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백남준 : 말(馬)에서 크리스토까지

백남준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백남준, 1932-2006
Decker-Phillips, Edith, 1953-
Lebeer, Irmeline
임왕준
정미애
김문영
이유진
마정연
서명/저자사항백남준 : 말(馬)에서 크리스토까지 / 백남준 글 ; 에디트 데커 ; 이르멜린 리비어 [공]엮음 ; 임왕준 [외]옮김.
판사항2판.
발행사항용인 : 경기문화재단 백남준아트센터, 2018.
형태사항447 p. : 삽화, 악보 ; 23 cm.
원서명Du cheval a Christo et autres ecrits
ISBN9788997128419
일반주기 공옮긴이: 정미애, 김문영, 이유진, 마정연
서지주기서지적 각주, 색인(p. 440-447) 포함
비통제주제어현대예술,예술사,예술가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69153 700.92 백2114d임2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0262954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세계적인 예술가 백남준의 국내 최초이자 유일한 ‘백남준의 책’인 『백남준: 말馬에서 크리스토까지』는 백남준 연구자인 이르멜린 리비어(Irmeline Lebeer)와 에디트 데커(Edith Decker)가 미국, 유럽, 한국 등지에 흩어져 있는 백남준의 글들을 모아서 공동으로 편집한 앤솔로지의 우리말 번역이다. 독자는 백남준의 목소리를 통해 누구보다 먼저 예...

목차 전체

세계적인 예술가 백남준의 국내 최초이자 유일한 ‘백남준의 책’인 『백남준: 말馬에서 크리스토까지』는 백남준 연구자인 이르멜린 리비어(Irmeline Lebeer)와 에디트 데커(Edith Decker)가 미국, 유럽, 한국 등지에 흩어져 있는 백남준의 글들을 모아서 공동으로 편집한 앤솔로지의 우리말 번역이다. 독자는 백남준의 목소리를 통해 누구보다 먼저 예술과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사유하고 실천했던 그의 예술세계에 생생하게 다가갈 수 있다.

그동안 백남준 연구자들과 일반 대중들에게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았던 이 책은 2010년 초판을 찍은 지 8년 만에 새로 발행되었다. 개정판은 초판에 원문만 실렸던 5편의 번역문을 추가하고 원고 일부를 교체하는 등 더욱 새로운 모습으로 독자들을 찾아간다.

백남준의 작업은 지극히 미래지향적이었으며, 그는 20세기에 이미 21세기의 언어와 문화를 이야기해왔다. 연구자에게 불만족과 미숙함을 각성시키는 그의 천진스러운 유산들은 앞으로도 우리에게 그의 예술을 연구하는 데 있어 무한한 동기를 부여할 것이다. 백남준의 정신세계가 온전히 담긴 이 책이 백남준의 예술을 연구하는 이들에게 귀중한 길잡이가 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목차 일부

한국어 개정판 서문
한국어 초판 서문
머리말을 대신하는 맺음말?이르멜린 리비어

1992년 
미디어의 기억
몇몇 프랑스인(?) 친구들
노스탤지어는 피드백의 제곱근이다.(1930년-1960년-1990년)
기원전/기원후
샬럿 무어먼: 우연과 필연

1991년 
나에게는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의사, 아베
레스타니…힘의 균형
59세의 사유
2 x 작은 거인

19...

목차 전체

한국어 개정판 서문
한국어 초판 서문
머리말을 대신하는 맺음말?이르멜린 리비어

1992년 
미디어의 기억
몇몇 프랑스인(?) 친구들
노스탤지어는 피드백의 제곱근이다.(1930년-1960년-1990년)
기원전/기원후
샬럿 무어먼: 우연과 필연

1991년 
나에게는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의사, 아베
레스타니…힘의 균형
59세의 사유
2 x 작은 거인

1990년 
조지 머추너스
보이스 복스

1988년 
DNA는 인종차별주의가 아니다

1987년 
록 음악에 스포츠
아사테라이트-모레의 빛을 위해

1986년 
바이바이 키플링

1984년 
보이스: 야생초-야생의 사유들
로베르 피유에 대하여: 치즈인가 멜론인가?
예술과 위성
〈굿모닝 미스터 오웰〉에 관한 단상
굿모닝 미스터 오웰 (퐁피두센터 시나리오-팩스자료)
굿모닝 미스터 오웰?당신은 절반만 맞았다 (뉴욕 시나리오-팩스자료)

1983년 
〈굿모닝 미스터 오웰〉의 시나리오 초안, 1983년 5월

1982년 
포스텔의 50년을 위한 50개의 V

1981년 
말馬에서 크리스토까지

1980년 
임의접속정보

1979년 
비디오 암호 코드

1977년 
나의 환희는 거칠 것이 없어라
인공지능 대 인공신진대사

1976년 
인풋 타임과 아웃풋 타임

1975년 
베니스의 주데카 섬을 위한 단상

1974년 
마르셀 뒤샹은 비디오를 생각하지 않았다.?이르멜린 리비어와의 인터뷰 (1974년 12월 16일, 보훔)

