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조용헌의) 동양학 강의

조용헌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조용헌
서명/저자사항(조용헌의) 동양학 강의 / 조용헌 지음.
발행사항서울 : 랜덤하우스, 2010.
형태사항2권 ; 23 cm.
ISBN9788925538655(v.1)
9788925538662(v.2)
9788925538648(세트)
내용주기v.1, 인사편. -- v.2, 천문편
비통제주제어동양학,인사,천문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384847 181 조6669ㄷ v.1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2 E384848 181 조6669ㄷ v.1 c.2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3 E384849 181 조6669ㄷ v.2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4 E384850 181 조6669ㄷ v.2 c.2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저명한 칼럼니스트이자 강호유람 고수로 널리 알려진 조용헌이 현재「조선일보」에 연재 중인 인기 칼럼 ‘조용헌 살롱’을 1권 인사편, 2권 천문편으로 나누어 새롭게 펴낸 동양학 인문서다. 

그동안 저자가 강호를 유람하며 직접 듣고 맛본 갖가지 인생사를 두 권의 책에 담았는데 단순히 저자의 유람기, 여행기만 담은 것이 아니라 강호유람기를 참고삼아 세상을 살...

목차 전체

저명한 칼럼니스트이자 강호유람 고수로 널리 알려진 조용헌이 현재「조선일보」에 연재 중인 인기 칼럼 ‘조용헌 살롱’을 1권 인사편, 2권 천문편으로 나누어 새롭게 펴낸 동양학 인문서다.

그동안 저자가 강호를 유람하며 직접 듣고 맛본 갖가지 인생사를 두 권의 책에 담았는데 단순히 저자의 유람기, 여행기만 담은 것이 아니라 강호유람기를 참고삼아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를 얻는 진정한 공부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보게 만드는 것이 이 책의 핵심이다.

마치 동양학 사전처럼 독자들이 쉽고 간편하게 읽을 수 있도록 1권 인사편은 크게 인물, 사회, 문화, 문명 네 장으로, 2권 천문편은 자연, 천문, 종교, 운명 네 장으로 나누었다. 생생한 인간의 삶과 세상의 조화로운 이치를 향한 깨달음이 동반되어야 비로소 진정한 공부의 길에 들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목차

목차 일부

[1권 인사편] 목차


#인물

-이름-
파락호 | 강호 삼선생江湖三先生 | 슬로 건축 | 강호 유학기 | 이어령 마이크 | 추기경 | 이소룡의 키| 차茶와 혁명

-역사-
최치원 유학길 | 장영실의 운명 | 백비탕 | 공주 갑부 김갑순 | 사천과 신라승 | 도가의 최 풍헌 | 왜구와 해미읍성 | 봉소당 피화담避禍談 | 운검 | 서지약봉 ...

목차 전체

[1권 인사편] 목차


#인물

-이름-
파락호 | 강호 삼선생江湖三先生 | 슬로 건축 | 강호 유학기 | 이어령 마이크 | 추기경 | 이소룡의 키| 차茶와 혁명

-역사-
최치원 유학길 | 장영실의 운명 | 백비탕 | 공주 갑부 김갑순 | 사천과 신라승 | 도가의 최 풍헌 | 왜구와 해미읍성 | 봉소당 피화담避禍談 | 운검 | 서지약봉 | 누에를 치지 마라

-사회-
재벌 1세와 2세론 | 선문답 | 제자 복 | 장급 저택의 주인들 | 강호 4대 학파 | 출판업자의 업보 | 영남호걸 | 채담가採談家의 인연 | 만재귀삼萬材歸三 


-정치-
2인자론 | 거래去來 400주년 | 사쟁해투巳爭亥鬪 | 허업가의 꿀맛 | 대통령의 신언서판 | 풍채와 결단력 | YS와 돈

#사회

-가족- 
절차탁마 | 영호남의 가풍 차이 | 3대 기록 | 의병 집안 | 독립운동가 집안 | 소론과 해저영구海底靈龜 | 수재 집안·1 | 수재 집안·2 | 수재 집안·3 | 수재 집안·4 | 40대 종손들 | 재령 이씨 도토리 죽 | 구씨 집안 제사 음식 | 명문가의 기준, 고택 | 학벌 명가

-민속-
광풍각 | 대보름 부럼과 파혹 | 무술주戊戌酒 | 야구 단상 | 호號풀이 잔치 | 엿장수 가위

-시사-
석유에 대한 명상 | 태안반도 | 미래에셋 | 시시각각 | 숭례문과 촛불 | 연예인 자살 

-지역-
조창과 조운선 | 호남과 황등제 | 장가계와 독존의식 | 해도인물설 

-의식주-
도쿄의 맛집 | 윤증 고택 | 부잣집 낮은 굴뚝 | 방사方士 클럽 | 신안 천일염 | 어리굴젓 | 천문 농법 | 여수 봉소당 | 동굴 주택

#문화

-학문-
미술 삼가 | 『동의보감』을 읽다 | 월도천휴여본질月到千虧餘本質 | 뉴욕 필의 불언지교不言之敎 | 만하세병挽河洗兵 | 소설가의 영광 | 군자삼락君子三樂 | 농현 | 구라학口羅學 | 글쓰기 훈련 | 소리의 힘 | 「적벽대전 2」

-건강-
병의 세 가지 차원 | 납약臘藥 | 형상의학 | 근취저신近取諸身 | 골동품의 기운 | ‘컴퓨터병’ 해독법

-사고-
법재지려法財地侶 | ‘얼리 버드early bird’와 대적 | 사냥의 도道 | 신도가新道家 운동 | 국민총행복 | 나의 지남침 | 만천명월萬川明月 | 돈과 여자 | 아전의 좌우명 | 돈에 대한 철학 | 좌와 우의 의미·1 | 좌와 우의 의미·2 | 자리이타自利利他

