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스페이스 오페라 = Space opera

임명신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임명신
심채경
권우진
조중현
김용철
윤성철
정애리
신지혜
이명현
이유경
이석영
단체저자명카오스
서명/저자사항스페이스 오페라 = Space opera / 임명신 [외]지음.
발행사항서울 : 반니, 2022.
형태사항285 p. : 주로천연색삽화, 표 ; 22 cm.
총서사항렉처 사이언스 KAOS ; 13
기타표제우주관측, 태양계의 기원, 외계행성, 지구멸망, 결, 은하해부, 가상 우주, 외계생명체 그리고 21세기 천문학
ISBN9791167961013
일반주기 색인(p. 281-285) 포함
공지은이: 심채경, 권우진, 조중현, 김용철, 윤성철, 정애리, 신지혜, 이명현, 이유경, 이석영
기획: 재단법인 카오스
KAOS는 'Knowledge awakening on stage'의 약어임
비통제주제어우주,천문학,우주과학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71445 523.1 임346ㅅ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지구 밖 우주 어딘가에 생명체가 있을까?인류가 우주로 향하는 이유는 꿈을 꾸기 위해서다. 우주는 미래다. 보이지 않는 저 어딘가 우리와 같은 생명체가 있을지 모른다는, 막연하지만 부푼 희망이 우리를 우주로 부른다. 대형 망원경으로 우주를 살피고, 그 시선 끝을 향해 우주선을 타고 간다. 21세기 천문학이 지향하는 것은 언제나 그랬던 것처럼 인류의 이름으로 ...

목차 전체

지구 밖 우주 어딘가에 생명체가 있을까?인류가 우주로 향하는 이유는 꿈을 꾸기 위해서다. 우주는 미래다. 보이지 않는 저 어딘가 우리와 같은 생명체가 있을지 모른다는, 막연하지만 부푼 희망이 우리를 우주로 부른다. 대형 망원경으로 우주를 살피고, 그 시선 끝을 향해 우주선을 타고 간다. 21세기 천문학이 지향하는 것은 언제나 그랬던 것처럼 인류의 이름으로 비전을 실현하는 것이다. 어린아이의 상상력과 수학자의 사유, 물리학자의 법칙과 공학도의 기술 모두를 아울러서, 지금까지 “우리는 어디에서 왔고, 무엇인가?”를 답했다면, 이제는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의 답을 찾아 항해할 차례다.

목차

목차 일부

LECTURE 01 보이는 만큼 안다

우주를 관측하는 첫 번째 방법, 안시관측 / 016 망원경으로 보게 된 우주 / 018 대형 망원경의 등장 / 022 다파장 천문학 / 024 보이는 만큼 알 수 있는 우주 / 027 우주를 보는 새로운 창, 다중신호 천문학 / 031 천문학이 밝혀준 것은 무엇일까? / 034
Q&A / 037

LECTUR...

목차 전체

LECTURE 01 보이는 만큼 안다

우주를 관측하는 첫 번째 방법, 안시관측 / 016 망원경으로 보게 된 우주 / 018 대형 망원경의 등장 / 022 다파장 천문학 / 024 보이는 만큼 알 수 있는 우주 / 027 우주를 보는 새로운 창, 다중신호 천문학 / 031 천문학이 밝혀준 것은 무엇일까? / 034
Q&A / 037

LECTURE 02 태양계의 기원과 탐사

우주 탄생의 신비를 품은 소행성 / 042 달의 탄생 / 046 태양계 탐사선 / 047 인류의 우주 탐사 / 050 대한민국, 우주 탐사에 동참하다 / 052 새로워진 태양계 탐사 / 054
Q&A / 059

LECTURE 03 외계행성: 태양계 너머의 세상

외계행성을 찾아내는 시선속도 측정법 / 064 두 번째 방법, 성면횡단 관측법 / 069 세 번째 방법, 미세중력렌즈 / 074 네 번째 방법, 직접 촬영법 / 075 현재까지 확인된 외계행성 / 077 외계행성의 과거 / 079
Q&A / 083

