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명신(지은이)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존스홉킨스 대학에서 천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우주망원경연구소, 릭천문대 연구원, 칼텍/우주망원경연구소 선임연구원을 지냈다. 2005년 한국천문학회 젊은천문학자상, NASA Group Achievement Award, 2017년 한국과학기자협회 올해의 과학자상, 2019년 한국천문학회 학술상, 2020년 서울대학교 학술연구교육상을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천문우주연구센터 센터장이자 물리천문학부 교수를 역임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스페이스 오페라』(공저), 『미래과학』(공저)이 있다.
심채경(지은이)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
본지 편집위원. 태양계 천체를 연구하는 행성과학자. 현재 한국천문연구원에 재직하며 달 탐사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옮긴 책으로 『우아한 우주』 등이 있다.
권우진(지은이)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이학사)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천문학과에서 이학석사를 받았다.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교 천문학과에서 이학박사를 받았고, 동 대학교 CARMA 박사후연구원, 네덜란드 우주연구소(SRON)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다.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 및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부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조중현(지은이)
연세대학교 천문기상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에서 석사를 받았다. 미국 어번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에서 박사를 받았고, 동 대학교에서 교직원으로 일했다. 현재 한국천문연구원에 재직 중이다.
김용철(지은이)
연세대학교 천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예일대학교 천체물리학에서 박사를 받았다. 동 대학교 태양-우주연구소 박사후연 구원을 지냈으며, 연세대학교 자외선우주망원경 연구단 연구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윤성철(지은이)
서울대학교 천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학에서 항성 진화 이론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지금은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별이 어떻게 살아가고 죽는지, 초신성이 어떻게 시작되는지, 초기 우주의 별은 어떤 모습인지 등을 연구하기 위해 매일 밤하늘을 바라봅니다. 학교 밖 사람들에게도 천문학을 통해 우리 자신과 우리가 사는 세상을 낯설게 볼 기회를 선물하고 싶습니다. 《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 《단 하나의 이론》(공저) 등을 썼고, JTBC 〈차이나는 클라스〉, 팟캐스트 〈과학하고 앉아있네〉 등 각종 매체에서 우주와 인간을 주제로 강의하고 있습니다.
정애리(지은이)
연세대학교 천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에서 석사를 받았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천문학 박사를 받았고, 미 전파천문대 Jansky 펠로와 하버드-스미소니언 SMA 펠로 그리고 포스코 사이언스 신진교수 펠로를 지냈다. 현재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신지혜(지은이)
경희대학교 천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에서 박사를 받았다. KIAA 펠로와 고등과학원 물리학부 박사후연구원을 역임했다. 현재 한국천문연구원 은하진화연구그룹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이명현(지은이)
칼 세이건을 사랑하는 천문학자. 어릴 적 별을 보며 자랐던 삼청동 옛집에 ‘과학책방 갈다’를 열었습니다. 이곳에서 시민들을 위한 과학 강의도 하고 문화 행사도 열면서 과학 네트워크를 잇는 일을 하고 있답니다. 네덜란드 흐로닝언 대학교에서 나선 은하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네덜란드 캅테인 연구소 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원, 연세대학교 천문대 책임연구원을 지냈어요. 지은 책으로는 《지구인의 우주공부》 《이명현의 별 헤는 밤》 《이명현의 과학책방》 등이 있습니다.
이유경(지은이)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를 졸업했고, 동 대학교에서 이학박사를 받았다. 극지연구소 선임·책임연구원, 지속가능한 북극 관측 네트워크 이사, 북극이사회산하, 북극모니터링 평가프로그램 한국 대표, 국제영구동토층협회 한국 대표로 있으며, 현재 극지연구소에서 북극 생태계를 연구하고 있다.
이석영 (지은이)
연세 대학교 천문우주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예일 대학교 천문학과에서 타원 은하의 자외광 진화에 관한 이론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항공 우주국(NASA) 고더드 우주 비행 센터에서 박사 후 연구원을 지내면서 허블 우주 망원경 프로젝트에 참여해 이론적 연구를 수행했다. 그 후 미국 캘리포니아 공과 대학 물리학과 교수를 지냈다. 2005년에는 별 생성을 멈춘 것으로 알려졌던 타원 은하가 별을 꾸준히 생성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해 세계 천문학계를 놀라게 했다. 이 업적을 인정받아 미국 천문학회의 초청을 받고 기조 강연을 하기도 했다. 현재 연세 대학교 천문우주학과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며, 타원 은하의 별 생성 과정과 초거대 블랙홀과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를 하고 있다. 은하의 진화 연구로 천문학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인 《미국 천체 물리학회지》, 《영국 왕립 천문학회지》, 《사이언스》, 《네이처》 등에 10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고, 미국 과학 한림원 협력 연구상을 받았다. 저서로는 『초신성의 후예』가 있다.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