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한국민주화운동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연구소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서중석
오유석
이호룡
임대식
정해구
홍석륜
오제연
이기훈
장세훈
허은
단체저자명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연구소
서명/저자사항한국민주화운동사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엮음.
발행사항파주 : 돌베개, 2008-2010.
형태사항3권 : 삽도 ; 24 cm.
ISBN9788971993248(v.1)
9788971993699(v.2)
9788971994153(v.3)
9788971993231(세트)
일반주기편찬위원: 서중석, 오유석, 이호룡, 임대식, 정해구, 홍석륜
집필진: 서중석, 오유석, 오제연, 이기훈, 장세훈, 허은, 홍석륜
서지주기서지적 각주, 참고문헌, 색인 포함
내용주기제1권: 제1공화국부터 제3공화국까지 -- 제2권: 유신체제기 -- 제3권: 서울의 봄부터 문민정부 수립까지
비통제주제어한국민주화운동사,한국민주화운동,민주화운동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373153 320.9519 민77ㅎ v.1 c.2 중앙도서관/제2보존서고/ 0228905 대출가능
2 E373155 320.9519 민77ㅎ v.2 c.2 중앙도서관/제2보존서고/ 0228906 대출가능
3 E393203 320.9519 민77ㅎ v.3 c.2 중앙도서관/제2보존서고/ 0050880 대출가능
4 E373152 320.9519 민77ㅎ v.1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5 E373154 320.9519 민77ㅎ v.2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6 E393202 320.9519 민77ㅎ v.3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현대사 전공자들의 공동연구로 진행된 한국 민주화운동사 총정리
제1공화국부터 제3공화국까지의 근현대사를 살펴본다!

『한국민주화운동사 1 | 제1공화국부터 제3공화국까지』. 분단과 전쟁, 그리고 해방. 그리고 이어진 독제. 해방 이후 한국 사회는 온갖 격변의 소용돌이가 휘몰아쳤던 혼돈과 모색의 길을 걸었다. 이런 혼란한 한국 근현대사에도 민주화를 열망하는 민...

목차 전체

현대사 전공자들의 공동연구로 진행된 한국 민주화운동사 총정리
제1공화국부터 제3공화국까지의 근현대사를 살펴본다!

『한국민주화운동사 1 | 제1공화국부터 제3공화국까지』. 분단과 전쟁, 그리고 해방. 그리고 이어진 독제. 해방 이후 한국 사회는 온갖 격변의 소용돌이가 휘몰아쳤던 혼돈과 모색의 길을 걸었다. 이런 혼란한 한국 근현대사에도 민주화를 열망하는 민중들의 흐름이 있었다. 이 책은 이러한 한국 민주화운동사를 총정리한 역사서이다.

이 책은 전체 목차와 중요도에 따른 분량, 해석의 범위 등을 논의해 정하는 등 수차례의 토론과 검토를 통해 작업한 것이다. 특히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 등 과거사 위원회들의 조사자료 등, 최근 발굴되거나 발표된 자료들까지 폭넓게 활용하고 있다. 주요 사건과 맥락을 폭넓게 기록하면서 그에 대한 평가와 해석을 실어 일반인들도 읽기 쉽다.

제1권은 제1공화국부터 제3공화국까지의 시기를 다룬다. 이 시기 주요 사건은 1952년의 부산정치파동과 1970년 전태일 분신, 1971년 광주 대단지사건이다. 민주화운동의 성격과 개념에 대한 객관적인 규정을 전제로 하면서 이 시기 민주화운동의 역사를 다룬다. 각 사건별, 시기별로 참여주체들의 성향과 의식을 파악하고 심도 있게 분석함으로써 한국 민주화운동사에서 중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참여, 학생운동의 의의와 한계, 대안 정치세력의 빈약성 등의 문제를 짚어낸다. [양장본]

▶ CP 추천 | 이런 점이 좋습니다!
이 책의 특징은 민감하면서도 다루기 어려운 한국 민주화운동의 역사를 보편적이면서도 객관적으로 풀어냈다는 점이다. 현대사 전공자들과 수차례 논의와 토론을 거치는 공동작업으로 최대한 보편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현대사 전공자들의 공동연구로 진행된 한국 민주화운동사 총정리

