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01 들어가며
02 다빈치 리졸브는 누구에게 필요하나?
03 다빈치 리졸브와 다빈치 리졸브 스튜디오 버전의 차이점
04 다빈치 리졸브에 적합한 시스템 구축하기
파트 01 시작하기
01 다빈치 리졸브 설치하기
다빈치 리졸브 다운로드 받기
다빈치 리졸브 설치하기
02 학습자료 활용하기
다빈치 리졸브 동글(Dongle) 사용자를 위한 ...
목차 전체
01 들어가며
02 다빈치 리졸브는 누구에게 필요하나?
03 다빈치 리졸브와 다빈치 리졸브 스튜디오 버전의 차이점
04 다빈치 리졸브에 적합한 시스템 구축하기
파트 01 시작하기
01 다빈치 리졸브 설치하기
다빈치 리졸브 다운로드 받기
다빈치 리졸브 설치하기
02 학습자료 활용하기
다빈치 리졸브 동글(Dongle) 사용자를 위한 데스크탑 비디오
03 프로젝트 파일 불러오기
프로젝트 파일 불러오기
프로젝트 실행하기
깨진 미디어 파일 새롭게 연결하기
04 프로젝트 생성 및 관리하기
디폴트 데이터베이스 관리하기(디스크 기반)
프로젝트 생성 및 관리하기
반드시 알아야 할 그밖에 기능들
검색기 사용하기
아이콘 크기 조절하기
프로젝트 내보내고/불러오기
프로젝트 전환하기
프로젝트 재설정하기
05 미디어(Media) 페이지 살펴보기
미디어 풀(Media pool) 패널에 폴더 및 비디오 파일(클립) 적용하기
뷰어(Viewer) 살펴보기
메타데이터 살펴보기
미디어 풀에 폴더 적용하기(빈 만들기)
빈(Vin) 추가 및 이름 바꾸기
빈 삭제하기
오디오 클립 적용하기
스마트 빈(Smart Bins) 생성하기
클론 툴(Clone Tool)을 이용한 파일관리
즐겨 사용되는 폴더 즐겨찾기에 등록 및 삭제하기
즐겨찾기에 등록하기
즐겨찾기에서 삭제하기
미디어 스토리지에 폴더 추가/삭제하기
미디어 스토리지에 폴더 추가하기
폴더 삭제하기
06 미디어 매니지먼트를 이용한 파일 관리
전체 프로젝트(Entire Project) 관리하기
다빈치 리졸브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포맷과 코덱
타임라인(Timelines) 관리하기
복사된 클립의 길이가 원본과 같다면?
클립(Clips) 관리하기
시퀀스 파일과 개별 스틸 이미지 파일 불러오기
작업환경과 재생환경 최적화하기
재생 환경 개선을 위한 프록시 모드(Proxy Mode)의 활용
프록시(Proxy)와 옵티마이즈(Optimize) 설정하기
07 인터페이스(Interface) 살펴보기
기본 인터페이스 살펴보기(작업 과정 살펴보기)
미디어 페이지
컷 페이지
에디트 페이지
퓨전 페이지
컬러 페이지
페어라이트 페이지
딜리버 페이지
워크스페이스(작업 페이지) 이동을 위한 단축키
워크스페이스(Workspace) 설정하기
전체 화면으로 전환하기
인터페이스 초기화하기
듀얼 모니터 사용하기
뷰어 모드 사용하기
오른쪽 마우스 버튼 적극 활용하기
08 시스템 환경 설정하기
시스템 프레퍼런스 설정하기
미디어 스토리지
시스템(인터페이스 밝기 설정하기)
Video IO and GPU
오디오(VST 플러그인)
비디오 플러그인
메모리 and GPU
컨트롤 패널
인터넷 어카운트
프로젝트 저장 and 가져오기
에디팅
프로젝트 설정하기(재설정)
마스터 프로젝트 세팅과 타임라인 빈 설정하기
프로젝트 저장하기와 자동 저장하기
그밖에 유용한 설정들(원활한 영상 재생을 위한 기능들)
비월주사 방식과 프로그레시브 방식의 차이
파트 02 비디오 편집
01 컷(Cut) 페이지 살펴보기
