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박물관 테크놀로지 : 인물과 기술의 융합으로 예술을 경영하다 = Museum technology

이보아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이보아
서명/저자사항박물관 테크놀로지 = Museum technology : 인물과 기술의 융합으로 예술을 경영하다 / 이보아 지음.
발행사항파주 : 김영사, 2018.
형태사항343 p. : 삽화, 표 ; 24 cm.
ISBN9788934980759
서지주기미주(p. 301-335), 색인(p. 336-343) 포함
비통제주제어박물관,박물관경영,큐레이팅,예술경영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71354 069.068 이4564ㅂㄱ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관람객의 관람 경험 증진을 위해 박물관은 어떠한 노력을 해왔는가? AI, 빅데이터, 딥러닝, 로봇기술은 박물관의 역할과 가치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4차 산업혁명을 앞두고 박물관은 어떻게 혁신되고 있는가? 국내 첫 박물관 경영학 박사이자 박물관 경영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는 전문가, 이보아 교수가 전하는 박물관과 테크놀로지에 대한 독보적인 연구와 통찰....

목차 전체

관람객의 관람 경험 증진을 위해 박물관은 어떠한 노력을 해왔는가? AI, 빅데이터, 딥러닝, 로봇기술은 박물관의 역할과 가치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4차 산업혁명을 앞두고 박물관은 어떻게 혁신되고 있는가? 국내 첫 박물관 경영학 박사이자 박물관 경영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는 전문가, 이보아 교수가 전하는 박물관과 테크놀로지에 대한 독보적인 연구와 통찰. 인문, 예술, 기술의 융합이 만드는 박물관 전시기술과 해석매체의 발전부터 관람 경험과 큐레이팅 방법론까지. 세계 주요 박물관의 혁신 실험과 최신 사례를 총망라한 예술경영의 바이블.

목차

목차 일부

머리말

1부
1장 관람 경험과 의미 생성
01 박물관의 해석적 기능과 관람 경험 | 02 관람객의 전시 이용 방식과 관람 행태

2장 디지털 기술과 해석 매체: 오디오 가이드
01 오디오 가이드의 발전 동향 | 02 카네기미술관과 워커아트센터의 휴대전화 기반의 오디오 가이드| 03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의 MP3 기반의 팟캐스팅 | 04 루브...

목차 전체

머리말

1부
1장 관람 경험과 의미 생성
01 박물관의 해석적 기능과 관람 경험 | 02 관람객의 전시 이용 방식과 관람 행태

2장 디지털 기술과 해석 매체: 오디오 가이드
01 오디오 가이드의 발전 동향 | 02 카네기미술관과 워커아트센터의 휴대전화 기반의 오디오 가이드| 03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의 MP3 기반의 팟캐스팅 | 04 루브르박물관의 게임기 기반의 오디오 가이드
3장 디지털 기술과 해석 매체: 멀티미디어 가이드
01 멀티미디어 가이드의 발전 동향| 02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의 멀티미디어 가이드| 03 테이트 모던의 멀티미디어 가이드 | 04 뮤제오 시비코의 멀티미디어 가이드 | 05 부온콘실리오성의 멀티미디어 가이드

4장 박물관과 모바일 기술
01 2010 핸드헬드 가이드 서베이 | 02 2011 모바일 기술 서베이 | 03 2012 박물관 연구에서의 모바일 기술 | 04 2013 모바일 서베이

5장 인터랙티브 전시 환경과 모바일 가이드
01 관람 경험 증진 및 확장을 위한 익스플로라토리움의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개발 프로젝트 | 02 일렉트로닉 가이드북 프로젝트 | 03 리멤버러 프로젝트 | 04 아이-가이드 프로젝트 | 05 엑스팟 프로젝트 | 06 박물관학 관점에서 접근한 익스플로라토리움의 모바일 기술 적용에 대한 분석

2부
1장 모바일 해석 매체로서의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
01 박물관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평가연구 | 02 삼성미술관 리움의 모바일 가이드에 대한 평가연구

2장 테크놀로지와 예술작품의 재매개
01 디지털 전시의 모션 그래픽 효과에 대한 평가 | 02 기술 수용 모델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전시의 평가 모델 | 03 디지털 전시의 몰입적 특성에 대한 비교 | 04 예술작품의 원작으로 구성된 전시와 원작을 재매개한 디지털 전시의 미적 경험에 대한 상이성 비교

미주 / 찾아보기

저자소개

국내 첫 박물관 경영학 박사.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미술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뉴욕대학교를 거쳐 플로리다 주립대학교에서 문화예술경영학(박물관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중앙대학교, 경희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재청, 국립중앙박물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등의 정부 기관에서 문화정책입안, 자문위원, 문화재위원, 문화기술위원 외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왔다.

현재 서강대학교 지식융합학부 아트 & 테크놀로지학과에서 ‘Data-Driven Thinking Lab’을 운영하며 미디어 기획 및 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융합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그밖에 국립여성전시관, 경기도박물관, 서대문자연사박물관, 부산증권박물관 등 다수의 박물관에서 자문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박물관 경영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인문학적 상상력, 예술과 디자인, 테크놀로지의 융합이 오늘날 박물관 전시기술학과 해석 매체의 발전, 관람 경험 창출과 큐레이팅 방법론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깊이있는 통찰을 제공한다.

저서로 《박물관 경영과 마케팅》 《박물관 현상학》 《박물관학 개론》 《성공한 박물관 성공한 마케팅》 《루브르는 프랑스박물관인가》 《박물관 영화를 유혹하다》 외 다수가 있고, 역서로 《관람객과 박물관》 《문화예술기관의 마케팅》 《21세기 박물관 경영》 《박물관 경영 핸드북》 등이 있다.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