『한국민주화운동사 2 | 유신체제기』. 분단과 전쟁, 그리고 해방. 그리고 이어진 독제. 해방 이후 한국 사회는 온갖 격변의 소용돌이가 휘몰아쳤던 혼돈과 모색의 길을 걸었다. 이런 혼란한 한국 근현대사에도 민주화를 열망하는 민중들의 흐름이 있었다. 이 책은 이러한 한국 민주화운동사를 총정리한 역사서이다.

이 책은 전체 목차와 중요도에 따른 분량, 해석의 범위 등을 논의해 정하는 등 수차례의 토론과 검토를 통해 작업한 것이다. 특히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 등 과거사 위원회들의 조사자료 등, 최근 발굴되거나 발표된 자료들까지 폭넓게 활용하고 있다. 주요 사건과 맥락을 폭넓게 기록하면서 그에 대한 평가와 해석을 실어 일반인들도 읽기 쉽다.

제2권은 3부로 나누어진다. 1부에서는 유신체제 전기, 즉 1972년 유신헌법 선포로부터 1975년 긴급조치 9호 선포 이전까지의 시기에 전개된 민주화운동을, 2부에서는 유신체제 후기, 즉 1975년 긴급조치 9호 선포 이후부터 1979년 10·26정변, 즉 박정희 대통령이 사망하기까지의 시기에 전개된 민주화운동을, 3부에서는 종교계, 언론 출판계, 지식인 문화계, 인권운동, 노동운동, 농민운동, 도시빈민운동 각 부문에서 전개된 민주화운동을 살펴본다.

목차

목차 일부

[제1권]
발간사  5
총론  13

제1부  이승만 정권과 4월혁명   

 제1장  이승만 정권의 민주주의 유린  
 1  민주 헌정질서 파괴와 혁신정당의 등장  
 부산정치파동과 4사5입개헌파동 | 호헌동지회 결성과 야당의 분화
 2  이승만 정권의 반대세력 탄압  
 야당탄압 | 진보당사건 | 언론탄압과 2·4파동

 제2장  ...

목차 전체

[제1권]
발간사  5
총론  13

제1부  이승만 정권과 4월혁명   

 제1장  이승만 정권의 민주주의 유린  
 1  민주 헌정질서 파괴와 혁신정당의 등장  
 부산정치파동과 4사5입개헌파동 | 호헌동지회 결성과 야당의 분화
 2  이승만 정권의 반대세력 탄압  
 야당탄압 | 진보당사건 | 언론탄압과 2·4파동

 제2장  4월혁명  
 1  4월혁명의 배경  
 사회경제적 상황과 5·2 총선 | 3·15부정선거 획책
 2  2·28의거에서 마산시위까지 
 2·28의거의 발발과 부정선거항의투쟁의 전국적 확산 | 3·15부정선거 | 제1·2차 마산시위 
 3  4·19봉기  
 4·18 고려대생 시위 | 피의 화요일
 4  이승만 정권의 붕괴  
 4·25 대학교수단 데모 | 승리의 화요일
 5  4월혁명의 성격과 의의  
 4월혁명의 성격 | 4월혁명의 의의

제2부  4월혁명 직후의 민주화운동  

 제1장  4월혁명 직후 민주화 이행  
 1  허정 과도정권의 성격과 내각책임제 개헌  
 허정 과도정권의 기본 정책과 이승만·자유당 체제 청산 문제 | 내각책임제 개헌과 기본권  확대 
 2  7·29 총선과 장면 정권의 출범 
 7·29 총선 | 장면 내각 탄생과 민주당 내분 | 지방자치 선거 
 3  혁명입법 추진  
 1960년 10월 8일 6대사건 판결 | 혁명입법 | 특별검찰부와 특별재판소의 활동 | 경찰 숙정
 4  장면 정권의 통일정책과 대미·대일 관계  
 통일정책 | 군부의 동요와 한미관계 | 한일관계 | 장면 정권에 대한 평가

