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홍루몽

조설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조설근, 1715-1763.
고악 1763-1815
최용철
고민희
조점
단체저자명중국예술연구원홍루몽연구소
서명/저자사항홍루몽 / 조설근 ; 고악 [공]지음 ; 최용철 ; 고민희 [공]옮김.
판사항2판.
발행사항파주 : 나남, 2012.
형태사항6권 : 일부채색삽도 ; 21 cm .
원서명红楼梦(2版)
ISBN9788930009010(v.1)
9788930009027(v.2)
9788930009034(v.3)
9788930009041(v.4)
9788930009058(v.5)
9788930009065(v.6)
9788930009089(전6권)
일반주기 校注: 中国艺术研究院红楼梦研究所
"조설근"의 본명은 "조점" 임
서지주기서지적 각주 수록
내용주기v.1: 통령보옥의 환생 -- v.2: 흩날리는 꽃잎을 물고 -- v.3: 정월 대보름의 잔치 -- v.4: 스산한 가을바람소리 -- v.5: 엇갈린 운명과 이별 -- v.6: 다시 돌이 되어
비통제주제어중국소설,고전소설,대하소설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426703 895.13 조53ㅎ2최 v.1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2 E427063 895.13 조53ㅎ2최 v.1 c.2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3 E426704 895.13 조53ㅎ2최 v.2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4 E427064 895.13 조53ㅎ2최 v.2 c.2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5 E426705 895.13 조53ㅎ2최 v.3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6 E427065 895.13 조53ㅎ2최 v.3 c.2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7 E426706 895.13 조53ㅎ2최 v.4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8 E427066 895.13 조53ㅎ2최 v.4 c.2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9 E426707 895.13 조53ㅎ2최 v.5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10 E427067 895.13 조53ㅎ2최 v.5 c.2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11 E426708 895.13 조53ㅎ2최 v.6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12 E427068 895.13 조53ㅎ2최 v.6 c.2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국내 최초 정통 중국문학 학자들의 완역본! 

중국 근대소설의 효시로 꼽히는『홍루몽』완역본.『홍루몽』은 18세기 중반에 나온 명작소설로, 나온 지 2백여 년이 지났지만 지금까지 전 세계 20여 종의 언어로 번역되어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인간의 감성세계를 정교하게 그려낸 이 소설에는 중국인의 의식구조와 생활습속이 담겨 있다. 또한 인생의 진리와 인간관...

목차 전체

국내 최초 정통 중국문학 학자들의 완역본!

중국 근대소설의 효시로 꼽히는『홍루몽』완역본.『홍루몽』은 18세기 중반에 나온 명작소설로, 나온 지 2백여 년이 지났지만 지금까지 전 세계 20여 종의 언어로 번역되어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인간의 감성세계를 정교하게 그려낸 이 소설에는 중국인의 의식구조와 생활습속이 담겨 있다. 또한 인생의 진리와 인간관계의 이치에 대한 깨달음을 전해준다.

가보옥과 임대옥, 설보차를 둘러싼 비극적인 사랑과 가씨 가문의 흥망성쇠가 펼쳐진다. 제목인『홍루몽』은 '붉은 누각의 꿈'이라는 뜻이다. 붉은 누각에서 꾸는 꿈은 짧고도 아름다운 청춘의 꿈이지만, 인생의 봄날은 결코 길지 않다. 이 소설은 바로 꿈이라는 은유를 통해 인생의 허무함을 절절한 심정으로 노래하고 있다.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비극적 죽음, 가문의 몰락 등 꿈들이 사라지는 것을 통해 인생과 우주의 이치를 깨닫게 된다.

이번 완역본은 우리나라 홍학(紅學)을 대표하는 최용철 교수와 고민희 교수의 9년여의 작업 끝에 출간되었다. 두 전문연구자가 함께 심혈을 기울여 이루어낸 성과로, 국내 최초로 정통 중국문학 학자들에 의한 완역본이라는 점에서 돋보인다. 그동안의 홍학연구 경험을 최대한 살리는 한편,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국제 홍학계의 최신 연구성과를 잘 반영하였다.

목차

목차 일부

제1회 
석두의 이야기 
진사은은 꿈길에서 통령보옥 처음 보고 
가우촌은 불우할 때 한 여인을 알았다네 

제2회 
영국부의 인물 
가부인은 양주에서 신선되어 승천하고 
냉자흥은 영국부를 상세하게 들려주네 

제3회 
임대옥의 상경 
가우촌은 청탁으로 지난 벼슬 다시 찾고 
임대옥은 집을 떠나 외갓집에 상경하네 

제4회 
가우...

