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죽음과 윤리 : 인간의 죽음과 관련한 생명윤리학과 논쟁들

이을상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이을상
서명/저자사항죽음과 윤리 : 인간의 죽음과 관련한 생명윤리학과 논쟁들 / 이을상 지음.
발행사항서울 : 백산서당, 2006.
형태사항440 p. : 삽도,도표 ; 23 cm.
기타표제관제: Death dying
ISBN8973273817
서지주기참고문헌(p. 423-434), 색인(p. 435-440) 포함
비통제주제어죽음,윤리,,장기이식,안락사,죽음관,생명윤리학,생명의료윤리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334015 174.2 이68476ㅈ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2 E334016 174.2 이68476ㅈ c.2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죽음과 윤리』는 2002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에서 공모한 기초학문 연구과제에 "한국인의 신체관, 영혼관 죽음관과 의료윤리"가 선정됨으로써 인간의 죽음을 둘러싼 생명윤리학의 쟁점을 분석 정리한 성과물로 나온 책으로 인간에게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죽음과 임종현상에 어떻게 접근 할 것인가 하는 접근방식, 죽음의 활용 및 이로부터 생겨나는 문제, 특히 윤리적인 문제...

목차 전체

『죽음과 윤리』는 2002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에서 공모한 기초학문 연구과제에 "한국인의 신체관, 영혼관 죽음관과 의료윤리"가 선정됨으로써 인간의 죽음을 둘러싼 생명윤리학의 쟁점을 분석 정리한 성과물로 나온 책으로 인간에게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죽음과 임종현상에 어떻게 접근 할 것인가 하는 접근방식, 죽음의 활용 및 이로부터 생겨나는 문제, 특히 윤리적인 문제에 관한 종합적인 이해에 대한 고찰을 담았다.

목차

목차 일부

머리말 = 3
제1부 죽음: 의미와 정의
Ⅰ. 인간의 죽음과 자기 문제성 = 17
Ⅱ. 죽음: 과정인가, 사건인가? = 41
1. 임상의학과 죽음의 의미 = 41
2. 생물학적 죽음과 임상적 죽음 = 45
3. 법에서 죽음의 정의 = 50
4. 죽음을 사건으로 보는 논거 = 57
5. 요약 = 63
Ⅲ. 임상의학에서 죽음의 정의 = 65
1. 죽음이란? =...