 제2장  4월혁명 직후 대중운동의 성장  
 1  학원민주화운동과 계몽운동  
 학원민주화운동 | 국민계몽대의 활동
 2  노동운동의 분출 
 4월혁명과 노동운동 | 교원노동조합의 조직과 활동
 3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과 김구암살사건 진상규명운동 
 피학살자유족회의 조직과 활동 | 제주4·3사건 진상규명운동 | 김구암살사건 진상규명운동

 제3장  4월혁명 직후 통일운동과 진보적 사회운동의 전개  
 1  통일운동단체의 결성과 활동 
 통일논의와 통일운동의 대두 | 학생 민족통일연맹의 조직과 활동 | 통일운동 관련 정당·사 회단체의 활동 | 민족자주통일협의회의 조직과 활동
 2  진보적 사회운동의 분출
 한미경제협정반대투쟁 | 2대악법반대투쟁 | 남북학생회담 제안과 지지집회

제3부  박정희 정권과 유신 이전의 민주화운동  

 제1장  5·16쿠데타와 박정희 정권의 수립  
 1  5·16쿠데타와 군부직접통치 
 5·16쿠데타의 발발  | 군부직접통치 | 군사 정권에 대한 지식인의 대응
 2  민정이양과 박정희 정권의 수립 
 민정이양을 둘러싼 논란  | 1963년 대통령 선거와 사상논쟁

 제2장  한일협정반대투쟁  
 1  한일협정반대투쟁의 배경 
 미국의 동아시아 지역통합전략과 한일회담  | 5·16쿠데타 이후 한일회담의 진전
 2  1964년 한일회담반대투쟁  
 한일회담반대투쟁의 전개 | 박정희 정권과 학생들의 갈등 고조 | 6·3시위의 전개와 좌절 
 3  1965년 한일협정 조인·비준 반대투쟁  
 한일협정조인반대투쟁 | 한일협정비준반대투쟁 | 한일협정비준무효화투쟁
 4  한일협정반대투쟁의 성격과 의의  
 민족주의의 고양 | 민주화운동의 성장 

 제3장  6·8부정선거규탄투쟁과 3선개헌반대투쟁
 1  베트남파병반대와 사카린밀수규탄투쟁  
 베트남파병반대투쟁 | 사카린밀수사건과 정경유착·재벌 규탄 | 학원자유화투쟁
 2  1967년 선거와 부정선거규탄투쟁
 1967년의 정치 상황과 6·8부정선거  | 6·8부정선거규탄투쟁의 시작과 확산  | 동백림·민비 연 사건과 이후의 6·8부정선거규탄투쟁 
 3  3선개헌반대투쟁 
 박정희 정권의 장기 집권 시도 | 3선개헌반대투쟁의 전개

 제4장  학원병영화반대투쟁과 민주수호투쟁
 1  학원병영화 추진과 교련철폐투쟁 전개 
 박정희 정권의 사회·학원 통제 강화  | 대학교련 강화 추진과 교련철폐투쟁 전개 
 2  1971년 양대 선거와 민주화운동세력의 대응 
 대통령 선거와 민주화운동세력의 대응  | 양대 선거 이후 학생운동세력의 대응 
 3  박정희 정권의 지식인 통제와 사법부파동 
 언론·학문·사상의 자유 억압과 지식인의 저항 | 사법부파동과 사법권 독립 모색 
 4  교련철폐투쟁 재개와 국가비상사태 선포 
 교련철폐투쟁 재개와 부정부패규탄시위 확산 | 학생운동 초강경 탄압과 국가비상사태 선포 

 제5장  민중생존권투쟁의 분출―전태일의 분신과 광주대단지사건  
 1  도시 노동빈곤층의 형성과 생존의 위기  
 산업화와 이농의 물결 | 노동빈곤층의 생존 위기 | 정부의 노동빈곤층 대책 
 2  전태일의 분신과 노동운동의 전환  
 1960년대 노동운동의 전개 과정  | 청년 노동자 전태일의 분신 
 3  광주대단지사건  
 1960년대 무허가판잣집철거반대투쟁 | 광주대단지 건설과 철거민의 생활실태 | 광주대단지  주민의 집단적 저항
 4  민주화운동으로서 생존권투쟁의 위상 
 전태일 분신의 사회적 파장 | 광주대단지사건의 의미와 영향 | 생존권투쟁에서 민주화운동 으로 

