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모멸감 : 끝낸다고 끝이 아닌 관계에 대하여 / [전자자료]

슈템러, 프랑크 M

상세정보
자료유형전자책
개인저자슈템러, 프랑크 M.
Staemmler, Frank-Matthias
장윤경
단체저자명교보
서명/저자사항모멸감 [전자자료] : 끝낸다고 끝이 아닌 관계에 대하여 / 프랑크 M. 슈템러 지음 ; 장윤경 옮김.
발행사항파주 : 유영 : 다산북스, 2022.
형태사항전자책 1책 : 천연색삽화.
원서명Kränkungen : Verständnis und Bewältigung alltäglicher Tragödien
기타표제싸우거나 도망치지 않고 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 인간관계 심리학
기타형태 저록모멸감, 9791130691381
ISBN9791130692623(전자책)
9791130691381(종이책)
이용가능한
다른형태자료
책자형태로 간행: ISBN 9791130691381
비통제주제어심리학,인간관계
바로가기URL

초록

목차 일부

진흙탕 같은 피해의식에서
벗어나고 싶은 사람을 위한 심리학

《모멸감, 끝낸다고 끝이 아닌 관계에 대하여》는 심리학과 철학에 근거하여 비판적인 시선으로 모멸감이라는 감정을 다루고 있으며, 모멸감이라는 감정의 폭풍에 빠져들지 않는 방법까지 안내하는 예방과 치유의 인문 심리서이다. 평소 모욕감에 자주 시달리며 관계가 망가지는 악순환에 빠져 있다면 이를 빠...

목차 전체

진흙탕 같은 피해의식에서
벗어나고 싶은 사람을 위한 심리학

《모멸감, 끝낸다고 끝이 아닌 관계에 대하여》는 심리학과 철학에 근거하여 비판적인 시선으로 모멸감이라는 감정을 다루고 있으며, 모멸감이라는 감정의 폭풍에 빠져들지 않는 방법까지 안내하는 예방과 치유의 인문 심리서이다. 평소 모욕감에 자주 시달리며 관계가 망가지는 악순환에 빠져 있다면 이를 빠르게 정리하는 ‘손절’보다는 그 감정을 깊이 들여다보고 벗어날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모멸감에는 우리 사회 문화에서 기인한 단순하고 명백한 ‘가해자-피해자’ 구도가 존재한다. 모멸을 준 사람은 가해자고, 모멸을 느낀 사람은 피해자가 된다. 피해자는 자신에게 모멸을 준 상대에게서 벗어나려 도망치거나 자신의 편을 들어줄 제삼자를 끌어들여 가해자를 굴복시키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최초의 피해자는 새로운 모멸을 만드는 가해자로 변한다. 처음 발생한 모멸감을 극복하지 못하면 당사자들은 이 현상 안에 갇히게 된다. 모멸은 사실이 아닌 추측에 의존한 해석에서 시작된다. 상대의 진짜 생각과 의도는 모른 채 억측으로 이루어진 잘못된 해석을 통해 스스로를 피해자로 만들어버린다. 이 책은 단순한 가해자-피해자 틀에서 벗어나 모멸을 덜 느끼고 덜 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목차

목차 일부

머리말: 오늘도 모멸감에 시달리는 당신에게

1장 악의 없이 생겨나는 비극

2장 우리는 언제 모멸감을 느끼는가
사례 1: 말없이 버려진 여성
사례 2: 반송된 알몸 사진
사례 3: 거절당한 키스
사례 4: 거부된 소망
사례 5: 준비되지 않은 포르쉐
사례 6: 기만당한 아내

3장 모멸감이 만드는 감정의 폭풍

4장 세상을 해석하...

목차 전체

머리말: 오늘도 모멸감에 시달리는 당신에게

1장 악의 없이 생겨나는 비극

2장 우리는 언제 모멸감을 느끼는가
사례 1: 말없이 버려진 여성
사례 2: 반송된 알몸 사진
사례 3: 거절당한 키스
사례 4: 거부된 소망
사례 5: 준비되지 않은 포르쉐
사례 6: 기만당한 아내

3장 모멸감이 만드는 감정의 폭풍

4장 세상을 해석하는 메타포

5장 가해자-피해자 구도의 역학

6장 더 큰 고통을 만드는 네 가지 오류

7장 우연의 일치

8장 부정적인 나선 운동 끊기

9장 모멸감은 정서의 문제다

10장 ‘너’를 통해 ‘나’가 되는 인간

11장 이해받지 못한다는 괴로움

12장 절대 일치할 수 없는 지평선

13장 모멸감을 만드는 결정적 측면

14장 모멸감에서 벗어날 준비

15장 이미 물에 빠진 상황에서 빠져나오기
당사자가 해야 하는 노력
상대방이 해야 하는 노력
함께 해야 하는 노력

16장 고통에 휩쓸리지 않는 최선의 노력
모멸 유발자가 되지 않는 법
나의 모멸 민감성을 줄이는 법

맺음말: 존엄한 삶을 위하여


참고 문헌

저자소개

저자 : 프랑크 M. 슈템러
철학자이자 심리학자.
전문 심리 치료사 겸 게슈탈트Gestalt 치료 전문가다. 현재 독일 뷔르츠부르크에서 개인 상담·치료 센터를 이끌고 있으며, 동시에 뷔르츠부르크 ‘게슈탈트 심리 치료 센터’의 공동 운영자이기도 하다. 강연과 함께 활발한 집필 활동을 하며 대중과 끊임없이 소통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게슈탈트 치료에서 관계주의Relationalit?t in der Gestalttherapie》, 《대화하는 자아Das dialogische Selbst》, 《타인의 비밀Das Geheimnis des Anderen》, 《공격 치료Therapie der Aggression》 등이 있다.

역자 : 장윤경
숙명여자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과 독어독문학을 전공한 뒤, 독일로 건너가 프랑크푸르트 대학교와 다름슈타트 대학교에서 공동으로 국제관계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출판 번역 에이전시 베네트랜스에서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공감하는 유전자》, 《아이가 내 맘 같지 않아도 꾸짖지 않는 육아》, 《하버드 수학박사의 슬기로운 수학 생활》, 《무례한 시대를 품위 있게 건너는 법》, 《뉴스 다이어트》, 《동물 안의 인간》, 《No! 백번 말해도 No!》, 《거대한 후퇴》, 《세상에서 가장 기발한 우연학 입문》이 있다.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