미디어 풀(Media pool) 살펴보기
뷰어(Viewer) 살펴보기
출력/전체화면/설정 살펴보기
트랜지션/타이틀/이펙트 살펴보기
타임라인 살펴보기
02 에디트(Edit) 페이지 살펴보기
미디어 풀(Media pool) 살펴보기
소스 뷰어와 레코드 뷰어 살펴보기
타임라인 살펴보기(아주 기본적인 편집법 익히기)
마크 인/아웃 영역 해제하기
이펙트 라이브러리와 에디트 인덱스 살펴보기
단축키 오류 해결하기(맥 OS)
프레임(장면) 동기화하기
노멀 에디트 모드(툴) 사용하기
03 비디오 편집을 위한 준비들
미디어 클립 및 프로젝트 속성 불러오기
프로젝트 속성 가져오기
미디어 파일 불러오기
XML 파일 불러오기 1
XML 파일 불러오기 2
비디오 캡처에 대하여
타임라인 생성 및 관리하기
타임라인 생성하기 1
타임라인 생성하기 2
트랙(비디오/오디오) 추가/삭제하기
04 비디오/오디오 편집의 실무
기본 편집 익히기(초급)
어셈블 편집(Assemble Editing)
인서트 편집(Insert Editing)
오버라이트 편집(Overwrite Editing)
작업 실행 취소를 위한 언두(Undo)와 복귀를 위한 리두(Redo)
리플레이스 편집(Replace Editing)
어펜드 편집(Append Editing)
새로운 타임라인에 클립 모두 적용하기
마크 인/아웃 영역에 클립 적용하기(3점 편집 - three point editing)
클립 삭제하기
윈도우즈와 맥의 단축키 조합에 대하여
클립(장면) 복사 및 붙여넣기
클립 교체하기
스냅과 언링크(클립 맞추기와 비디오/오디오 채널 분리하기)
타임라인 편집 익히기(중급)
타임라인 복제 및 이름 수정하기
클립 두 개로 만들어주기
클립의 인/아웃점을 이용한 편집
장면(클립) 나누기
클립 이동하기
키보드를 이용한 편집
플레이 헤드를 스크로빙할 때 소리 끄기
모든 클립 선택하기
노멀 에디트(Normal Edit) 모드와 트림(Trim) 편집 모드 이해하기
노멀 에디트 모드 이해하기
트림 모드 이해하기
소스 뷰어에서의 트림 모드
다이내믹 트림 모드에 대하여
타깃 트랙 지정하기
마커와 플래그를 이용한 편집
마커 활용하기
플래그 활용하기
오디오 편집 실무
페이드 인/아웃 설정하기
볼륨 조절하기
키프레임 애니메이션 이해하기
트랙 볼륨 조절하기
키프레임 삭제와 리셋하기
오디오 트랙 타입 변경 및 채널 분리하기
페어라이트 페이지 살펴보기
오디오 편집 모드를 이용한 편집
마이크를 이용한 내레이션 레코딩
그밖에 편집 테크닉
장면전환 이펙트 적용 및 설정하기
장면전환의 구조(원리)
장면(클립) 투명도 조절하기
컴포지트 모드를 이용한 합성법
장면 속도 조절 및 역재생하기
특정 장면 스틸 이미지 만들기
테이크 편집하기
컴파운드 클립 활용하기
멀티캠 편집하기(오디오 싱크)
제너레이터 활용하기
그레이 스케일(컬러 매트)을 이용한 합성
XML 파일 내보내기와 오토매틱 씬 컷에 대하여
XML 파일 내보내기
오토 씬 디텍트를 사용하여 장면 분석하기
오토 씬 디텍트 분석 오류 해결하기
오토 씬 디텍트로 분석된 장면을 타임라인에 적용하기
05 자막과 모션 그래픽
자막 제작하기
로워써드 자막 만들기
로워써드 자막 애니메이션 만들기
스크롤 자막 만들기
정지 자막 만들기
모션 그래픽 제작하기
트랜스폼 활용하기
PIP 장면 만들기
크롭핑을 이용한 화면 자르기
다이내믹 줌 활용하기
렌즈 커렉션을 이용한 화면 왜곡(스튜디오 버전)
06 퓨전(Fusion) 페이지 살펴보기
작업 패널 살펴보기
뷰어(Viewer) 살펴보기
노드(Node) 살펴보기
노드(Node) 사용하기
노드(Node)란?
