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韓國佛家詩文學史論

이종찬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이종찬 1933-
서명/저자사항韓國佛家詩文學史論 / 이종찬 지음.
발행사항서울 : 불광, 1993.
형태사항818 p. ; 23 cm.
ISBN8974795299
일반주기 색인(p. 793-818) 포함
비통제주제어불가,시문학,불가시문학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60351 895.7109 이7576ㅎ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0299356 대출가능

초록

『한국불가 시문학사론』은 10여 년 전부터 승려의 문집을 섭렵해온 저자가 현대로 이어질 만한 문학론적 요소를 찾아보고, 가려 뽑을 시문을 정리하여 엮은 책이다. 작품에 대한 해설과 함께 문학론적 제시, 문학성 등을 함께 설명해 작품을 이해하고 한국불가의 시문학사론을 공부하는데 도움을 준다.

목차

목차 일부

自序
序論

新羅篇
新羅佛經諸疏와 偈頌의 文學性
元曉의 시문학 - 大乘六情懺悔를 중심으로 -
義湘의 槃詩 一乘法界圖

高麗篇
義天의 文學
知訥 普照禪의 문학적 推移
慧諶의 실천적 修禪과 문학양산
沖止의 禪俗不二的 禪詩
天?의 道眼無隔의 禪理詩
敍事時「釋迦如來行蹟頌」考察
景閑의 無心的 詩世界
唯心的 普愚의 歌頌
慧勤의 典型的 偈...

목차 전체

自序
序論

新羅篇
新羅佛經諸疏와 偈頌의 文學性
元曉의 시문학 - 大乘六情懺悔를 중심으로 -
義湘의 槃詩 一乘法界圖

高麗篇
義天의 文學
知訥 普照禪의 문학적 推移
慧諶의 실천적 修禪과 문학양산
沖止의 禪俗不二的 禪詩
天?의 道眼無隔의 禪理詩
敍事時「釋迦如來行蹟頌」考察
景閑의 無心的 詩世界
唯心的 普愚의 歌頌
慧勤의 典型的 偈頌

朝鮮篇
麗忠鮮孝의 元?
涵虛의 文學世界
虛應의 詩
碧松과 芙蓉
淸虎의 詩
靜觀의 禪味
浮休의 如如한 詩世界
四溟의 靖難詩
中觀의 禪機詩
靑梅의 頌古詩
禪機 넘치는 消遙의 詩
鞭羊의 僧俗無碍
普應의 忘機
霽月의 幽閑
聲律이 절로 어울린 詠月의 詩
雲谷의 道俗을 초월한 酬唱
奇巖의 圓音
翠微의 隨順
虛白과 丁卯胡亂
佛·儒·仙을 섭렵한 枕肱
詩와 文에 두루 통한 白谷
月渚의 평범한 언어의 詩化
敎行을 중시한 栢庵
楓溪의 探勝
雪巖의 탈속적 詩世界
無用의 詩
僧俗 中立의 無竟
喚醒의 弄禪通敎
影海의 公卿外護的 酬唱
平淡한 虛靜의 詩
僧俗이 인정한 詩僧, 松桂
霜月이 자연 소재가 두드러진 詩風
神解를 귀히 여긴 天鏡의 詩
道態와 詩情이 어울린 月波
龍潭의 佛理의 詩化
海蓬의 詩文
情으로 정을 끊은 雪潭의 詩
幽情遠意의 野雲
鰲巖의 詩로 표현한 禪志
龍巖의 詩
大圓의 自然과 禪旨
禪理로 일관한 默庵
禪林의 木鐸으로 인정된 蓮潭의 詩
括虛의 山水詩에 보인 禪
鏡巖의 詩文
天才로 알려졌던 仁嶽
詩로 만족했던 澄月
易學에 심취했던 蓮坡
典雅한 시풍으로 알려진 月荷
酬唱에 뛰어난 艸衣의 시
惠楫의 鐵般小艸
敎戒로 일관된 暎虛의 詩
山水를 抒情의 대상으로 삼은 涵弘
淵源을 세우기에 몸바친 梵海
奇文 奇詩로 알려진 鏡虛의 詩
石顚의 天?的 詩論과 紀行詩

總結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 : 이종찬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