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동양 철학 스케치

김선희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선희
서명/저자사항동양 철학 스케치 / 김선희 지음.
발행사항서울 : 풀빛, 2009.
형태사항2권 : 삽도 ; 22 cm.
총서사항이야기로 만나는 교양의 세계
ISBN9788974744403(v.1)
9788974744410(v.2)
9788974744397(세트)
비통제주제어동양철학,동양사상,철학자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372300 181 김53531ㄷ v.1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2 E372301 181 김53531ㄷ v.1 c.2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3 E372302 181 김53531ㄷ v.2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4 E372303 181 김53531ㄷ v.2 c.2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2500년의 지혜와 만나는 유쾌한 철학 여행!
동양 철학의 핵심을 여섯 갈래의 사상적 흐름으로 묶다

고대부터 근세에 이르기까지, 한 시대를 이끈 철학자들의 이야기 『동양철학 스케치』. 이 책은 철학적 개념이나 이론뿐만 아니라 우리가 진정으로 궁금해 하는 것, 즉 당대의 철학자들이 무엇을 문제로 삼았는가, 무엇을 보고 지향했는가, 그리고 어떤 방법으로...

목차 전체

2500년의 지혜와 만나는 유쾌한 철학 여행!
동양 철학의 핵심을 여섯 갈래의 사상적 흐름으로 묶다

고대부터 근세에 이르기까지, 한 시대를 이끈 철학자들의 이야기 『동양철학 스케치』. 이 책은 철학적 개념이나 이론뿐만 아니라 우리가 진정으로 궁금해 하는 것, 즉 당대의 철학자들이 무엇을 문제로 삼았는가, 무엇을 보고 지향했는가, 그리고 어떤 방법으로 생각의 지도를 그리고 사유의 구조를 형성했는가를 여섯 갈래로 나누어 살펴본다.

여섯 갈래로 사상적 흐름과 변화들을 묶고 이를 다시 세 개의 결로 나누었다. 이 묶음들은 대체로 역사적 흐름에 따른 것이지만, 시간의 경과보다는 사상적 변화나 경향의 차이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본문에 앞서 동양 철학 여행의 길잡이를 두어 내용을 개괄함으로써 전체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왔다.

제1권은 1부에서 3부까지를 담았다. 1부에서는 문명과 국가를 상징하는 전설적인 제왕들, 즉 삼황오제의 시대로부터 출발해 중원의 지배자로 군림하게 되는 주나라의 등장과 붕괴, 그리고 춘추 시대에 이르기까지, 고대 사유의 핵심과 특징을 살펴본다. 2부에서는 주나라의 권위로부터 이탈한 국가들이 서로 힘을 겨루며 분열하던 전국 시대의 사상적 흐름을 알아보고, 3부에서는 동양 사상의 또 다른 원류인 인도 사상과 불교에 대해 알아본다.

제2권은 4부에서 6부까지를 담았다. 4부에서는 불교가 융성했던 수나라와 당나라를 거쳐, 유학을 새롭게 일으키려는 학자들이 등장한 송나라 시대를 살펴본다. 5부에서는 명청 시대의 철학적 모험들을 살펴보고, 마지막 6부에서는 동아시아 사상의 또 다른 축인 조선과 일본의 사상에 대해 알아본다.

목차

목차 일부

[제1권]
동양 철학 여행을 떠나며 
동양 철학 여행의 길잡이 

제1부 문명 앞에 선 선구자들 
01_문명을 향한 도전 중국 고대의 신화와 사상 
요임금은 왜 순에게 왕위를 주었는가|중국 역사, 하나라에서 열리다|하늘에서 통치 질서를 찾다―은나라|천명天命을 통해 보편적 질서를 세우다―주나라 
02_인仁, 인간의 길, 정치의 길…공자의 철학 
...

목차 전체

[제1권]
동양 철학 여행을 떠나며 
동양 철학 여행의 길잡이 

제1부 문명 앞에 선 선구자들 
01_문명을 향한 도전 중국 고대의 신화와 사상 
요임금은 왜 순에게 왕위를 주었는가|중국 역사, 하나라에서 열리다|하늘에서 통치 질서를 찾다―은나라|천명天命을 통해 보편적 질서를 세우다―주나라 
02_인仁, 인간의 길, 정치의 길…공자의 철학 
공자, 문명의 계승자|예禮, 타율에서 자율로|인仁, 사람다움의 조건|의義, 인仁의 기준|군자가 다스리는 사회|도덕 정치를 꿈꾸며|개인의 발견 
03_도道의 형이상학과 무위無爲의 정치학…노자의 철학 
노자 X파일|도와 만물|사람은 땅을 본받고|무위의 정치학|작은 나라의 적은 백성|인의를 끊어라 

제2부 세상을 바꾸는 각자各自의 길 
04_자연과 자유의 함수관계…장자의 철학 
장주와 《장자》를 찾아|고차원적 거짓말|물고기를 잡으면 통발을 버리고|혼돈을 지켜라|도와 하나된 세계|포정이 소 한 마리를 뚝딱|앉아서 잊기, 마음을 텅 비게 하기|《장자》 속의 주인공들 
05_도덕적 인간이 세상을 구한다…맹자의 철학 
백 사람의 목소리 속의 울림, 맹자|인仁으로 정치하기|사람답게 사는 방법|고자와 인성을 논하다|사단四端, 마음속의 네 가지 선한 싹|우산은 왜 민둥산이 되었나|흔들리지 않는 마음으로 호연지기를 길러라|내 안에 모든 이치가 있다 
06_공동체에 운명을 걸다…묵자의 철학 
양주와 묵자는 이단인가?|묵자, 묵가를 열다|세 가지 걱정과 세 가지 힘써야 할 일 |차별적인 사랑과 차별 없는 사랑|전쟁을 반대하다|하늘은 모든 백성을 사랑하시니|현명한 자를 숭상하고 서로 화합하라|사치를 금하고 절제하라 

