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커버스토리]
한국 대중음악 100년
서문 _ ‘한국 대중음악 100년’을 당대의 중진 대중음악 필자들이 참여하여 ‘일관된 맥락’에서 정리 작업을 시도 _ 박준흠
Ⅰ. 연대기로 살펴본 대중음악 100년 정의&정리
01. 1907~1927년
1930년대 들어 본격화된 한국 대중음악사에서의 전사
- 전통음악의 근대화, 유성기 음반 _박애경
02. 192...
목차 전체
[커버스토리]
한국 대중음악 100년
서문 _ ‘한국 대중음악 100년’을 당대의 중진 대중음악 필자들이 참여하여 ‘일관된 맥락’에서 정리 작업을 시도 _ 박준흠
Ⅰ. 연대기로 살펴본 대중음악 100년 정의&정리
01. 1907~1927년
1930년대 들어 본격화된 한국 대중음악사에서의 전사
- 전통음악의 근대화, 유성기 음반 _박애경
02. 1928~1945년
본격화된 한국 대중음악사
- 전기 녹음에서 악극까지 _ 장유정
03. 1946~1959년
6.25 전쟁과 한국 대중음악의 변화
- 종전 후 새로운 매체, 인적 자원, 작품 경향의 부상 _ 이준희
04. 1960~1969년
제도와 음악환경의 변화로 한국 대중음악의 새로운 흐름이 형성된 대전환의 시대
- 새로운 방송 매체와 음반 포맷, 음악 이익단체, 검열단체의 탄생 _ 최규성
05. 1970~1979년
청년문화의 대두와 좌절
- 포크음악과 청년문화의 시대에서 트로트의 귀환까지 _ 김창남
06. 1980~1989년
새로운 ‘음악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한 차별화된 창작, 세션, 녹음의 시작
- 뮤지션 세대교체, 음악적인 트렌드의 변화 _ 박준흠
07. 1990~1999년
비주얼보다 음악성이 환영받았던 마지막 호시절
- 90년대에 형성된 대중음악의 트렌드 및 산업의 형태는 현재까지 이어지고 _ 권석정
08. 2000~2011년
공감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시대 _ 홍정택
Ⅱ. 한국 대중음악의 판도를 바꾼 주요 사건 15개
1. 윤심덕 <사의 찬미> (1926)
- 한국 대중음악의 탄생은 우연인가 음모인가 _ 조원희
2. 마이크로폰과 <낙화유수> (1929)
- 꽃피는 레코드 시대 _ 김토일
3. 이난영 <목포의 눈물> (1935)
- 트로트의 정립 _ 이영미
4. 미8군 음악단 (1950년대)
- 트로트 음악에서 서구화된 스탠더드 팝과 록 음악의 도입 _ 배순탁
5. 신중현 ‘에드훠’ 1집 [비속의 여인] (1964)
-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는 최초의 창작 (록) 앨범 _ 최규성
6. 한대수 귀국 (1968)
- 대중음악 평론 대상으로서 한국 가요계 최초의 의미 _ 황정
7. 명동 포크송 무브먼트 (1970년대)
- 1970년대 청년문화를 주도 _ 최규성
8. 대마초 파동 (1975)
- 한국 대중음악계의 최대 암흑기 _ 정호재
9. 대학가요제 (1977)
- 한국 대중음악 암흑기의 새로운 대중음악씬의 태동 _ 송명하
10. 파고다 메탈 씬 (1984)
- 한국 헤비메탈 씬의 시작 _ 성우진
11. 서태지와 아이들의 데뷔 (1992)
- 그를 알기에 필요로 했던 시간 _ 홍정택
12. 이수만, SM엔터테인먼트 설립 (1995)
- 현재 주류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시작 _ 이민희
13. 가요 사전심의 철폐 (1996)
- 2000년대 창작 대중음악(인디음악)의 밑거름 _ 김토일
14. 첫 번째 인디음반 [Our Nation] (1996)
- 인디레이블의 시작 _이민희
15. 문라이즈레코드 (2000)
- ‘홈레코딩’을 기반으로 한 2000년대 인디음반 제작 시스템의 시작 _ 이민희
Ⅲ. 한국 대중음악 장르별 정리
1. 트로트 (1930년 무렵) _ 이영미
2. 재즈 (1930년대) _ 황덕호
3. 블루스 (1930년대) _ 조일동
4. 월드뮤직 (1940년 무렵) _ 하종욱
5. 록 (1960년대 초반) _ 최규성
6. 포크 (1960년대 후반) _ 김창남
7. 헤비메탈 (1970년대 후반) _ 성우진