 참고문헌  661
 찾아보기  676

[제2권]
발간사  5
총론: 유신체제하 반독재민주화투쟁의 전개와 그 성격   19

제1부  유신체제의 성립과 유신 전기 반독재민주화투쟁의 전개  
 제1장  유신체제의 성립과 억압구조   
 1  유신체제의 수립 배경과 과정  39
 1970년대 초 국내외 정세 변화 | 남북대화의 시작과 국가비상사태 선언 | 
 유신체제 기획과 수립
 2  유신체제의 억압구조와 통치 이념  65
 정치적 비민주성과 억압성 | 사회·문화적 통제와 동원 | 유신체제의 통치 이념

 제2장  유신 전기 반독재민주화투쟁의 전개   
 1  유신 직후의 정치상황과 반독재민주화투쟁(1972년 10월~1973년 전반기)  89  
 유신 직후의 정치적 상황 | 학생들의 유신반대투쟁의 태동과 정권의 탄압 | 
 남산부활절연합예배사건
 2  대학가의 반유신 민주화시위와 개헌청원100만인서명운동  101
 김대중 납치사건과 그 파장 | 학생들의 유신반대투쟁의 확대 | 
 개헌청원100만인서명운동과 긴급조치 1·2호
 3  민청학련과 긴급조치 4호  125
 민청학련 조직과 투쟁 | 
 1974년 하반기∼1975년 유신반대투쟁의 전개와 민주회복국민회의 | 
 1975년 전반기 유신반대투쟁과 긴급조치 7호

제2부  긴급조치 9호와 유신 후기 반독재민주화투쟁
 제1장  긴급조치 9호의 지배구조와 이데올로기  
 1  긴급조치 9호의 지배구조  179
 긴급조치 9호의 도입 | 긴급조치 9호의 지배구조
 2  긴급조치 9호의 이데올로기 기제  198
 새마을운동과 새마을교육: 유신이념 실천 도량과 한국적 민주주의의 구현 |  
 충효 교육: 국민총화의 이데올로기

 제2장  긴급조치 9호 시기 반독재민주화투쟁  
 1  긴급조치 9호 선포와 민주화운동  203
 인도차이나사태 직후 유신정권의 공세와 학생운동 | 
 재야 민주화운동에 대한 탄압과 3·1민주구국선언
 2  민주화운동의 침체 극복과 연대기구 결성 모색  225
 학생운동의 침체 극복과 대규모 시위 전개 | 재야 연대조직 결성 제안과 지식인들의 저항
 3  학생운동의 전환과 유신철폐투쟁의 전개  243
 연합가두시위 전개와 투쟁 방식의 전환 | 카터 방한 반대투쟁과 유신철폐투쟁
 4  재야 민주화운동세력의 결집과 유신철폐투쟁  266
 1978년 지식인·문인·청년운동과 민주주의국민연합 결성 | 
 연대기구 개편과 민중 주체 민주주의·민족통일 천명 | 
 긴급조치 9호 시기 유신반대민주화투쟁의 의의

 제3장  부마항쟁과 유신체제의 붕괴  
 1  부마항쟁의 발생 배경  295
 유신체제 말기의 사회·정치적 위기구조 | 부산·마산 지역의 위기상황 | 
 지역 민주화운동세력의 성장
 2  부산지역 항쟁  320
 항쟁의 발단: 부산대 교내시위의 분출과 시가지 진출 | 도심지 민중항쟁의 폭발과 확산 |
 계엄령 선포와 부산지역 항쟁의 종료
 3  마산지역 항쟁  337
 마산지역 민중항쟁의 폭발과 확산 | 위수령과 마산지역 항쟁의 종료
 4  부마항쟁의 귀결과 의의  350
 10·26정변과 박정희 피살 | 유신체제의 붕괴 | 민주화운동 대중화의 기초

