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제1부 국어교육의 이론적 기초
제1장 국어교육의 개념
1. 국어교육의 기초
2. 언어의 이해
3. 언어와 사고
4. 발달장애 학생의 국어교육
제2장 언어발달 이론
1. 아동 언어발달
2. 읽기 발달
3. 쓰기 발달
제3장 장애별 언어 관련 특성 및 주요 교수 방법
1. 시각장애
2. 청각장애
3. 지적장애
4. 지체장애
5. 정서·행동장애 및...
목차 전체
머리말
제1부 국어교육의 이론적 기초
제1장 국어교육의 개념
1. 국어교육의 기초
2. 언어의 이해
3. 언어와 사고
4. 발달장애 학생의 국어교육
제2장 언어발달 이론
1. 아동 언어발달
2. 읽기 발달
3. 쓰기 발달
제3장 장애별 언어 관련 특성 및 주요 교수 방법
1. 시각장애
2. 청각장애
3. 지적장애
4. 지체장애
5. 정서·행동장애 및 자폐성 장애
6. 의사소통장애
7. 학습장애
제2부 국어과 교수·학습의 이론과 실제
제4장 특수교육 국어과 교육과정
1. 교육과정의 변천
2. 공통 교육과정
3. 기본 교육과정
제5장 국어과 수업 모형
1. 국어과 수업 모형에 대한 이해
2. 직접교수 모형
3. 문제해결 학습 모형
4. 창의성 계발 학습 모형
5. 지식탐구 학습 모형
6. 반응중심 학습 모형
7. 역할수행 학습 모형
8. 가치탐구 학습 모형
9. 전문가 협동학습 모형
10. 토의·토론 학습 모형
제6장 말하기·듣기 평가 및 지도 방법
1. 말하기·듣기의 개념
2. 말하기·듣기 과정
3. 장애학생의 말하기·듣기 특성
4. 말하기·듣기 평가
5. 말하기·듣기 지도
6. 말하기·듣기 수업 시 교사의 유의점
제7장 읽기 평가 및 지도 방법
1. 읽기의 개념
2. 읽기 평가
3. 읽기 지도 방법
제8장 쓰기 평가 및 지도 방법
1. 쓰기의 개념
2. 쓰기 평가
3. 쓰기 지도
제9장 문학교육과 평가
1. 문학교육의 의미
2. 문학교육의 목표
3. 문학교육의 내용
4. 아동문학의 종류와 특성
5. 문학 영역의 지도 방법
6. 문학교육에서의 평가
제3부 장애학생을 위한 언어교육 방법
제10장 총체적 언어교육
1. 총체적 언어교육의 개념
2. 총체적 언어교육의 평가
3. 총체적 언어교육의 방법
4. 총체적 언어교육을 실시할 때 교사의 역할 및 환경 구성
제11장 언어 경험 접근법
1. 언어 경험 접근법의 개념과 특징
2. 언어 경험 접근법의 장단점과 보완 방안
3. 언어 경험 접근법의 방법
4. 언어 경험 접근법의 절차
5. 읽기 과정에 근거한 언어 경험 접근법의 적용
제12장 환경 중심 언어교육
1. 환경 중심 언어교육의 개념
2. 환경 중심 언어교육의 절차
3. 환경 중심 언어교육 활용 기법
4. 환경 중심 언어교육 적용 사례
제13장 보완·대체 의사소통
1. 보완·대체 의사소통의 개념
2.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의 유형
3.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 평가
4. 장애학생을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 전략
〈부록〉
부록 1: 살아 있는 교실을 위한 즐거운 수업 개선
부록 2: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찾아보기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