노드(Node) 추가/연결/삭제/설정 방법
레이어 구조의 노드 설정하기
노드 툴바 설정하기
파트 03 색보정 & 렌더
01 컬러(Color) 페이지 살펴보기
갤러리(Gallery) 살펴보기
뷰어(Viewer) 살펴보기
노드(Node) 살펴보기
색보정 툴(Tools) 살펴보기
단축키 활용하기
02 스코프(Scopes) 활용하기
타임라인 점검 및 히어로 쇼트(Hero Shots) 선정하기
스코프(Scopes) 활용하기 1 - 콘트라스트(Contrast)와 노출(Exposure)
스코프(Scopes) 활용하기 2 - 색(Color)과 채도(Saturation)
스코프(Scopes) 활용하기 3 - 색(Color)과 채도(Saturation) 분석하기
브로드캐스트 세이프 필터 활용하기
03 색보정의 모든 것
프라이머리(Primary) 보정
컬러 휠(Color Wheels) 활용하기 - 오프셋(Offset) 컨트롤의 활용
컬러 휠(Color Wheels) 활용하기 - 리프트, 감마, 게인, 밝기 컨트롤의 활용
컬러 매치(Color Match)의 활용
컬러 휠(Color Wheels) 활용하기 - 리프트, 감마, 게인의 색상 변화
프라이머리 바(Primary Bar) 활용하기
파라미터(변수/속성/옵션) 설정값 초기화하기
콘트라스트(Contrast)와 피봇(Pivot) 컨트롤 활용하기
휴(Hue)와 채도(Saturation) 컨트롤 활용하기
키프레임(Keyframes) 활용하기 - 채도 컨트롤을 활용한 컬러에서 흑백으로 바뀌는 장면
스테틱(Static) 키프레임과 다이내믹(Dynamic) 키프레임의 차이
RGB 믹서(Mixer) 활용하기
커브(Curves)를 이용한 프라이머리 보정
RAW/LOG/LUT 이해하기
RAW, LOG, LUT 개념 이해하기
RAW 색보정
LUT를 이용한 LOG 색보정
노드(Node) 이해하기
시리얼 노드(Serial Node)란?
노드(Node) 추가/연결/삭제/재설정 방법
커렉터(Corrector)노드를 시리얼 노드(Serial Node)와 연결하기
스플리터 컴바이너(Splitter Combiner) 노드 이해하기
타임라인(Timeline) 이해하기
레이어 믹서(Layer Mixer) 노드 이해하기
패럴렐 믹서(Parallel Mixer) 노드 이해하기
아웃사이드 노드(Outside Node) 이해하기
키 믹서(Key Mixer) 노드 이해하기
알파 아웃풋(Alpha Output) 노드 이해하기
세컨더리(Secondary) 보정
커브(Curves)를 활용한 세컨더리 보정
로그(Log) 및 그밖에 컨트롤을 활용한 세컨더리 보정
HSL 키어(Keryer)를 이용한 부분 보정
HSL Matte Finesse 이해하기
3D 키어(keyer)를 이용한 부분 보정
윈도우(Window)를 이용한 부분 보정
윈도우를 활용한 비네트(Vignette) 효과
트래커(Tracker)의 활용
윈도우(Window)를 이용한 트래킹(Tracking) 작업
스테이빌라이저(Stabilizer)를 이용한 안정화 작업
에프엑스(FX)를 이용한 트래킹(Tracker) 작업
다양한 매칭(Matching) 기법
장면 매칭 작업하기 - 노출(Exposure)
HDR 그레이드(Grade)에 대하여
장면 매칭 작업하기 - 색상(Color)
색보정 시 필요한 추가적인 노드(Node) 사용하기
갤러리(Gallery)란?
스틸 이미지를 이용한 장면 매칭
버전(Versions)을 이용한 색보정
단축키를 이용한 장면(클립) 매칭
피부 톤 매칭(Skin Matching)하기
노드 그래프(Node Graph) 창 띄우기
그룹(Group)을 활용한 보정
보정 작업을 위한 이펙트
블러(Blur) / 샤픈(Sharpen)의 활용
라이트박스(Lightbox)의 활용
04 렌더(Render)의 모든 것
스마트 렌더 캐시(Smart Render Cache) 모드의 활용
장면별로 렌더링(Rendering)하기
렌더링된 파일 점검하기
하나의 파일로 렌더링(Rendering)하기
찾아보기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