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국가 간의 정치 : 세계평화의 권력이론적 접근

Morgenthau, Hans J.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Morgenthau, Hans J. (Hans Joachim), 1904-1980
Thompson, Kenneth W., 1921-
Clinton, W. David
이호재
엄태암
서명/저자사항국가 간의 정치 : 세계평화의 권력이론적 접근 / 한스 모겐소 ; [케네스 W. 톰슨 ; W. 데이비드 클린턴 개정] ; 이호재 ; 엄태암 [공]옮김.
발행사항파주 : 김영사, 2014.
형태사항2책 ; 22 cm.
원서명Politics among nations : the struggle for power and peace(7th ed.)
ISBN9788934965794(v.1)
9788934965800(v.2)
9788934965787(세트)
일반주기 부록: A. 21세기를 향한 현실주의 갱신, B. 국제연합 헌장
서지주기참고문헌, 색인 포함
비통제주제어국가,정치,세계평화,권력이론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454088 327 M851p7이 v.1 중앙도서관/제2보존서고/ 0053337 대출가능
2 E454089 327 M851p7이 v.1 c.2 중앙도서관/제2보존서고/ 0053338 대출가능
3 E468784 327 M851p7이 v.2 중앙도서관/제2보존서고/ 0053339 대출가능
4 E468785 327 M851p7이 v.2 c.2 중앙도서관/제2보존서고/ 0053340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국제정치학의 새로운 지평을 연 정치학의 바이블 
『국가 간의 정치』제1권《세계평화의 권력이론적 접근》. 이 책은 탈냉전 이후 미국외교정책의 근간이 된 현실주의적 국제정치의 기틀을 확립하고 분석해낸 국제정치학 바이블이다. 저자인 한스 모겐소 교수는 두 차례에 걸친 세계 대전을 겪으며 평화를 파괴하는 인간의 욕망과 평화를 회복하려는 방법을 주제에 천착하여 국...

목차 전체

국제정치학의 새로운 지평을 연 정치학의 바이블
『국가 간의 정치』제1권《세계평화의 권력이론적 접근》. 이 책은 탈냉전 이후 미국외교정책의 근간이 된 현실주의적 국제정치의 기틀을 확립하고 분석해낸 국제정치학 바이블이다. 저자인 한스 모겐소 교수는 두 차례에 걸친 세계 대전을 겪으며 평화를 파괴하는 인간의 욕망과 평화를 회복하려는 방법을 주제에 천착하여 국제사회의 권력정치적 현상을 현실주의 이론으로 정립한다. 1948년 처음 출간되어 1943년 시카고 대학에서 개설한 국제정치학 과목의 강의안을 정리한 것으로 세 차례 걸쳐 출간되며 오늘날까지도 시대의 흐름이 반영되어 읽히고 있는 저서로 평가되고 있다.

목차

목차 일부

제1부 국제정치의 이론과 실제 
제1장 국제정치의 현실주의 이론 
정치적 현실주의의 여섯 가지 원칙 
제2장 과학으로서의 국제정치학 
1. 국제정치학의 이해 
여러 가지 접근법 │ 이해의 한계 
2. 국제 평화 문제의 이해 

제2부 권력 투쟁으로서의 국제정치 
제3장 정치권력 
1. 정치권력이란무엇인가 
국가 목표의 달성 수단 │ 정치...

목차 전체

제1부 국제정치의 이론과 실제 
제1장 국제정치의 현실주의 이론 
정치적 현실주의의 여섯 가지 원칙 
제2장 과학으로서의 국제정치학 
1. 국제정치학의 이해 
여러 가지 접근법 │ 이해의 한계 
2. 국제 평화 문제의 이해 