LECTURE 04 지구멸망 시나리오

다양한 지구멸망 시나리오 / 089 우주 위험 / 090 지구에 떨어진 우주 운석 / 093 지구를 지켜라 / 096 우리나라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가 / 100 우주환경 감시기관은 무슨 일을 하나 / 102
Q&A / 105

LECTURE 05 별, 그 위대한 삶의 이야기

별 빛에 숨겨진 비밀 / 110 별의 색깔과 밝기가 알려주는 비밀 / 113 별은 어떻게 빛을 내는가 / 118 별의 특성 정리하기 / 122 별의 탄생, 성장 그리고 죽음 / 125
Q&A / 130

LECTURE 06 무거운 별: 초신성, 중성자별, 블랙홀의 모체

무거운 별의 정의와 성질 / 134 무거운 별과 은하의 성질 / 139 무거운 별의 진화 / 142 초신성 폭발 / 148 감마선 폭발체 / 152 무거운 별의 다양한 진화 경로 / 153 무거운 별과 원소의 기원 / 155
Q&A / 158

LECTURE 07 은하해부학

수천 억 개의 은하가 존재하는 우주 / 165 관측으로 살펴본 은하의 특성 및 구성 / 166 은하의 역학적인 특성과 은하 저울 / 172 은하, 너의 이름은? / 173 은하의 나이 / 175 은하의 특성 변화를 유도하는 다양한 요인들 / 177 먼 거리의 은하 그리고 향후 은하 연구 / 180
Q&A / 184

LECTURE 08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한 가상 우주와 은하

은하와 우주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 / 190 거대한 우주 속 다양한 은하 / 193 우주배경복사 / 195 시뮬레이션이란 / 197 암흑물질 / 200 우주론적 중력진화 시뮬레이션 / 203 우주론적 유체역학 시뮬레이션-바리온 물리학 / 206 현대우주론과의 관계 / 209
Q&A / 211

LECTURE 09 외계생명체 미니 강연과 토론

1 외계지적생명체 탐색
외계지적생명체의 흔적을 찾는 과학적인 방식 / 217 브레이크스루 프로젝트 / 219 태비의 별 / 221
외계생명체를 찾는 끊임없는 노력 / 224
2 외계생명체의 가능성 극한생명체
화성에는 정말 외계인이 있을까? / 226 정말 화성에는 생명체가 없을까? / 228
3 내가 외계인을 상상하는 이유
상상 가능한 외계생명 / 236 자연법칙에 따른 제한조건들 / 240 지적인 외계인은 어떤 모습일까? / 243 끝나지 않은 코페르니쿠스 혁명 / 247
Q&A / 249

LECTURE 10 SPACE OPERA 에필로그 21세기 천문학

인류, 우주로 가다 / 252 우주 팽창의 역사 / 255 조화 모형 / 261 은하의 형성 / 265 별의 최후 / 268 천문학, 궁극의 질문 / 269
Q&A / 273

그림출처 / 276
찾아보기 / 281

저자소개

임명신(지은이)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존스홉킨스 대학에서 천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우주망원경연구소, 릭천문대 연구원, 칼텍/우주망원경연구소 선임연구원을 지냈다. 2005년 한국천문학회 젊은천문학자상, NASA Group Achievement Award, 2017년 한국과학기자협회 올해의 과학자상, 2019년 한국천문학회 학술상, 2020년 서울대학교 학술연구교육상을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천문우주연구센터 센터장이자 물리천문학부 교수를 역임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스페이스 오페라』(공저), 『미래과학』(공저)이 있다.

심채경(지은이)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
본지 편집위원. 태양계 천체를 연구하는 행성과학자. 현재 한국천문연구원에 재직하며 달 탐사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옮긴 책으로 『우아한 우주』 등이 있다.