1973년 
나의 교향곡들

1972년 
커뮤니케이션-예술
마리 바우어마이스터 혹은 “나는 우주를 받아들인다” (B. 풀러)
빙엄턴의 편지

1970년 
비디오합성기 플러스
글로벌 그루브와 비디오 공동시장

1969년 
참여TV, 살아 있는 조각을 위한 TV브라
…어느 카페 혁명가의 고백

1967년 
마리 바우어마이스터에게 보내는 편지
오페라 섹스트로니크
노버트 위너와 마셜 매클루언
비디오테이프 월간지 (팩스자료)
장자크 르벨에게 보내는 편지

1966년 
약 10,000편의 에세이 중에서…
느림의 시대

1965년 
워싱턴 주재, 상공회의소에 보내는 편지
사이버네틱스 예술
전자 비디오테이프 녹화기
빌리 클뤼버를 위한 다소 이상주의적인 판타지와 몇 가지 단상
1965년 생각들
전자TV를 위한 프로젝트
존 케이지에게 보내는 편지
교향곡 제5번 (악보)
로봇 오페라 (악보)

1964년 
조지 머추너스에게 보내는 편지
조지 머추너스에게 보내는 편지
자서전

1963년 
하프타임 (악보)
백남준: 데콜라주 바다의 플럭서스 섬 (팩스자료)
아방가르드 힌두이즘 대학 월간 리뷰 (팩스자료)
실험TV 전시회의 후주곡-1963년 3월, 파르나스 갤러리
미국 바가텔 (악보)
라디오를 위한 소나타 (악보)

1962년 
롤프 예를링에게 보내는 편지, 부퍼탈
음악 전시회
젊은 페니스를 위한 교향곡 (악보)
앨리슨을 위한 세레나데 (악보)
아름다운 여성 화가의 연대기-앨리슨 놀즈에게 바침 (악보)
공연 전개를 위한 도움말
딕 히긴스를 위한 위험한 음악 (악보)
샌프란시스코에서 연주하라 (악보)

1961년 
〈20개의 방을 위한 교향곡〉에 대해
〈20개의 방을 위한 교향곡〉-초벌, 1961년 봄, 쾰른 (악보)

1959년 
볼프강 슈타이네케에게 보내는 편지, 다름슈타트

1958년 
볼프강 슈타이네케에게 보내는 편지, 다름슈타트

1948년 
장송곡 (악보)

1947년 
많고 많은 날이 지난 후 (악보)

서론-에디트 데커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 : 백남준
1932년 7월 20일 서울에서 태어나 2006년 1월 29일 미국 플로리다의 마이애미 자택에서 세상을 떠났다. 무음악(a-music)을 추구했던 현대음악 작곡가, 비디오아트의 창시자, 네오-아방가르드의 한 축이었던 플럭서스의 주역,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의 발명자, 최초로 상업 네트워크 방송망을 이용한 네트워크아트, 그리고 지구 도시를 연결한 위성아트의 선구자였다. 특히 위성아트 〈굿모닝 미스터 오웰〉(1984)과 〈바이바이 키플링〉(1986)은 전 세계 2500만 명이 시청했다. 그의 예술은 인간과 비인간(자연, 기술, 타자)을 비위계적으로 통합하여 21세기 예술의 선구적 장을 열었다.

역자 : 임왕준
연세대학교 불문과 졸업. 프랑스 파리 4대학에서 앙드레 말로에 대한 논문으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파리 8대학 철학박사 과정에서 엠마누엘 레비나스를 전공했다. 문화부 홍보조정실에서 근무했고 전주방송국(JTV) 제작편성부장으로 방송프로그램을 제작했으며, 샘터사 주간으로 일했다. 창작집 『북회귀선』을 출간했으며, 번역서로는 『사는 법을 배우다』 『메피스트로펠레스와 양성인』(공역) 『지식인은 왜 자유주의를 싫어하는가』 『이별의 기술』 등이 있다.

역자 : 정미애
이화여자대학교 불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벨기에 루벵대학에서 불문학과와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번역서로는 『치유』 『행복의 역설』 『세잔을 위한 진혼곡』 『스크래치』 『누가 랭보를 훔쳤는가』 『마지막 수업』 등이 있다.

역자 : 김문영
가톨릭대학교와 프랑스 낭시대학에서 불문학을 전공했다. 프랑스와 한국의 다국적 기업을 거쳐 음악과 영화 등의 문화평론가로 일했다. 번역서로는 『마지막 눈』 『조용히 흐르는 초록빛 강』 『마지막 편지』 『걷기의 기적』 등이 있으며 현재 출판 기획편집자로 일하고 있다.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