제3부  각 부문에서의 민주화운동
 제1장  종교계의 민주화운동  
 1  개신교계의 민주화운동   359
 개신교계 민주화운동의 등장과 남산부활절연합예배사건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와 인권위원회 | 산업선교와 빈민선교 | 
 학생과 청년의 민주화운동: 한국기독학생회총연맹과 한국기독청년협의회
 2  천주교계의 민주화운동  380
 천주교 민주화운동의 등장과 지학순 주교 구속사건 | 사제단과 정평위의 민주화운동 | 
 노동운동과 농민운동 지원
 3  민주화운동의 신학  398
 4  유신시기 종교계 민주화운동의 특징과 의의  408
 ‘교회 내 사회운동 부문들’의 형성과 발전 | 
 그리스도교 민주화운동의 포괄성과 ‘운동권’의 형성 | 
 교회들의 정치적 자율성과 예외적 민주화 참여 | 국제적 네트워크와 지원 구조 | 
 개신교와 천주교의 연대

 제2장  언론·출판계의 민주화운동  
 1  언론계의 민주화운동  425
 유신 전후 언론통제와 언론자유수호투쟁 | 자유언론실천선언운동과 동아일보 광고탄압
 2  출판계의 민주화운동  447
 출판문화운동 | 양서협동조합운동

 제3장  지식인과 문화예술인의 민주화운동
 1  유신체제 성립과 지식인·문화예술인의 상황  457
 2  지식인의 민주화운동  461
 박정희 정권의 탄압과 지식인의 대응 | 
 해직교수협의회 결성과 지식인 저항운동의 전개
 3  문화예술인의 민주화운동  469
 문학계의 민주화운동 |  문화예술계의 민주화운동
 4  지식인·문화예술인 민주화운동의 성격과 논리  481

 제4장  인권운동
 1  유신체제 수립과 인권유린  489
 2  인권운동 단체의 성립과 인권운동 전개  494
 인권운동 단체의 성립 | 인권운동의 전개 과정 | 인권운동의 논리와 특징

 제5장  민중운동  
 1  노동운동  515
 유신체제하의 노동조건 | 민주노조 탄생: 유형을 중심으로 | 
 민주노조운동의 전개과정: 사업장별 사례를 중심으로 | 지식인과 노동운동 | 
 유신체제하 민주화운동과 노동운동
 2  농민운동  620
 유신정권의 농민정책과 농촌 현실 | 농민운동 단체의 결성과 활동 | 
 농민운동의 전개 | 농민운동 탄압과 그에 대한 대응 | 
 1970년대 농민운동의 성격과 의의
 3  도시빈민운동  664
 유신체제기 도시빈민의 현실과 박정희 정권의 도시빈민정책 | 
 도시빈민의 저항과 저항 조직화 | 도시빈민선교기구 해체와 도시빈민운동의 침체 | 
 유신체제기 도시빈민운동의 의미와 역할

참고문헌  685
찾아보기  711

저자소개

기획ㆍ추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한국의 민주화운동을 기념하고 그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에 의해 2001년 설립된 공공법인이다. 민주화운동에 관한 사료수집과 관리, 민주주의 교육과 학술연구, 기념관 건립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민주화운동의 올바른 역사 정립과 민주주의 지평을 확대하고, 나아가 한국 민주화운동의 역사와 성과를 세계에 알려 지구촌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편찬위원 
서중석(위원장, 성균관대 사학과 교수), 오유석(성공회대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연구소 연구교수), 이호룡(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책임연구원), 임대식(서울대 국사학과 강사), 정해구(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장), 홍석률(성신여대 사학과 교수) 

1권 집필진
서중석(총론, 2부 1장), 오유석(1부), 오제연(명지대 사학과 강사/ 3부 1~2장) , 이기훈(목포대 역사문화학부 교수/ 3부 3장), 장세훈(동아대 사회학과 교수/ 3부 5장), 허은(고려대 사학과 교수/ 3부 4장), 홍석률(2부 2~3장)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