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중화권 한국학 지식확산 구조’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과 대만의 ‘한국학 지식 지형도’형성에 기여한 오피니언 리더와 보이지 않는 손에 대해 살펴본다.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법을 통해 키워드 연결망과 의미 연결망을 분석하고, 비교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과 중국, 대만의 한국학을 비교한다. 중화권 한국학이 한...
목차 전체
이 책은 ‘중화권 한국학 지식확산 구조’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과 대만의 ‘한국학 지식 지형도’형성에 기여한 오피니언 리더와 보이지 않는 손에 대해 살펴본다.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법을 통해 키워드 연결망과 의미 연결망을 분석하고, 비교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과 중국, 대만의 한국학을 비교한다. 중화권 한국학이 한국과의 관계 속에서 발전하지만 중국과 대만의 한국학에 큰 차이가 있음도 밝힌다. 그리고 개인적 지식이 집단화한 후 사회적 지식으로 확산하는 지식확산 구조에 대해 S형 곡선을 활용하여 ‘한국학 지식확산 모델’을 구축한다. 이 책을 통해 세계 각국의 한국학 지식확산 구조가 파악되고 이를 통해 한국학의 세계화가 보다 체계화 되는 계기가 되길 기원해 본다.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