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연출가처럼 생각하기

Bloom, Michael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Bloom, Michael, 1950-
김석만
서명/저자사항연출가처럼 생각하기 / 마이클 블룸 지음 ; 김석만 옮김.
발행사항서울 : 연극과인간, 2012.
형태사항351 p. ; 21 cm.
원서명Thinking like a director : a practical handbook
ISBN9788957864166
일반주기 부록: 1, 연출 준비. - 2, 연습 일정 표본. - 3, 참고희곡: <유리 동물원>·<노라>
서지주기서지적 각주, 참고문헌(p. [344]-345), 색인(p. [348]-351) 포함
비통제주제어연출가,공연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중앙도서관

중앙도서관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431218 792.0233 B655t김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2 E431219 792.0233 B655t김 c.2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초록



『연출가처럼 생각하기』는 사투하고 노력하는 연출가에게 텍스트에 대한 존중과 함께 작업하는 배우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연습과정에서 설득력을 얻는 방법을 친절하게 알려 주고 있다. 총 4장으로 구성하여, 준비작업, 공연 준비, 연습, 자료들로 구성되어있다.

목차

목차 일부


저자 서문
감사의 글
머리말 
전제 조건들|카잔과 클러만의 조언|연출가는 이야기꾼이다|연출가는 활기를 부여하는 사람

Ⅰ. 준비작업
1. 예술가처럼 생각하기
두 피터 아저씨의 조언|해석자인 연출가|시대정신|연출가의 해석적 입장
2. 희곡읽기와 연구조사
탐정 같은 연출가|저작권 없는 희곡들|번역과 각색|연구조사|연구조사의 가치|연구조사의 첫 번째 방법|두 ...

목차 전체


저자 서문
감사의 글
머리말 
전제 조건들|카잔과 클러만의 조언|연출가는 이야기꾼이다|연출가는 활기를 부여하는 사람

Ⅰ. 준비작업
1. 예술가처럼 생각하기
두 피터 아저씨의 조언|해석자인 연출가|시대정신|연출가의 해석적 입장
2. 희곡읽기와 연구조사
탐정 같은 연출가|저작권 없는 희곡들|번역과 각색|연구조사|연구조사의 가치|연구조사의 첫 번째 방법|두 번째 방법|세 번째 방법|네 번째 방법|다섯 번째 방법
3. 행동을 해석하는 방법
행동의 중요성|행동의 이름 붙이기|단락|주어진 상황|행동을 드러내기|단락의 변화, 행동의 변화|장면의 목적|장애물: 행동의 이면|행동과 장애를 동시에 드러내기|등장인물의 역학 관계
|행동에 담긴 이성|스타니슬라브스키의 결론
4. 외적 분석: 구조
중심갈등: 연출가의 방향타|기능|사건|선축적 구족|전환점의 발견|전형적 양식|유리 동물원의 특징|서사의 주인 되기|창작 희곡 분석하기|무대에 등장하지 않는 인물|언어|언어 분석|
개성있는 극작가의 언어|대사의 의미|도전과제

Ⅱ. 공연 준비
5. 접근방법 개발
접근방법을 발전시키는 과정|공연작가들|원천|은유|시간과 장소|희곡을 다른 세계로 번인하기|관습
6. 디자인 과정
시간 배정|디자이너와 첫 만남|조사단계|극장 공간|평면도 작성|책임 행동과 평면도|동물원의 위치|입체 디자인|장면전환 선택|다른 디자이너들|조명의 중요성|음향과 음악
7. 공연양식 
조너선 밀러의 발견|텍스트의 스타일|역사적 스타일|제작 과정의 스타일|연기 스타일|로버트 루이스의 깨달음
8. 배역선정
준비|배역 설명|비전통적인 배역선정|배역선정과 해석|관계를 ?나 배역선정|기술과 유형|전문극단의 배역선정|오디셩|콜백 오디션|배역선정의 성공과 실패

Ⅲ. 연습
9. 초기 연습
연습 첫 날|무대디자인의 소개|대본 수정|아낌없는 칭찬|연출가의 두 가지 실수|독최연습|중요한 탐색|배우의 영역과 연출가의 영역|움직이는 연습|연습 초기 단계|배우와 연출가의 몫|
행동의 강화|행동의 변화와 영향|토론의 함정|연습 예절|믿음직한 무대감독|못난 배우의 태도|다양한 연습 과정|뷰포인트 평가|신작 희곡의 연습|극작가의 연습 참여
10. 무대형상화
용어의 정의|블로킹의 시작|믿을 만한 무대그림|무대구성|다른 무대 공간들
11. 중간단계 연습: 문제해결
연습 중바의 접근방법|행동을 익숙하게 만들기|듣고 반응하기|세 가지 차원의 상호작용|즉흥연기|유월절 질문|판돈 같은 연기 자산|워터게이트 사건의 질문|장애물 사용|내면의상처|등장인물| 행동에 어울리는 적응|형식화|언어의 주의하기|긴대사|연기적 사고 과정|현대극들
12. 연습의 외형적 관점
사건과 기능|등장인물과 관계|구조와 긴장감|장면의 끝|형상과 리듬|연기와 스타일|전체연습과 다른 연습들|목소리 문제
13. 마지막 단계
테크니컬 리허설|페이퍼 텍|첫 무대 밟기|의상 퍼레이드|조명 효과 확인|전환|테크니컬 리허설 평가|의상 총연습|시연회|공연 첫 날과 그 이후

Ⅳ. 자료들
14. 연출의 지형
연축가 되는 길|연출교육|연극의 위기|건강한 예술 공동체|연극의 가치

부록 1 |연출 준비
부록2|연습 일정 표본
부록3|참고 희곡:<유리 동물원>·<노라>

용어사전
참고문헌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