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자연재해와 유교국가 : 漢代의 災害와 荒政 硏究

김석우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석우 1966-
서명/저자사항자연재해와 유교국가 : 漢代의 災害와 荒政 硏究 / 김석우 지음.
발행사항서울 : 일조각, 2006.
형태사항327 p. : 삽도 ; 24 cm.
총서사항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연구전간 ; 제46집
대등서명Natural disaster and the confucian state : a study on natral disaster and 'famine-relief policy' in the Han Dynasty
ISBN8933705031
서지주기서지적 각주, 참고문헌(p. 317-322), 색인(p. 323-327) 포함
비통제주제어중국한대,자연재해,유교국가,황정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392749 951.01 김531ㅈ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2 E392750 951.01 김531ㅈ c.2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중국 한대의 재해와 황정을 연구한 책. 황정이란 기근 구제를 위한 정책, 흉년으로 기아에 시달리는 인민을 구하는 정치를 의미한다. 중국의 한 왕조 시대에는 두 차례나 황하의 물길이 바뀌어 큰 물난리를 겪었을 뿐만 아니라 지진, 기후의 급속한 한랭화 등 극심한 자연재해를 겪었다. 

이 책에서는 자연의 변화가 당시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으며, 그들이 어...

목차 전체

중국 한대의 재해와 황정을 연구한 책. 황정이란 기근 구제를 위한 정책, 흉년으로 기아에 시달리는 인민을 구하는 정치를 의미한다. 중국의 한 왕조 시대에는 두 차례나 황하의 물길이 바뀌어 큰 물난리를 겪었을 뿐만 아니라 지진, 기후의 급속한 한랭화 등 극심한 자연재해를 겪었다.

이 책에서는 자연의 변화가 당시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으며, 그들이 어떤 방식으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했는지 알아본다. 한대의 자연재해가 통일 제국의 발전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저자는 이러한 문제를 한 제국의 유교화라는 큰 틀을 통해 살펴보며, 자연재해의 문제를 통해 한대사를 조명하고 있다.

목차

목차 일부

머리말 

서론

제1장_ 황정 연구의 대상
1.『주례』의 황정 12조
2.『서한회요』ㆍ『동한회요』의 ''''황정''''조
3.『구황전법』ㆍ『강제록』의 황정 범위
4. 맺음말

제2장_ 재해관과 자연재해
1. 한대인의 재해관 -『설문』과『춘추』의 ''''재災'''' 개념을 중심으로
2.『한서』ㆍ『후한서』재해 기사의 검토
3. 한대 재해 상황의 특징
4. 맺...

목차 전체

머리말 

서론

제1장_ 황정 연구의 대상
1.『주례』의 황정 12조
2.『서한회요』ㆍ『동한회요』의 ''''황정''''조
3.『구황전법』ㆍ『강제록』의 황정 범위
4. 맺음말

제2장_ 재해관과 자연재해
1. 한대인의 재해관 -『설문』과『춘추』의 ''''재災'''' 개념을 중심으로
2.『한서』ㆍ『후한서』재해 기사의 검토
3. 한대 재해 상황의 특징
4. 맺음말

제3장_ 황정론의 전개 -『염철론』을 중심으로
1. 한 무제기까지의 황정론
2.『염철론』에서 보이는 유가와 법가의 상이한 황정관 
3. ''''명경''''의 황정론과 민본적 정치사상의 확대
4. 맺음말

제4장_ 재이론과 유교정치 - 전한 원제대를 중심으로
1. ''''죄기조''''를 통해 본 재이 정치
2. 원제대 정치 상황의 전개와 재이론의 역할
3. 맺음말

제5장_ 황정 체계의 형성과 군현제
1. 현 단위의 황정기 : 고조~경제기
2. 특사 중심의 황정기 : 무제~소제기
3. 군국 중심의 황정기 : 선제~원제기
4. 특사와 군국의 통합적 황정기 : 성제기 이후
5. 맺음말

결론

참고 표
중문개요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1966년 서울 출생. 서강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와 서강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땄다.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상임연구원, 한신대학교 연구교수를 지냈고, 현재 군산대학교 강사이다.
주요 논문으로 <杜預 左傳學의 政治的 배경―의『春秋左傳補疏』를 중심으로―>(2004), <魏晉時期 杜預의 年譜稿>(2006) 등이 있다.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