제2부 권력 투쟁으로서의 국제정치 
제3장 정치권력 
1. 정치권력이란무엇인가 
국가 목표의 달성 수단 │ 정치권력의 본질: 네 가지 차이 
2. 정치권력의 경시 
3. 정치권력 경시의 두 근원 
19세기의 철학│ 미국의 경험 
4. 평화학: 오늘날의 유토피아니즘 
제4장 권력 투쟁: 현상유지정책 
제5장 권력 투쟁: 제국주의 
1. 제국주의가 아닌 것 
2. 경제이론적 제국주의론 
마르크스, 자유주의, ‘악마’제국주의론│ 이들 이론에 대한비판 
3. 제국주의의 여러 유형 
제국주의의 세 가지 유인 조건 │ 제국주의의 세 가지 목표 │ 제국주의의 세 가지 수단 
제6장 권력 투쟁: 권위정책 
1. 외교적 의식 
2. 군사력의 과시 
3. 권위정책의 두 가지 목표 
4. 잘못된 권위정책 세 가지 
제7장 국제정치의 이데올로기적 요소 
1. 정치이데올로기의 본질 
2. 외교정책의 전형적 이데올로기 유형 
현상유지 이데올로기 │ 제국주의의 이데올로기 │ 이데올로기의모호성 
3. 판별의 문제 

제3부 국가 권력 
제8장 국력의 본질 
1. 국력이란무엇인가 
2. 근대 민족주의의 근원 
민족주의의 쇠퇴: 명백하고 실질적 현상 │ 개인의 불안감과사회해체 
제9장 국력의요소 
1. 지리적 요소 
2. 자연자원 
식량│ 천연자원 
3. 공업능력 
4. 군비 
기술 │ 리더십 │ 군대의 양과 질 
5. 인구 
분포 │ 추세 
6. 국민성 
국민성의 존재 │ 러시아 국민성 │ 국민성과 국력 
7. 국민의 사기 
국민사기의 불안정성 │ 사회와 정부의 질: 결정적 요소 
8. 외교의 질 
9. 정부의 질 
자원과 정책 간의 균형 문제 │ 자원 간의 균형 문제 │ 국민의 지지 동원 문제 │ 정부와 외교정책 
제0장 국력의 평가 
1. 국력 평가의 과제 
2. 국력 평가의 전형적 오류 
국력의 절대성 │ 국력의 영구성 │ 한 가지 국력 요소를 강조하는 잘못 

제4부 국가 권력의 제한: 세력 균형 
제11장 세력 균형 
1. 사회적 평형 
보편적 개념으로서의 세력 균형 │ 국내정치의 세력 균형 
2. 세력 균형의 두 유형 
직접 대결 │ 경쟁 │ 한국과 세력균형 
제12장 세력 균형의 여러 방법 
1. 분할?통치 
2. 보상 
3. 군비 
4. 동맹 
동맹의 일반적 성격 │ 동맹 대 세계 지배 │동맹 대 대항 동맹 
5. 균형‘유지자’ 
제13장 세력 균형의 구조 
1. 지배체제와 종속체제 
2. 세력 균형의 구조적 변화 
제14장 세력 균형의 평가 
1. 세력 균형의 불확실성 
2. 세력 균형의 비현실성 
이데올로기로서의 세력 균형 
3. 세력 균형의 부적합성 
도덕적 일체감의 규제력 │ 근대 국가체제의 도덕적 일체감 
제15장 도덕, 관습, 법의 권력 억제 
제16장 국제도덕 
1. 인명보호 
평시의 인명 보호 │ 전시의 인명 보호 │ 전쟁에 대한 도덕적 비난 │ 국제도덕과 전면전 
2. 보편적 도덕 대 민족주의적 보편주의 
국제적 귀족사회의 개인 윤리 │ 국제도덕의 붕괴 │ 국제사회의붕괴 │ 국제주의에 대한 민족주의의 승리│ 민족주의의 변천│ 인권과 국제도덕 
제17장 세계여론 
1. 세계의 심리적 일체감 
2. 기술적 통일의 모호성 
3. 민족주의의 장벽 

제6부 국가 권력의 제한 

제18장 국제법의 주요 문제 
1. 국제법의 일반 성격 
2. 국제법의 입법 기능 
분권적 성격 │ 해석과 구속력 
3. 국제법의 사법 기능 
강제 관할권 │ 국제법원 │ 사법적 판결의 효력 
4. 국제법의 집행 
분권적 성격 │ 보장 조약 │ 집단안전보장 
제19장 주권 
1. 주권의 일반적 성격 
2. 주권 개념의 동의어: 독립, 평등, 만장일치 
3. 주권이 아닌 것들 
4. 주권의 상실 
국제기구의 다수결 원칙 
5. 주권은 분할될 수 있는가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