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진부농서 역주 = (A) translated annotation of the agricultural manual "JinBunongseo"

진부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진부 1076-1156
최덕경
서명/저자사항진부농서 역주 = (A) translated annotation of the agricultural manual "JinBunongseo" / 陳敷 저 ; 최덕경 역주.
발행사항서울 : 세창, 2016.
형태사항238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 573
원서명陳敷農書
ISBN9788984116498
서지주기서지적 각주, 색인(p. 229-238) 포함
기금정보주기이 번역도서는 2014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비통제주제어중국농서,중국농업,농업기술,당송변혁기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71387 630.951 진47ㅈ최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진부농서』는 1149년에 진부에 의해 찬술된 농서로서 당송변혁기의 양상을 농업기술의 관점에서 잘 묘사한 책이다. 이 책은 송대에 정치경제의 중심권이 강남으로 이동하고 농업환경이 바뀌면서 기존의 화북적 한전농법이 강남의 수전농법과 결합되는 새로운 양상을 보여 준다. 또한 이 책은 기존의 주곡중심의 농업에서 농업과 양잠[農桑]이라는 새로운 농업의 틀을 통해 ...

목차 전체

『진부농서』는 1149년에 진부에 의해 찬술된 농서로서 당송변혁기의 양상을 농업기술의 관점에서 잘 묘사한 책이다. 이 책은 송대에 정치경제의 중심권이 강남으로 이동하고 농업환경이 바뀌면서 기존의 화북적 한전농법이 강남의 수전농법과 결합되는 새로운 양상을 보여 준다. 또한 이 책은 기존의 주곡중심의 농업에서 농업과 양잠[農桑]이라는 새로운 농업의 틀을 통해 상업적 농업의 길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저자인 진부는 비록 관직을 역임하지는 않았지만, 폭넓은 경전지식을 갖춘 독서인이면서 직접 농사를 지어 농민의 고충을 이해하고, 농민과 농업이 국가통치의 요체라는 사실을 웅변한 실천가였다. 그는 「자서自序」에서 농사일은 구습에 따라 대충 처리할 대상이 아니므로 일정한 규칙을 세워 일의 전후와 완급을 조절할 것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성군이 되기 위해서 농민이 즐겁게 농업에 종사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주고, 관료들은 실적이나 미사여구에만 관심을 둘 것이 아니라 농업의 본질을 깨우쳐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진부가 당시 통치의 요체를 농업과 농민에서 찾았다는 점에서 볼 때 『진부농서』는 농민의 농서인 동시에 학자의 입장도 대변한 농서라고 볼 수 있다.

목차

목차 일부

역주자 서문 3
일러두기 9
진부 자서 [陳?自序] 14

진부농서역주 상권 陳?農書譯註 卷上
제1_ 재원과 노동력의 조화 [財力之宜篇第一] 27
제2_ 지세에 적합한 방식 [地勢之宜篇第二] 32
제3_ 갈이와 김매기 [耕?之宜篇第三] 42
제4_ 자연의 시간에 상응하기 [天時之宜篇第四] 47
제5_ 여섯 가지 주요 작물의 적합한 파종시기 [六種之宜篇第五]...

목차 전체

역주자 서문 3
일러두기 9
진부 자서 [陳?自序] 14

진부농서역주 상권 陳?農書譯註 卷上
제1_ 재원과 노동력의 조화 [財力之宜篇第一] 27
제2_ 지세에 적합한 방식 [地勢之宜篇第二] 32
제3_ 갈이와 김매기 [耕?之宜篇第三] 42
제4_ 자연의 시간에 상응하기 [天時之宜篇第四] 47
제5_ 여섯 가지 주요 작물의 적합한 파종시기 [六種之宜篇第五] 57
제6_ 거처의 적당함 [居處之宜篇第六] 66
제7_ 토지에 거름 주기 [糞田之宜篇第七] 70
제8_ 김매기의 합당함 [?耘之宜篇第八] 76
제9_ 용도 절약의 마땅함 [節用之宜篇第九] 82
제10_ 근로 독려의 합당함 [稽功之宜篇第十] 90
제11_ 사용하는 도구의 적합함 [器用之宜篇第十一] 96
제12_ 마땅히 염려해야 할 것 [念慮之宜篇第十二] 99
제12_ 기원하고 보답함 [祈報篇] 102
제12_ 모근을 좋게 하기 [善其根苗篇] 114

진부농서역주 중권 陳?農書譯註 卷中
소에 관한 이야기 [牛說] 125
제1_ 소를 잘 키우고 잘 부리는 방법 [牧養役用之宜篇第一] 129
제2_ 질병치료의 합당함 [醫治之宜篇第二] 140

진부농서역주 하권 陳?農書譯註 卷下
누에 치고 뽕나무 기르기의 서문 [蠶桑敍] 149
제1_ 뽕나무를 재배하는 방법 [種桑之法篇第一] 150
제2_ 누에종자를 거두는 법 [收蠶種之法篇第二] 166
제3_ 누에 치는 법 [育蠶之法篇第三] 172
제4_ 잠실 온도조절과 뽕잎을 따는 법 [用火採桑之法篇第四] 177
제5_ 섶 채반과 고치를 저장하는 법 [簇箔藏繭之法篇第五] 183

후서와 발문
 진부의 후서 [陳?後序] 191
홍흥조의 후서 [洪興祖後序] 196
진부의 발문 [陳?跋] 199
왕강의 발문 [汪綱跋] 201
주발의 발문 [朱拔跋] 203

부 록 附 錄
 『진부농서』는 어떤 책인가? 209

찾아보기 229

저자소개

저자 : 진부
저자 진부는 북송 희녕熙寧 9년에 서산西山에서 출생하였다. 별명을 서산은거전진자西山隱居全眞子라고 불렸으며, 직접 농업에 종사한 지식인이었다. 74세의 고령에 기존 농서의 문제점과 사대부 권농관의 태도에 불만을 가져 그동안의 농사경험을 토대로 남방의 수도작, 잠상蠶桑, 양우養牛와 시비기술에 주목하여 1149년에 본 『농서』를 편찬했다.

역자 : 최덕경
역자 최덕경은 문학박사. 주된 연구방향은 중국고대 농업사이며, 생태환경사 및 농민생활사로 연구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현재 부산대학교 사학과 교수이며,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객원교수 및 북경대학 사학과 초빙교수로서 중국 고대사 강의와 생태환경사 공동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2001년에는 한국대표로 한중일 동아시아 농업사학회를 북경에서 창립하였으며, 2002년에는 3명의 교수와 함께 베트남관련 NGO단체인 VESAMO를 창립했고, 부산대 중국연구소의 창립(2006)과 함께 초대 소장을 역임했으며, 효원사학회 회장도 역임한 바 있다.
저서로는 『중국고대농업사연구』(1994), 『중국고대 산림보호와 생태환경사 연구』(2009)와 『동아시아 농업사상의 똥 생태학』(2016)이 있으며, 역서로는 『중국고대사회성격논의』(2인 공역: 1991), 『중국사(진한사)』(2인 공역: 2004)가 있고, 역주서로는 『농상집요 역주』(2012), 『보농서 역주』(2013)가 있다. 그 외에 한국과 중국에서 발간한 공동저서가 적지 않으며, 중국농업사 생태환경사 및 생활문화사 관련 단독논문이 90여 편 있다.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