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중국과 대만의 한국학 지식 지형도 : 사회ㆍ문화 분야 학술 데이터 분석

김윤태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윤태
서명/저자사항중국과 대만의 한국학 지식 지형도 : 사회ㆍ문화 분야 학술 데이터 분석 / 김윤태 지음.
발행사항파주 : 한국학술정보, 2021.
형태사항206 p. : 삽화, 표 ; 23 cm.
총서사항중국과 대만의 한국학 지식지형도 연구총서 ; 2
ISBN9791168012684
일반주기 부록: 중국과 대만의 한국어 관련 학과/연구소 현황
서지주기서지적 각주, 참고문헌(p. 193-199) 포함
비통제주제어한국학,중국,대만,한중관계,사회문화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71497 951.9 김67ㅈ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본 연구는 한국학 ‘지식체계’가 중국과 대만 지역에서 시기별로 어떠한 연구자와 어떠한 연구기관들을 통해 생성, 전파, 공유되었는지에 대한 ‘지식의 확산 과정’과 이 과정에서 형성되는 ‘지식 확산 구조’를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특히 사회문화 영역으로 한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지식 확산 초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오피니언 리더’가 동...

목차 전체

본 연구는 한국학 ‘지식체계’가 중국과 대만 지역에서 시기별로 어떠한 연구자와 어떠한 연구기관들을 통해 생성, 전파, 공유되었는지에 대한 ‘지식의 확산 과정’과 이 과정에서 형성되는 ‘지식 확산 구조’를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특히 사회문화 영역으로 한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지식 확산 초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오피니언 리더’가 동료들과 관련 정보를 교환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비공식적 연결망, 즉 ‘보이지 않는 집단’을 파악하는 작업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목차

목차 일부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표
제2절 선행연구의 검토
제3절 연구 방법

제2장 중국의 한국학 거시 지형도
제1절 중국 내 한국(조선) 관련 학과 및 연구소 지형도
제2절 사회 분야의 거시 지형도
제3절 문화 분야의 거시 지형도
제4절 교육 분야의 거시 지형도

제3장 중국의 한국학 미시 지형도-지식 구조 분석
제1절...

목차 전체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표
제2절 선행연구의 검토
제3절 연구 방법

제2장 중국의 한국학 거시 지형도
제1절 중국 내 한국(조선) 관련 학과 및 연구소 지형도
제2절 사회 분야의 거시 지형도
제3절 문화 분야의 거시 지형도
제4절 교육 분야의 거시 지형도

제3장 중국의 한국학 미시 지형도-지식 구조 분석
제1절 사회 분야 지식 구조
제2절 문화 분야 지식 구조
제3절 교육 분야 지식 구조
제4절 중국의 한국학 확산과 한계

제4장 대만의 한국학
제1절 연도별 추세 분석
제2절 주요 연구자, 주요 학술지, 주요 학문 분야와 키워드 분석
제3절 대만의 한국학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제1절 중국과 대만의 한국학 연구동향 비교
제2절 정책적 함의: 한국학의 효과적 확산 모델 재정립

참고문헌
부록

저자소개

저자(글) 김윤태

인물정보
중국어학자/중문학자
■ 학력 및 경력
ㆍ 한국외대 중국어과 학사, 국립 대만대학 사회학석사/박사
ㆍ (현) 동덕여자대학교 중어중국학과 교수
ㆍ (현) 동덕여대 부설 한중미래연구소 소장
ㆍ (전) 중국학 연구회 회장(2019년)
ㆍ (전) 외교부 재외동포정책 실무위원
■ 주요 논문 및 저서
ㆍ 재중 대만인의 중국사회 적응과 발전:초국가적 사회영역을 중심으로(2016)
ㆍ ‘초국가주의 역동성’으로 살펴 본 조선족 기업가 유형분석과 그 의미(2017)
ㆍ ‘재미 중국동포’의 이주와 정착, 경제사회적 특징: 캘리포니아 거주 중국동포를 중심으로(2018)
ㆍ Mining Semantic Tags in a Content Analysis System for a Letter Database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2019)
ㆍ 중국동포 다중정체성의 형성: 문화대혁명 시기 한민족 정체성의 소실과 복원(2020)
ㆍ チャイナㆍリスクといかに向きあうか: 日韓台の企業の挑戦(동경대학 출판회, 공저, 2016)
ㆍ 한상의 모국진출 현황: 중국 조선족 기업의 네트워크 및 한국경제에 대한 기여(재외동포재단, 공저, 2016)
ㆍ 재중 한국인 사회의 형성과 초국가주의적 생활 경험(한국학술정보, 공저, 2019)
ㆍ 進步與正義的時代(巨流圖書公司, 공저, 2020)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