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

김봉렬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봉렬, 1958-
이인미
서명/저자사항(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 / 김봉렬 글 ; 이인미 사진.
발행사항파주 : 돌베개, 2006.
형태사항403 p. : 주록 채색삽도 ; 25 cm.
ISBN8971992336 (v.1)
8971992344 (v.2)
8971992352 (v.3)
8971992328(세트)
일반주기"한국건축의 재발견" 의 개정판
색인포함
부록: 1.건축 읽기에 도움이 되는 용어해설, 2. 도면목록
내용주기제1권: 시대를 담는 그릇 -- 제2권:앎과 삶의 공간 -- 제3권: 이 땅에 새겨진 정신
비통제주제어한국건축,건축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313753 720.9519 김4525ㅎ2 v.1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2 E313754 720.9519 김4525ㅎ2 v.1 c.2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3 E313755 720.9519 김4525ㅎ2 v.2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4 E313756 720.9519 김4525ㅎ2 v.2 c.2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5 E313757 720.9519 김4525ㅎ2 v.3 중앙도서관/제2보존서고/ 0265341 대출가능
6 E313758 720.9519 김4525ㅎ2 v.3 c.2 중앙도서관/제2보존서고/ 0265342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는 1999년 건축 잡지 『이상건축』에서 초간되었던 『한국건축의 재발견』 전3권의 개정증보판이다. 이 시리즈는 출간 직후부터 학계와 언론, 독서계의 주목과 호평을 받으며 한국 전통건축 전반을 새롭고 충실하게 다룬 최초이자 유일의 교양입문서로서, 고전으로 자리매김해왔다. 잡지의 폐간 등 출간사의 사정으로 절판된 지 2년여가 지난 지...

목차 전체

『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는 1999년 건축 잡지 『이상건축』에서 초간되었던 『한국건축의 재발견』 전3권의 개정증보판이다. 이 시리즈는 출간 직후부터 학계와 언론, 독서계의 주목과 호평을 받으며 한국 전통건축 전반을 새롭고 충실하게 다룬 최초이자 유일의 교양입문서로서, 고전으로 자리매김해왔다. 잡지의 폐간 등 출간사의 사정으로 절판된 지 2년여가 지난 지금, 이를 아쉬워하는 독자들과 연구자들의 절실한 요구, 그리고 이 명저의 재출간에 뜻을 모은 필자와 출판사의 바람으로 2006년 오늘의 시점에서 다시 엮어내게 되었다.

그간의 명성과 가치 그대로, 오늘에 맞는 내용으로 수정·보완하여 짜임새 있게 편집하였으며, 읽기 편하게 감각적으로 디자인하고, 사진을 올컬러로 교체하였다. 또한 건축의 초년생과 일반인들도 이해하기 쉽도록 유용한 도움 글과 용어설명을 곁들여, 첫 글이 씌어진 지(1995년~1997년 3년간 월간 『이상건축』에 연재) 10년 만에 새로운 세대의 독자들에게 새롭게 선보이게 되었다.

1권 ''시대를 담는 그릇''에서는 역사적 관점 즉, 시대성과 지역성이 부각된 내용들을 주로 다루었다. 그러나 보편적인 건축서에서 접하게 되는, 모든 시대를 다루면서 시대적 변천 과정을 서술한 연대기적 내용은 아니다. 오히려 한 특정 시대의 특정한 건축이 어떻게 탄생하는가의 공시적 내용들이 대부분이다. 우리에게 매우 익숙하면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점에 서 있는 건축의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목차

목차 일부

1. 세계적 유산의 또 다른 이야기, 불국사와 석굴암
불국사와 석굴암론의 쟁점들|최고의 하이테크 건축|국제적 염원의 성취, 석굴암|경전으로서의 건축, 불국사|다보탑이냐, 석가탑이냐?

2. 문화적 전환기의 건축, 안압지와 마곡사
변화와 위기의 순간들|통일의 기념 정원 안압지|안압지, 극단적인 것들의 통합 정신|원의 지배와 문화의 수입, 경천사지 10...

목차 전체

1. 세계적 유산의 또 다른 이야기, 불국사와 석굴암
불국사와 석굴암론의 쟁점들|최고의 하이테크 건축|국제적 염원의 성취, 석굴암|경전으로서의 건축, 불국사|다보탑이냐, 석가탑이냐?

2. 문화적 전환기의 건축, 안압지와 마곡사
변화와 위기의 순간들|통일의 기념 정원 안압지|안압지, 극단적인 것들의 통합 정신|원의 지배와 문화의 수입, 경천사지 10층석탑|마곡사의 탑, 이 시대의 업경대|두 가람의 집합체, 마곡사

3. 백제계 건축의 평지성, 미륵사와 금산사
백제권 건축과 지형|백제권의 미륵신앙과 사찰건축|미륵신앙의 본산, 금산사|금산사의 전각들

4. 침묵의 기념비, 종묘
왕조의 정통성을 위하여|길과 선의 건축|길어지는 건물들과 척도감|종묘의 다른 건물들|세계문화유산을 살리는 길

5. 장인정신과 공예적 전통, 전북의 작은 사찰들
장인들과 공예정신 ㅣ 완주 화암사 ㅣ 부안 내소사 ㅣ 부안 개암사 ㅣ 고창 선운사 참당암

6. 유희에서 실용으로, 부용동 원림과 해남 녹우당
어부사시사와 전가서사, 관념과 사실|보길도의 놀이구조|자연 속의 극장, 세연정|중세적 장원, 녹우당|녹우당, 실용의 정신|윤씨 가의 건축들

7. 합리주의와 낭만주의, 양동마을의 관가정과 향단
양동마을 이야기|갈등구조 속의 건축|절제와 규범 속의 다양함, 관가정|뚜렷한 개성과 의도, 향단|관가정의 합리성과 향단의 낭만성

8. 조선시대의 평창동, 양동마을 주택들
양동마을 주택들의 개별성|고전적 원형, 서백당|종가급의 주택들|중기의 주택들|정자와 서당

9. 모방인가 창조인가, 수원화성
계몽군주의 영원한 도시|18세기 르네상스의 꽃|새로운 정신, 새로운 도시|견고하고 아름다운 성곽|또 다른 수원화성들

[부록]
건축 읽기에 도움이 되는 용어해설|도면 목록|찾아보기

[발문] 고전으로서의 건축 - 정기용(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저자소개

저 : 김봉렬 (金奉烈)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영국 AA graduate school에서 수학했다. 울산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현재는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시 문화재위원회, 한국역사학회, ICOMOS 한국위원회 등 관련 단체 활동 및 비평과 강연 활동도 겸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 1, 2, 3』, 『서원건축』,『불교건축』, 『가보고 싶은 곳, 머물고 싶은 곳』 등이 있다. 20대에 집필한 최초의 저서 『한국의 건축』은 일본에서 일어판으로 출간되었고, 『The Secret Spirits of Korean Architecture』는 2005년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에서 ‘한국의 책 100권’으로 선정되어 영국에서 영어판으로 출간되었다. 실무활동도 겸하여 ‘개포동교회’, ‘사계절출판사’, ‘현대중공업 영빈관’, ‘프랑크푸르트 한국정원’ 등을 설계했다.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