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조선의 통치철학

백승종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백승종
박현모
한명기
신병주
허동현
서명/저자사항조선의 통치철학 / 백승종 [외]지음.
발행사항서울 : 푸른역사, 2010.
형태사항403 p. : 삽도, 초상 ; 23 cm.
ISBN9788994079370
일반주기공지은이: 박현모, 한명기, 신병주, 허동현
서지주기주석(p. 345-385), 서지적 각주, 색인(p. 386-403) 포함
비통제주제어조선정치사,조선통치철학,통치철학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388626 951.905 백58675ㅈ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2 E388627 951.905 백58675ㅈ c.2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시대에 따라 변화한 조선의 통치철학! 역사적 관점에서 조선의 통치철학을 점검하는 책『조선의 통치철학』조선의 통치철학이 시대적 변화에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총체적으로 살펴본다. 조선사회에는 하나의 뚜렷한 이념적 지향점이 있었는데, 각자 자신의 자리에서 성리학적 예교를 준행하면 장차 대동사회가 건설되리라는 것이었다. 이렇게 창건 당시부터 멸망에 이르기까지 '''...

목차 전체

시대에 따라 변화한 조선의 통치철학! 역사적 관점에서 조선의 통치철학을 점검하는 책『조선의 통치철학』조선의 통치철학이 시대적 변화에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총체적으로 살펴본다. 조선사회에는 하나의 뚜렷한 이념적 지향점이 있었는데, 각자 자신의 자리에서 성리학적 예교를 준행하면 장차 대동사회가 건설되리라는 것이었다. 이렇게 창건 당시부터 멸망에 이르기까지 ''''지치(至治)''''의 실현을 위해 노력해왔다. 이 책에서는 역사의 각 지점마다 조선의 통치철학이 어떻게 변모했는지를 추적하여 통치철학의 바탕을 이루는 핵심적인 요소와 시대적 추이에 따라 달라지는 양상을 포착한다. 오늘날 우리사회가 요구하는 새로운 통치철학의 정립에도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는 조선의 통치철학을 만날 수 있다.

목차

목차 일부

조선의 통치철학의 첫걸음을 떼며

정도전과 세종대왕의 민본사상, “백성을 두려워하고 공경하라” _박현모 
정도전과 세종대왕의 만남?
세종대왕이 태어나던 시기 조선의 정국
명태조 주원장의 압력: “조선의 화근禍根 정도전을 압송하라”
‘제1차 왕자의 난’ 때 세종 잠저에서 일어난 일
정도전과 세종 정치의 비교 1: 민본사상
정도전과 세종 정치의 비교 2: 재상...

목차 전체

조선의 통치철학의 첫걸음을 떼며

정도전과 세종대왕의 민본사상, “백성을 두려워하고 공경하라” _박현모 
정도전과 세종대왕의 만남?
세종대왕이 태어나던 시기 조선의 정국
명태조 주원장의 압력: “조선의 화근禍根 정도전을 압송하라”
‘제1차 왕자의 난’ 때 세종 잠저에서 일어난 일
정도전과 세종 정치의 비교 1: 민본사상
정도전과 세종 정치의 비교 2: 재상중심체제
세종의 정승 임용 현황
세종과 정도전의 차이: 명나라에 대한 태도
정도전과 세종대왕, 그들이 감동을 주는 이유

조광조와 김인후, 이상세계를 현실로 가져오다 _백승종
조선에서 ‘요순시대’를 꿈꾸다
조광조를 위한 김인후의 변론
유교적 이상주의자 조광조
조광조의 통치철학
조광조와 중종
조광조가 되지 않은 김인후
16세기 유교적 통치철학의 역사적 의미

류성룡과 최명길의 통치론, 외교적 행적을 통해 살피다 _한명기
조선 외교의 최전선에서
임진왜란과 류성룡
인재를 등용하고, 전란 극복의 자신감을 가져라
명明의 의구심을 해소시키다
명군의 재참전 과정과 접반을 위한 류성룡의 노력
명일明日 강화협상의 본격화와 류성룡의 대응
현실론으로 전환한 류성룡의 자강自强 노력
병자호란과 최명길
주화의 길을 걸었던 까닭은
정묘-병자호란 시기 청의 성장과 칭제건원
청의 조선 압박과 최명길의 대응책
병자호란 이후 최명길의 외교 행보
현실에 토대를 두고 실사구시하라

영조와 정조의 통치철학, 조선 후기 르네상스를 이끌다 _신병주
영조와 정조시대의 전사前史
영조의 통치철학
당쟁의 경험을 극복한 탕평책
영조의 경제정책: 서민군주의 지향과 균역법
청계천 준천 공사
1762년 사도세자의 죽음
문화와 편찬사업의 중흥
정조의 통치철학
개혁정치의 산실 규장각
1791년, 시전 상인들의 특권을 뿌리 뽑다
화성의 건설과 화성 행차
문예중흥과 편찬사업
정조의 사회통합 정책
《정조어찰첩正祖御札帖》과 정조 말년의 정국 운영
영조와 정조, 시대 상황에 맞게 통치하다

대한제국 고종황제의 통치철학, 그는 국민국가를 세우려 했을까 _허동현
대한제국 성격 논쟁으로 본 고종의 통치철학
왜 다시 황제인가
고종의 눈에 비친 러시아: 침략자인가 독립의 옹호자인가
대한제국은 “민국이념”에 기반을 둔 자주적 제국이었나
개혁 모델로서의 러시아
대한제국은 국민국가였나

주석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 백승종
전 독일 보훔대학교 한국학과장 대리

저자 박현모
한국학중앙연구원 세종국가경영 연구실장

저자 한명기
명지대학교 사학과 교수

저자 신병주
건국대학교 사학과 교수

저자 허동현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학부대학장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