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비주얼 스토리 : 영상구조의 연출 - 영화, 방송, 애니메이션, 디지털 미디어를 위하여

Block, Bruce A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Block, Bruce A.
민경원
서명/저자사항비주얼 스토리 : 영상구조의 연출 - 영화, 방송, 애니메이션, 디지털 미디어를 위하여 / 브루스 블록 지음 ; 민경원 옮김.
발행사항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형태사항ix, 311 p. : 삽화, 표 ; 26 cm.
원서명(The) visual story : creating the visual structure of film, TV and digital media.(2nd ed.)
ISBN9788964060551
서지주기참고문헌(p. 305-306), 색인(p. 307-311) 포함
부록주기부록: 1, 노달 포인트 촬영. - 2, 피사계 심도 : 공간에서 렌즈의 효과. - 3, 아나모픽 렌즈와 70mm영화. 외
비통제주제어비주얼,스토리,영상구조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415445 778.5 B6511v2민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2 E415446 778.5 B6511v2민 c.2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비주얼 스토리: 영상 구조의 연출-영화, 방송, 애니메이션, 디지털 미디어를 위하여』는 할리우드에서 프로듀서와 감독으로 맹활약하고 있는 브루스 블록의 비주얼 스토리텔링 세미나를 한 권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엮은 것이다. 스토리, 시나리오 구조,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게임의 영상 구조를 설명함으로써 현대 영상의 복잡함과 변화되고 있는 영상 세계를 이...

목차 전체


『비주얼 스토리: 영상 구조의 연출-영화, 방송, 애니메이션, 디지털 미디어를 위하여』는 할리우드에서 프로듀서와 감독으로 맹활약하고 있는 브루스 블록의 비주얼 스토리텔링 세미나를 한 권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엮은 것이다. 스토리, 시나리오 구조,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게임의 영상 구조를 설명함으로써 현대 영상의 복잡함과 변화되고 있는 영상 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열쇠를 제공한다.

목차

목차 전체


역자 서문 
한국어판 서문 
서문 
감사의 글 

1장 영상 구성 요소
2장 콘트라스트와 조화 
3장 공간 
       Part 1 주요한 자체 구성 요소 
       Part 2 프레임 
4장 라인과 모양 
5장 톤 
6장 색 
7장 움직임 
8장 리듬
9장 스토리와 영상 구조 
10장 이론이 아니라 실제다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 브루스 블록(Bruce Block)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USC) 영화과 초빙교수이자 할리우드에서 프로듀서, 감독 그리고 크리에이티브 컨설턴트로 맹활약하고 있다. 영화뿐만 아니라 TV 드라마, 광고,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컴퓨터 게임, 특수영상 그리고 아이맥스 영화 등 다양한 영상 분야에서 활동 중이다.
작품으로는 <로맨틱 홀리데이(2006)>, <사랑할 때 버려야 할 아까운 것들(2003)>, <스튜어트 리틀(1999)>,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1997)>, <스팽글리쉬(2004)>, <아메리칸 스윗하트(2001)>, <왓 위민 원트(2000)>, <페어런트 트랩(1998)>, <신부의 아버지 Ⅰ(1991)>, <신부의 아버지 Ⅱ(1995)>, <사랑의 특종(1994)> 등이 있다.

역자 민경원
시라큐스 대학교 영화영상제작석사(MFA)와 동국대학교 영화영상제작박사(DFA)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경희대학교, 단국대학교에서 강사를 역임했고 현재는 순천향대학교 공연영상미디어학부 교수다. UCLA Film, Television and Digital Media 교환교수를 지냈으며 (사)한국영화학회 총무이사, (사)영상기술학회 대외협력이사, 한국영화교육학회 이사, Society for Cinema & Media Studies 회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부위원장으로 활동 중이다.
역서로는 『최신 HD영화 제작 가이드』가 있으며 저서로는 『중학교 영화 교과서 및 지도서』가 있다. 연구 실적으로는 “유니버설 스튜디오와 디즈니랜드의 영화콘텐츠 활용 연구”, “디지털 영화제작을 위한 레드 원 카메라의 활용성 연구”, “1950년대 뮤지컬영화의 내러티브 스타일 분석”, “영화 제작의 새로운 시스템에 관한 연구”, “효율적인 단편영화 제작을 위한 연구”, “미장센의 의미구성에 관한 연구”, “이러닝을 통한 영상제작교육 연구”, “기술 환경 변화에 따른 영화인력 기술역량 강화방안 연구”, “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영화분야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용어정립 및 교수지원 방안 연구”, “온라인 영상교육자료 개발 연구” 등이 있다. 단편영화, 장편영화, 다큐멘터리 등 다수의 작품이 있으며 시나리오 창작과 장르의 경계를 넘나드는 다양한 창작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