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의학서적전문 "성보의학서적"의 신간도서입니다.
<최신정신의학>은 1987년 출간 후 정신의학 분야가 발전하면서 그동안 여러 차례 수정, 보완을 거듭하여 제7판에 이르렀다. 제6판까지와 달리 민성길, 김찬형 교수가 공동 집필한 이번 책에서는 정신장애와 그 치료법에 대해 포괄적이면서 의학적으로 정확한 안내서가 될 수 있도록, 어느 특정 학파에 초점을 맞추기보...
목차 전체
의학서적전문 "성보의학서적"의 신간도서입니다.
<최신정신의학>은 1987년 출간 후 정신의학 분야가 발전하면서 그동안 여러 차례 수정, 보완을 거듭하여 제7판에 이르렀다. 제6판까지와 달리 민성길, 김찬형 교수가 공동 집필한 이번 책에서는 정신장애와 그 치료법에 대해 포괄적이면서 의학적으로 정확한 안내서가 될 수 있도록, 어느 특정 학파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정신건강에 관련된 모든 학파의 최신 연구결과를 집대성하였다. 특히 정신사회적 이론과 치료를 비중 있게 다룸으로써, 생물정신의학과의 균형을 추구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상황을 고려하여 신병과 화병, 자살 등을 독립된 챕터로 취급하였다. 그리고 정신건강 전문가들을 위한 전문적인 정보는 작은 글자로 기술함으로써 제한된 공간이지만 보다 풍부한 정보를 담으려고 노력하였다.
이 책에는 조현병, 우울증 등 각각의 정신장애뿐만 아니라, 정신의학의 개념과 역사, 인간행동에 대한 생물학적·정신사회적 이론, 정신의학의 사회적 의미, 정신병리학, 생애주기와 정신의학, 정신의학과 법, 윤리, 소아·청소년, 노인 관련 정신의학, 응급 및 재난 관련 정신의학, 정신신체의학과 자문조정 정신의학 등 정신의학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망라되어 있다.
제7판에서는 전체적으로는 전통적인 총론-각론-치료라는 짜임새를 유지하되, 정신장애의 분류와 병명과 증상 기술에 있어서는, 2022년 나온 미국의 DSM-5-TR에 따랐다. 그러나 미국의 DSM-5-TR도 현재 ICD-10의 병명과 일치시켜 ICD-10-CM의 코드를 사용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ICD-10을 표준화한 ‘한국 표준 질병 사인 분류 제8판’(KCD-8)을 사용하고 있으며, 2019년에 나온 ICD-11이 한국 표준 질병 사인 분류로 확정되기까지 시간이 걸릴 예정이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DSM-5-TR과 KCD-8의 병명과 코드, 그리고 필요하다면 진단기준을 병기하였다.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