: 디딤돌인가 또는 구원의 이야기인가? 249
- 석사과정 연구: 디딤돌인가 또는 구원의 이야기인가? 249
Chapter 10 "자서전적 내러티브 탐구: 디딤돌인가 또는 구원의 이야기인가?"를 풀어내기 269
- 기억과 상상의 짜임에 대한 고찰 273
Chapter 11 내러티브 탐구 전반에 걸쳐서, 그리고 탐구를 넘어서서 관계적 윤리를 말하기 279
Chapter 12 연구 텍스트 : 탐구를 위한 정당화를 재고찰하기 287
- 연구 텍스트를 형성하는 개념의 정리 287
- 목소리, 서명, 그리고 청중 관련 이슈 291
- 사회적, 문화적, 제도적, 가족적 그리고 언어적 내러티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기 293
- 침묵과 하얀 공간에 대해서 295
- 연구의 사회적 그리고 이론적 정당화를 지향하며 297
- 반응 공동체 298
- 청중이라는 이슈: 가치 판단을 위한 준거 299
후기 303
참고문헌 311
찾아보기 32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