권우진(지은이)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이학사)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천문학과에서 이학석사를 받았다.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교 천문학과에서 이학박사를 받았고, 동 대학교 CARMA 박사후연구원, 네덜란드 우주연구소(SRON)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다.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 및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부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조중현(지은이)
연세대학교 천문기상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에서 석사를 받았다. 미국 어번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에서 박사를 받았고, 동 대학교에서 교직원으로 일했다. 현재 한국천문연구원에 재직 중이다.

김용철(지은이)
연세대학교 천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예일대학교 천체물리학에서 박사를 받았다. 동 대학교 태양-우주연구소 박사후연 구원을 지냈으며, 연세대학교 자외선우주망원경 연구단 연구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윤성철(지은이)
서울대학교 천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학에서 항성 진화 이론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지금은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별이 어떻게 살아가고 죽는지, 초신성이 어떻게 시작되는지, 초기 우주의 별은 어떤 모습인지 등을 연구하기 위해 매일 밤하늘을 바라봅니다. 학교 밖 사람들에게도 천문학을 통해 우리 자신과 우리가 사는 세상을 낯설게 볼 기회를 선물하고 싶습니다. 《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 《단 하나의 이론》(공저) 등을 썼고, JTBC 〈차이나는 클라스〉, 팟캐스트 〈과학하고 앉아있네〉 등 각종 매체에서 우주와 인간을 주제로 강의하고 있습니다. 

정애리(지은이)
연세대학교 천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에서 석사를 받았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천문학 박사를 받았고, 미 전파천문대 Jansky 펠로와 하버드-스미소니언 SMA 펠로 그리고 포스코 사이언스 신진교수 펠로를 지냈다. 현재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신지혜(지은이)
경희대학교 천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에서 박사를 받았다. KIAA 펠로와 고등과학원 물리학부 박사후연구원을 역임했다. 현재 한국천문연구원 은하진화연구그룹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이명현(지은이)
칼 세이건을 사랑하는 천문학자. 어릴 적 별을 보며 자랐던 삼청동 옛집에 ‘과학책방 갈다’를 열었습니다. 이곳에서 시민들을 위한 과학 강의도 하고 문화 행사도 열면서 과학 네트워크를 잇는 일을 하고 있답니다. 네덜란드 흐로닝언 대학교에서 나선 은하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네덜란드 캅테인 연구소 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원, 연세대학교 천문대 책임연구원을 지냈어요. 지은 책으로는 《지구인의 우주공부》 《이명현의 별 헤는 밤》 《이명현의 과학책방》 등이 있습니다.

이유경(지은이)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를 졸업했고, 동 대학교에서 이학박사를 받았다. 극지연구소 선임·책임연구원, 지속가능한 북극 관측 네트워크 이사, 북극이사회산하, 북극모니터링 평가프로그램 한국 대표, 국제영구동토층협회 한국 대표로 있으며, 현재 극지연구소에서 북극 생태계를 연구하고 있다.

이석영 (지은이) 
연세 대학교 천문우주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예일 대학교 천문학과에서 타원 은하의 자외광 진화에 관한 이론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항공 우주국(NASA) 고더드 우주 비행 센터에서 박사 후 연구원을 지내면서 허블 우주 망원경 프로젝트에 참여해 이론적 연구를 수행했다. 그 후 미국 캘리포니아 공과 대학 물리학과 교수를 지냈다. 2005년에는 별 생성을 멈춘 것으로 알려졌던 타원 은하가 별을 꾸준히 생성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해 세계 천문학계를 놀라게 했다. 이 업적을 인정받아 미국 천문학회의 초청을 받고 기조 강연을 하기도 했다. 현재 연세 대학교 천문우주학과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며, 타원 은하의 별 생성 과정과 초거대 블랙홀과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를 하고 있다. 은하의 진화 연구로 천문학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인 《미국 천체 물리학회지》, 《영국 왕립 천문학회지》, 《사이언스》, 《네이처》 등에 10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고, 미국 과학 한림원 협력 연구상을 받았다. 저서로는 『초신성의 후예』가 있다.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