-풍류-
상심십육사賞心十六事 | 청계관수淸溪觀水 | 네 종류 산책 길 | 유상곡수流觴曲水 | 자전거 예찬 | 지리산 천막 인생| 천석고황自然膏 | 소인삼락小人三樂| 명차론名茶論 | 토털 아카데미 | 아파트 다실

#문명

-기술-
‘짜맞춤’ 기술 | 골동상의 감식안 | 팽나무 찻상 | 임청각의 비운 | 세계 최고의 정원, 원명원 | 선농대제 | 연경당과 학인당

-유물-
강진에서 개성 가는 해로 | 간송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 기왓장 검사 | 통영의 명품 | 간송의 문화재 수집 | 준경묘 | 미륵사지 이야기 | 불멸의 상징 | 예술품 경매

-재물-
유한오벽有閑五癖 | 부자 3대 | 재벌 자제 | 돈 씀씀이


[2권 천문편] 목차


#자연

-산-
바위 봉우리의 구멍 | ‘천석川石’론 | ‘금강산’고考 | 스톤헨지에서 고인돌까지 | 울산칠봉 | 금강산과 금정산 | 악양 동천岳陽洞天 | 화왕산 | 등산 예찬 | 관동 팔경과 열화당 

-바다-
태안 앞바다 | 물의 신, 용 | 남해 관음포 | 해운대와 영화 | 나주와 영산강 

-동물-
돈배젓 | 무장공자無腸公子 | 제주도 방어 | 소에 대한 명상 | 삼복 민어 | 탐조探鳥 취미 | 철새와 조상 혼| 철마중병鐵馬重病 | 돼지에 대한 사색 

-식물-
먹감나무 | 애국설愛菊說 | 애란설愛蘭說 | 오동나무 예찬 | 강화 약쑥 | 온난화와 참나무 | 다실과 매화 | 백도화 | 작약을 보면서 | 탐매 기행 | 청개화성聽開花聲 

#천문

-날짜- 
달력의 종류 | 삼복 | 복伏과 개 | 백중 | 강일독경 유일독사剛日讀經 柔日讀史 | 시간의 주력呪力

-주역-
미국의 중풍重風 | 정치와 역술 | 용과 『주역』 | 문탠Moontan | 「행복한 눈물」 | 사체팔용체질론四體八用體質論 | 민심풍 | 삼성과 항룡유회亢龍有悔 | 비례부동非禮不動 | 불 | 불의 종류 | 택풍대과澤風大過| 나경과 마야력 | 화성의 물과 시공관 | 후천개벽과 흑인 | 주역의 술 | 태양과 까마귀 

-풍수-
광화문의 높이 | 홍콩의 소풍수小風水 | 풍수 윤리 | 삼경풍수三京風水 | 이병철과 명당 | 관조가觀鳥家 | 비보 연못 | 3대 명택 | 벽해철전碧海鐵田 | 이화장 | 평창동론 | 양남수세兩南水勢

#종교

-종교-
순교 | ‘사두’의 무소유 | 기부의 단계 | ‘200년 인물’설 | 대문

-유불선-
3년 시묘 | ‘유儒’의 뜻 | ‘팔죽시八竹詩’ | 남산의 마애불 | 결사의 역사 | ‘어중’과 ‘떼중’ | 세계 불교 3대 흐름 | 권력과 선승 | 공양주 | 불의 철학-진자낙화眞者樂火 | 노자화호설老子化胡說 | 삼천공덕三千功德

#운명

-예언-
합천 황매산 | 아이언 버드 | 티베트의 ‘내충’ | 식小食과 꿈 | 새만금과 천년왕국설 | ‘서양 도사’ 버핏 | 인터넷 도참가 | 『정감록』과 인터넷 | 예측과 예언 | 적선의 방법 | 술사와 헤지펀드 | 4대 재앙

-생사-
입태와 출태 | 매장과 화장 | 「동물의 왕국」 | 고종명考終命 | 죽음을 준비하라 | 몽환포영夢幻泡影

-사주-
호를 짓는 방법 | 무재 팔자·1 | 무재 팔자·2 | 맛집 기행 | 재다관약財多官弱 | 을목 팔자乙木八字 | 복진탈락福盡脫落 | 격세유전隔世遺傳 | 상단전上丹田 궁합 | 300억 무재론 | 펠프스의 팔자

-관상-
대원군 책사 박유붕 | 수달 관상 | 멧돼지와 스라소니 | 멧돼지와 광우 | 문어 관상 | 낙안과 가야금

저자소개

저자 : 조용헌  
전남 순천에서 태어나 원광대학교 대학원에서 불교민속학을 전공하여 불교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강호江湖에서 만난 유儒·불佛·선仙 고수들과 교유하며 체득한 콘텐츠를 융합해 동양학의 관점에서 체계적·대중적으로 풀어낸, 이른바 ‘강호동양학’이라는 소통형 인문학을 개척했다. 
인기 칼럼니스트로 〈조선일보〉에 150만 독자가 열독하는 ‘조용헌 살롱’을 13년째 연재하고 있으며, 지은 책으로 《조용헌의 명문가》 《조용헌의 백가기행 1·2》 《5백 년 내력의 명문가 이야기》 《조용헌의 사찰기행》 《조용헌의 휴휴명당》 《동양학을 읽는 월요일》 《통도유사》 《조용헌의 사주명리학 이야기》 《조용헌의 방외지사 열전 1·2》 등이 있다.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