목차 전체

머리말 = 3
제1부 죽음: 의미와 정의
Ⅰ. 인간의 죽음과 자기 문제성 = 17
Ⅱ. 죽음: 과정인가, 사건인가? = 41
1. 임상의학과 죽음의 의미 = 41
2. 생물학적 죽음과 임상적 죽음 = 45
3. 법에서 죽음의 정의 = 50
4. 죽음을 사건으로 보는 논거 = 57
5. 요약 = 63
Ⅲ. 임상의학에서 죽음의 정의 = 65
1. 죽음이란? = 65
2. 죽음의 형식적 정의 = 69
3. 죽음의 개념 = 73
4. 죽음이 일어나는 부위 = 80
5. 죽음의 결정기준 = 84
6. 요약 = 89
Ⅳ. 뇌사는 인간의 죽음인가? - 뇌사에 관한 찬ㆍ반 논쟁 - = 91
1. 뇌사란? = 91
2. 뇌사 과정의 메커니즘 = 94
3. 죽음의 정의와 뇌사 판정기준 = 97
가. 뇌사는 죽음의 정의를 충족시키는가? = 98
나. 뇌사의 결정기준은 타당한가? = 101
다. 뇌사검사는 믿을 만한가? = 107
4. 뇌사를 둘러싼 찬ㆍ반 논쟁 = 113
가. 뇌사가 인간의 죽음인 논거 = 117
나. 뇌사가 인간의 죽음이 아닌 논거 = 119
5. 대뇌사는 인간의 죽음인가? = 121
가. 대뇌사가 인간의 죽음인 이유 = 121
나. 대뇌사를 반대하는 이유 = 126
6. 뇌사와 장기이식 = 128
제2부 죽음과 삶의 나눔: 장기이식
Ⅴ. 장기이식의 현황과 기술적인 문제들 = 135
1. 장기이식이란? = 135
2. 우리나라의 장기이식 현황 = 140
3. 장기이식을 가로막는 최대의 적, 거부반응 = 144
4. 면역억제제 사용에 따른 감염증과 암세포의 증식 = 149
5. 조직적합성과 이식의 우선순위 = 155
6. 인공장기의 한계와 장기이식 = 158
〈보론〉 인간배아복제와 대체장기의 생산 = 161
Ⅵ. 장기이식의 정당화와 윤리적 함의 = 169
1. 머리말 = 169
2. 전체성의 원리 = 170
3. 이중결과의 원리 = 174
4. 충분한 정보에 근거한 동의 = 181
가. 문지방 요소 = 186
나. 정보요소 = 189
다. 동의요소 = 192
5. 추정동의 = 195
6. 요약 = 199
Ⅶ. 장기기증: 자원의 재활용인가, 축복받은 선물인가? = 201
1. 장기기증의 현실태와 문제점 = 201
2. 논쟁: 죽은 자의 이익이 우선인가, 산 자의 요구가 우선인가? = 203
3. 비판: 기증장기의 가치론적 환원 = 210
4. 평가: 죽음과 몸의 인간학적 반성 = 216
5. 요약 = 223
Ⅷ. 장기분배: 그 기준과 원칙 = 227
1. 분배의 주체는 누구인가? = 227
2. 이식대상자(수혜자)의 선정 = 230
가. 일반기준 = 230
나. 장기별 기준 = 231
다. 분석 =232
3. 유용성의 원칙: 공리주의 논변 = 235
가. 삶의 질: QALY = 237
나. 의학적 효율성 = 239
4. 평등성의 원칙: 분배적 정의 논변 = 243
가. 현실적 요구 = 245
나. 의학적 긴급성 = 247
다. 이식 후 생존기간에 대한 요구 = 249
5. 가치우선성의 원칙과 우선배분의 기준 = 252
6. 요약 = 258
제3부 죽음과 삶의 질: 안락사
Ⅸ. 안락사의 이해 = 263
1. 안락사: 죽음으로부터의 해방인가, 인간의 존엄인가? = 263
2. 안락사의 유형구분과 쟁점 = 266
가. 유형구분 = 266
나. 쟁점 = 272
3. 안락사 허용의 찬ㆍ반 논변 = 280
가. 찬성논변 = 281
나. 반대논변 = 283
4. 안락사의 시행과 호스피스 = 286
Ⅹ. 치료중단과 삶의 질 - 자의적ㆍ비자의적 안락사를 중심으로 - = 289
1. 안락사와 법 = 289
2. 치료중단과 판례 = 291
3. 생명에 대한 자기결정권과 논쟁점 = 295
가. 생명에 대한 자기결정권과 생명유지의 의무 = 296
나. 논쟁점 = 301
4. 안락사 정당화의 논변 = 314
5. 요약 = 320
〈보론〉 죽음의 의사, 잭 키보키언과 의사조력자살 = 322
XI. 안락사와 죽음의 유형 = 329
1. 안락사의 개념과 죽음의 유형 = 329
2. 존엄사 = 335
3. 자비사 = 340
4. 포기사 또는 도태사 = 345
가. 포기사 = 347
나. 도태사 = 350
5. 안락사의 의의와 평가 = 353
〈보론〉 정의의 원칙과 죽음문화 = 356
제4부 한국인의 죽음관
XII. 죽음의 안팎 - 동양 종교를 통해 본 죽음의 시ㆍ공간성 - = 361
1. 죽음을 바라보는 보편적 관점 = 363
가. 영혼과 육체 = 364
나. 사후세계 = 369
2. 한국인의 죽음관 형성에 미친 문화적 전제 = 373
가. 유교의 현세관 = 375
나. 불교의 극락관 = 379
다. 도교의 신선관 = 383
3. 죽음의 공간성과 시간성 = 387
4. 요약 = 392
XIII. 한국인의 신체관, 영혼관, 죽음관의 형성 = 395
1. 죽음의 성찰 = 395
2. 상례와 죽음: 한국인의 신체관 = 399
3. 무속과 영혼: 한국인의 영혼관 = 405
4. 삶ㆍ죽음의 합일과 한사상: 한국인의 죽음관 = 412
5. 요약 = 420
참고문헌 = 423
찾아보기 = 435

저자소개

저 : 이을상 (李乙相)    

부산대학교 교양교육원 강사, 부산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이다. 부산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아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석사 학위를 받고 정훈장교로 근무했다. 1993년 동아대학교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동아대, 부경대, 동의대, 동서대, 부산대, 신라대 등에서 강의했고, 동아대학교 석당연구원 전임연구원, 동의대학교 인문대학 문화콘텐츠연구소 연구교수 등을 거쳤다. 새한철학회의 제4회 만포학술상(1999년)과 대한철학회의 제4회 운제학술상(2014)을 받았다. 저서로 『인간복제의 윤리적 성찰』(공저, 2017), 『생명과학의 철학』(2013), 『양심』(공저, 2012), 『사회생물학, 인간의 본성을 말하다』(공저, 2007), 『죽음과 윤리』(2006), 『인격』(공저, 2007), 『인간과 현대적 삶』(공저, 2003), 『사람됨과 삶의 보람』(공저, 2000), 『가치와 인격』(박사 학위 논문, 1996), 『교양철학』(공저, 1994) 등이 있다. 역서로는 『도덕적 인식의 기원』(2016), 『신경과학의 철학』(2013), 『윤리학』(2014), 『인간, 그 본성과 세계에서의 위치』(2010), 『공감의 본질과 형식』(2009), 『우주에서 인간의 위치』(2008), 『공리주의』(2008), 『지식의 형태와 사회』(2007), 『동정의 본질과 형식』(2003), 『공리주의』(2002), 『인간학적 탐구』(1999), 『행위철학』(1999), 『윤리학에 있어서 형식주의와 실질적 가치윤리학』(1998), 『현대의 철학적 인간학』(1994) 등이 있고, 그 밖에 다수의 논문과 기고문이 있다.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