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밈 : 문화를 창조하는 새로운 복제자

Blackmore, Susan J.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Blackmore, Susan J., 1951-
Blackmore, Susan J.
Dawkins, Richard
김명남
서명/저자사항밈 : 문화를 창조하는 새로운 복제자 / 수전 블랙모어 지음 ; 김명남 옮김.
발행사항서울 : 바다, 2010.
형태사항461 p. ; 23 cm.
원서명(The) meme machine
ISBN9788955615395
일반주기서문: 리처드 도킨스
서지주기참고문헌(p. 439-453), 색인(p. 454-461) 포함
비통제주제어,유전자,유전요인,복제자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392309 304.5 B629m김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2 E392310 304.5 B629m김 c.2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당신도 밈 머신이다!

영국 심리학자이자 과학저술가 수전 블랙모어의 『문화를 창조하는 새로운 복제자, 밈』. 인간에게는 탁월하고 보편적 모방 능력이 있다. 인간은 모방을 통해 언어와 행동 등을 학습한다. 아이가 부모를 따라하는 모습처럼 말이다. 모방처럼 비유전적 방법을 통해 전달되는 문화의 요소를 ''''밈(Meme)''''이라고 부른다. 이 책은 세계적 ...

목차 전체

당신도 밈 머신이다!

영국 심리학자이자 과학저술가 수전 블랙모어의 『문화를 창조하는 새로운 복제자, 밈』. 인간에게는 탁월하고 보편적 모방 능력이 있다. 인간은 모방을 통해 언어와 행동 등을 학습한다. 아이가 부모를 따라하는 모습처럼 말이다. 모방처럼 비유전적 방법을 통해 전달되는 문화의 요소를 ''''밈(Meme)''''이라고 부른다. 이 책은 세계적 과학자 리처드 도킨스가 ''''이기적 유전자''''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탄생시킨, 모방을 통해 전달되는 문화 복제자 밈의 개념을 가장 정확하게 설명한다. 특히 인간의 뇌는 물론, 의식과 자아까지도 밈을 통해 생산되었음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는 밈의 전파와 확산을 위해 뇌와 몸을 내주는 거대한 밈플렉스일 뿐 아니라, 밈 머신임을 일깨운다.

☞ 북소믈리에 한마디!
새로운 삶의 방식이 가능하다는 전망을 열어주는 밈학에 대해 전문적으로 다루고 있다. 밈에는 문화 복제자 이상의 의미가 있다고 강조한다. 밈이 모방을 통해 전달되기 위해 인간의 뇌를 폭발적으로 성장시켜 언어, 종교, 패션, 그리고 소셜 네트워크 등 모든 인간 문화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아울러 유전자를 압박하여 새로운 밈을 잘 퍼뜨리는 인간에게 유리하도록 자연선택의 압력을 주었다고 주장한다. 사회생물학계의 골칫덩어리인 인간의 이타성은 물론, 종교 현상까지도 밈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있다. 특히 종교적 밈이 살아남는 방식인 두려움과 이타성에 대해 살펴본다.

목차

목차 일부

한국의 독자들에게
추천 서문 - 리처드 도킨스
들어가는 글

제1장. 인간이라는 이상한 생물
제2장. 인간의 뇌를 재편하라
제3장. 문화는 어떻게 진화하는가
제4장. 밈의 눈으로 세상을 보라
제5장. 밈에 관한 세 가지 문제
제6장. 커다란 뇌의 비밀
제7장. 밈으로 설명하는 언어의 기원
제8장. 밈, 유전자를 압박하다
제9장. 사회생물학의 한계
제10장....

목차 전체

한국의 독자들에게
추천 서문 - 리처드 도킨스
들어가는 글

제1장. 인간이라는 이상한 생물
제2장. 인간의 뇌를 재편하라
제3장. 문화는 어떻게 진화하는가
제4장. 밈의 눈으로 세상을 보라
제5장. 밈에 관한 세 가지 문제
제6장. 커다란 뇌의 비밀
제7장. 밈으로 설명하는 언어의 기원
제8장. 밈, 유전자를 압박하다
제9장. 사회생물학의 한계
제10장. ''''오르가슴이 나를 살렸어요''''
제11장. 섹스 어필하는 밈
제12장. 이타성에 대한 밈의 이론 설명
제13장. 이타성을 가장하라
제14장. 뉴에이지에 오염된 밈
제15장. 종교적 밈의 책략
제16장. 인터넷, 새로운 혁명인가
제17장. 자아라는 밈플렉스
제18장. 우리는 밈머신이다

옮긴이의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 수전 블랙모어
영국의 심리학자이자 과학 저술가이다. 1990년대 후반, 병석에서 밈meme에 대한 글을 읽게 된 것을 계기로 이 책을 쓰기 시작했다. 그녀는 이 책을 통해 리처드 도킨스가 ‘이기적 유전자’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탄생시켰던 밈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체계화시켰고, 한발 더 나아가 인간의 큰 뇌, 의식과 자아까지도 밈을 통해 생산되었다고 확장하기에 이른다. 《이기적 유전자》 이후 대니얼 대닛, 리처드 브로디 등을 통해 밈에 대한 여러 논의들이 나왔지만, 이 책이 도킨스의 밈 이론을 가장 정확하게 설명한 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심리학과 생리학 학사학위를 받았고(1973), 서리 대학교에서 초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1980). 페롯-워릭 연구자로 의식의 경계 상태에서의 심령 현상들을 연구했고, CSICOP(초정상 현상에 관한 과학적 탐구 위원회)가 주는 ‘회의주의자 상’을 받았다. 현재는 밈학, 진화 이론, 의식과 명상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으며, 일반 대중들에게 과학적 지식을 알리기 위해 활달한 활동을 해오고 있다. 약 6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지은 책으로는 《몸을 넘어서Beyond the Body》(1982/1992), 《빛을 찾아서In Search of the Light》(1996), 《심리력 테스트Test Your Psychic Power》(1997), 《의식의 개요Consciousness: An Introduction》(2003), 《의식에 관한 대화Conversations on Consciousness》(2005), 《선에 관한 10가지 질문Ten Zen Questions》(2009) 등이 있다. 

역자 김명남
KAIST에서 화학을 전공하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환경정책을 공부했다. 인터넷 서점 알라딘 편집장을 지냈고,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시크릿 하우스》, 《이보디보: 생명의 블랙박스를 열다》, 《특이점이 온다》, 《불편한 진실》, 《양자 세계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월드 체인징》, 《식품 진단서》 등이 있다.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