제3부 나를 넘어 깨달음을 향해 
07_깨달은 자의 길 인도의 사상과 불교의 성립 
인도의 종교 전통, 《베다》|귓속말로 전하는 비밀의 깨달음|너의 아뜨만을 알아라|브라흐만과 아뜨만은 하나다|불교의 뿌리|진리의 바퀴를 돌리다|나라고 할 것은 어디에도 없다|모든 것이 그물처럼 이어져 있다 
08_불교, 큰 수레로 중국까지 불교의 발전과 중국 전파 
불교, 종교인가 철학인가|대승 불교의 시작|불교, 중국의 문을 열다|노장의 옷을 입은 불교|승조, 현학의 절정|중국에 온 불교에서 중국의 불교로|종파 불교의 시작 
09_온 우주이자 하나의 마음 화엄종과 선종 
화엄경과 화엄종|금사자상의 비유|화엄의 세계관―사법계설四法界說|깨끗한 마음이 곧 부처|달마도와 달마대사|선종의 성립|땔나무꾼 혜능|돈오頓悟와 점수漸修|문자를 넘어서 불성佛性을 보라|오늘 이 자리의 선禪 

동양 철학 공부에 도움이 되는 책들…서가書架 탐험 안내도

[제2권]
제4부 극복과 종합, 유학의 창조적 혁신
10_새로운 창으로 유학을 보다 북송의 철학자들  
유학에서 성리학으로|송나라의 문치주의와 사대부|성리학의 선구자―주돈이와 《태극도설》|기氣의 철학자, 장재|우주의 근원, 태허|인간 본성의 두 측면|만물을 하나로 하는 인仁|한 번 음하고 한 번 양하게 하는 것을 도道라 한다|본성이 곧 이치다
11_천리天理를 실현하는 도덕적 인간 주희의 철학  
주희의 학문을 넘어 주자학으로|선배들의 학문을 정리하고 체계화하다|리理와 기氣의 이론을 종합하다|하나의 달과 달그림자들|사람의 본성이 곧 이치다|경敬에 머물고 이치를 끝까지 탐구하라
12_본성에서 마음으로 왕양명의 철학  
왕양명과 양명학|내 마음이 곧 이치|양지良知, 내 마음의 천리天理|격물치지格物致知에 대한 다른 해석|앎과 실천은 하나다|거리에 가득 찬 사람들이 성인이다

제5부 변화를 모색하는 비판자들   
13_격변기의 목소리들 명말明末의 사상 지형 
왕양명의 후계자들|청년 왕기, 스승을 만나다|양명학의 갈림길|양지는 이미 이루어졌다|소금 장수, 철학을 배우다|새로운 격물 이론|양명학을 대중화하다|한 마리 개였던 사나이|거짓 학문에 도전장을 내다|어린아이의 마음으로 세상을 보다|동림서원을 다시 열다|흔들리는 세상을 걱정하다|경세치용經世致用의 학문
14_푸른 눈의 유학자, 서양을 들여오다 서학의 전래와 영향  
푸른 눈의 유학자|지도와 달력, 중국인을 놀라게 하다|상제上帝가 천주天主다|태극을 비판하다|영혼은 불멸한다|새로운 학문에 눈뜨다
15_전통을 딛고 근대를 열다 청 대의 철학자들  
반성과 비판에서 경세치용으로|유학의 집대성자 왕부지|음양 외에 별도의 태극은 없다|이치와 욕망은 근원이 하나다|새로운 학풍의 등장|강희제, 학술을 후원하다|고증학, 실사구시實事求是의 학문|강유위, 대동大同의 희망을 품고 시대에 도전하다|모두 하나 되는 사회 

제6부 조선과 일본―사상적 변용과 창조
16_성리학의 또 다른 깊이와 넓이 조선 성리학  
고려에 건너 온 성리학|조선의 성장 엔진, 성리학|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퇴계와 고봉, 편지를 주고받다|사단은 리가 발하되 기가 따르는 것이다|사문난적이 된 윤휴|강력한 도덕 국가를 위해 
17_변혁을 위한 사상적 모색 조선 실학의 도전  
실학에 대한 오해와 이해|성호 이익과 그 제자들|경서를 읽고 서학을 연구하다|경학에서 경세치용의 학문으로|중국은 세계의 중심이 아니다|정약용, 서학과 정조를 만나다|태극은 우주 만물의 중심이 아니다|상제를 경외하는 이성적 인간
18_유학을 넘어 국학으로 근세 일본의 사상  
에도 시대, 유학이 독립하다|통치에 유학을 이용하다|후지와라 세이카, 강항을 만나다|일본 주자학의 토대를 닦은 하야시 라잔|고의학과 이토 진사이|상인의 아들, 《대학》을 읽다|오규 소라이, 도를 새롭게 정의하다|오규 소라이의 영향

동양 철학 여행을 마치며  
동양 철학 공부에 도움이 되는 책들…서가書架 탐험 안내도  
사진 자료 제공에 도움을 주신 분들과 단체

저자소개

저자 김선희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이화여자대학교와 수원대학교에서 철학관련 강의를 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동양철학 그 불멸의 문제들』(공저),『철학, 문화를 읽다』(공저), 『맹자』가 있고, 논문으로는 『『천주실의』와 그 주변들』, 『천학의 지평과 지향』, 『중세 기독교적 세계관의 유교적 변용에 관한 연구』등이 있다.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