목차 전체

제1회 
석두의 이야기 
진사은은 꿈길에서 통령보옥 처음 보고 
가우촌은 불우할 때 한 여인을 알았다네 

제2회 
영국부의 인물 
가부인은 양주에서 신선되어 승천하고 
냉자흥은 영국부를 상세하게 들려주네 

제3회 
임대옥의 상경 
가우촌은 청탁으로 지난 벼슬 다시 찾고 
임대옥은 집을 떠나 외갓집에 상경하네 

제4회 
가우촌의 판결 
박명한 여자 하필 박명한 사내 만나고 
호로묘 승려 짐짓 제멋대로 판결내리네 

제5회 
금릉의 십이차 
태허환경 노닐며 열두 미녀 그림 보고 
신선주를 마시며 홍루몽곡 들어보네 

제6회 
유노파의 등장 
가보옥은 습인과 첫 운우지정 경험하고 
유노파는 처음으로 영국부에 들어왔네 

제7회 
진가경과 진종 
궁중꽃 나눌 때 가련은 희봉을 희롱하고 
녕국부 잔치에서 보옥이 진종을 만났네 

제8회 
설보차의 금쇄 
통령옥 살펴보며 앵아가 슬쩍 뜻을 드러내고 
보차를 찾아간 대옥은 은근한 질투심 보이네 

제9회 
서당의 대소동 
풍류를 그리던 친구가 서당으로 들어가니 
의심 많은 악동들이 학당에서 난장판 치네 

제10회 
진가경의 와병 
김과부는 이익을 생각하여 모욕을 참고 
장태의는 진가경을 진맥하여 근원을 논하네 

제11회 
가서의 짝사랑 
가경의 생일날 녕국부에 큰잔치가 열리고 
가서는 왕희봉 만나보고 흑심이 생겨났네 

제12회 
풍월보감의 저주 
왕희봉은 치정놀음에 무서운 계략 꾸미고 
가천상은 풍월보감의 정면을 비추었다네 

제13회 
진가경의 장례 
진가경이 요절하자 남편은 용금위로 봉해지고 
왕희봉이 도와서 녕국부의 장례식을 치렀네 

제14회 
임여해의 사망 
임여해는 양주에서 쓸쓸하게 운명하고 
가보옥은 장례길에 북정왕을 알현하네 

제15회 
왕희봉의 권세 
왕희봉은 철함사에서 멋대로 권세 부리고 
진종은 만두암에서 은근히 재미를 보았네 

제16회 
귀비가 된 원춘 
원춘은 재색으로 봉조궁 귀비되고 
진종은 요절하여 황천길 떠나갔네 

제17~18회 
대관원의 낙성 
보옥의 글재주로 대관원에 편액대련 붙이고 
원춘의 근친으로 영국부는 대보름밤 즐기네 

제19회 
화습인의 충고 
한밤의 화습인 절절한 사랑으로 충고하고 
한낮의 임대옥 애틋하게 마음을 드러냈네 

제20회 
왕희봉의 질책 
왕희봉은 바른 말로 조이랑의 질투를 야단치고 
임대옥은 재치있게 교태로운 사상운을 놀리네

저자소개

조설근(약 1715~1763)은 본명이 점(霑), 호를 근포(芹圃), 근계거사(芹溪居士), 몽완(夢阮) 등으로 부르며, 남경의 강녕직조(江寧織造)에서 귀공자로 태어나 부귀영화를 누렸으나 소년시절 가문이 몰락, 북경으로 이주하여 불우한 생활을 하였다. 만년에는 북경 교외 향산(香山) 아래에서 빈궁한 생활 속에 그림과 시를 즐기며《홍루몽》의 창작에 여생을 보냈다. 다른 저술은 남아있지 않고 그의 생전에는《석두기》(石頭記)란 이름으로 필사본 80회가 전해지고 있었다. 

고악(1763~1815)은 자를 난서(蘭墅), 호를 홍루외사(紅樓外史)라고 했으며, 요동(遼東)의 철령(鐵嶺)사람이다. 건륭 53년(1788) 향시에 합격하여 거인(擧人)이 되었으나 진사 시험에는 계속 낙방하였다. 건륭 56년(1791) 친구인 정위원(程偉元)의 부탁으로 그가 수집한《홍루몽》후반부 30여 회를 수정 보완하여 활자본 120회를 간행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고려대 중문과를 졸업하고 국립타이완(臺灣)대학에서《홍루몽》연구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중국고전소설과 동아시아 비교문학 등의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박사논문 “청대 홍루몽학의 연구” 외에《홍루몽의 전파와 번역》과 “조설근 가세고”, “구운기에 나타난 홍루몽의 영향연구” 등의 저서와 논문이 있다. 

한림대학교 중국학과 교수. 고려대 중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홍루몽》연구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홍루몽》의 사상성 및《홍루몽》연구사 등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박사논문 “홍루몽의 현실비판적 의의 연구” 외에 “홍루몽에 나타난 휴머니즘 연구”, “중국 신문학운동 초기의 홍루몽 평가에 관한 고찰” 등의 논문이 있다.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