8. 일렉트로니카 (1980년대 중반) _ 조원희
9. 힙합 (1980년대 후반) _ 김봉현
10. 모던록, 펑크 (1990년대 중반) _ 이민희
Ⅳ. 한국 대중음악 ‘명예의 전당’에 추천하는 100인
1. 최고의 보컬리스트 10 _ 최규성
(이난영, 남인수, 현인, 이미자, 배호, 김추자, 송창식, 조용필, 이승철, 임재범)
2. 최고의 기타리스트 10 _ 권석정
(신중현, 최이철, 이중산, 김광석, 최희선, 함춘호, 이병우, 김도균, 한상원, 신윤철)
3. 최고의 베이시스트 10 _ 하종욱
(송홍섭, 조동익, 이태윤, 신현권, 서영도, 강기영, 이남이, 김영진, 조경수, 정재일)
4. 최고의 드러머 10 _ 최재혁
(최세진, 김희연, 강수호, 김선중, 김민기, 오종대, 이기태, 정용욱, 이상민, 양혜승)
5. 최고의 키보디스트 10 _ 고경천
(심성락, 김명곤, 김효국, 이봉환, 최태완, 김광민, 정원영, 한충완, 전영호, 이종민)
6. 최고의 작곡가 10 _ 조원희
(신중현, 김수철, 이영훈, 김창훈, 박시춘, 윤상, 박춘석, 이봉조, 이정선, 유희열)
7. 최고의 작사가 10 _ 이영미
(김민기, 정태춘, 박영호, 조명암, 유호, 반야월, 박건호, 박주연, 김창완, 신해철 + 김소월)
8. 최고의 프로듀서 10 _ 이민희
(조동익, 하광훈, 김창환, 윤상, 김현철, 신철, 정석원, 김성수, 이한철, 유영진/테디/박진영)
9. 최고의 레코딩엔지니어 10 _ 최정훈
(정용원, 최세영, 이청, 장인석, 서상환, 정도원, 임창덕, 변성복, 김대성, 황병준/박재범/남상욱/강효민/SM뮤직 엔지니어팀)
10. 최고의 음반기획자 10 _ 송명하
(이기세, 이철, 손석우, 황우루, 박성배, 나현구, 이종환, 안치행, 김영, 이수만)
[특집]
대중음악 현장인력 탐방
서문 _ 대중음악 관련 새로운 인력 충원을 위한 가이드 _ 박준흠(편집인)
01. 음반기획
음반기획자, 뮤지션의 조력자이자 파트너
인터뷰 : 최진열(엔이알 엔터테인먼트 대표이사), 모 인디음악기획자 _ 홍정택(대중음악평론가)
02. 공연기획
공연기획자, 장기적이고 치밀한 플랜이 필요
인터뷰 : 성시권(공연기획자, 대중음악평론가) _ 이태훈(대중음악평론가)
03. 세션
세션맨, 두 번째 아티스트
인터뷰 : 조용필과 위대한 탄생(최희선, 김선중, 이태윤, 최태완) _ 권석정(유니온프레스 기자)
04. 음반녹음
레코딩 엔지니어, 좋은 소리를 더 좋게 하는 음악의 파트너
인터뷰 : 김시철(나인먼스아트워크 스튜디오 녹음실장) _ 홍정택(대중음악평론가)
05. 음악방송기획
음악방송PD, 그 시대가 갖고 있는 음악을 담아내는 그릇
인터뷰 : EBS ‘스페이스 공감’ 제작진(민정홍 PD, 정윤환 PD, 황정원 PD, 김이환 작가, 박다윤 작가, 변고은 작가, 김현준 기획위원, 박은석 기획위원) _ 권석정(유니온프레스 기자)
06. 포털사이트 뮤직서비스기획
뮤직서비스기획자, 디지털 환경에서 가치 있는 밸류를 판단
인터뷰 : 손형선(싸이월드 뮤직서비스팀 팀장) _ 배순탁(대중음악평론가, 방송작가)
07. 음악출판기획
음악출판기획자, 음악서적은 기획보다 편집이 더 어려워요
인터뷰 : 도서출판 한울 편집자(이교혜, 박근홍, 최진희) _ 이민희(대중음악평론가)
08. 대중음악정책
대중음악정책가, 음악산업의 인프라를 만드는 사람
인터뷰 : 최광호(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사무국장) _ 이민희(대중음악평론가)
[기획]
기획1. 한국 대중음악 라이브홀릭
- 대중음악전문공연장 올림픽홀 ‘뮤즈라이브’ 개관기념공연
박준흠(서울종합예술학교 공연제작예술학부 교수)
기획2. 생활음악축제(Community Music Festival)를 준비하자!
김보성(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겸임교수)
기획3. 진귀한 한국 대중음악 유물탐방 2
- 한국 최초의 음악잡지 ‘일동타임스’ 창간호 (1926년 1월호)
최규성(편집위원, 대중문화평론가)
[SOUND Opinion]
그 많던 남자 관객들은 어디로 갔을까?
- 인디씬의 성장, 그리고 단일화 되어버린 음악 범주
배수정(하이브리드 문화생명체)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