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현대일본을 찾아서

Jansen, Marius B.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Jansen, Marius B., 1922-2000
김우영, 1959-
강인황, 1961-
허형주, 1972-
이정, 1972-
서명/저자사항현대일본을 찾아서 / 마리우스 B. 잰슨 지음 ; 김우영 [외]옮김.
발행사항서울 : 이산, 2006 (2013 2쇄).
형태사항2책 : 도판 ; 23 cm.
총서사항이산의 책 ; 40-41
원서명(The) making of modern Japan
ISBN8987608514(v.1)
8987608522(v.2)
8987608506(전2권)
일반주기 공역자: 강인황, 허형주, 이정
서지주기서지적 각주(p. [553]-584) 포함
비통제주제어현대일본,일본사,일본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465778 952.025 J35m김 v.1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2 E465779 952.025 J35m김 v.1 c.2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0338526 대출가능
3 E465780 952.025 J35m김 v.2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4 E465781 952.025 J35m김 v.2 c.2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일본의 근현대를 폭넓은 시각으로 살펴보는 <현대일본을 찾아서> 제1권. 도쿠가와 시대부터 2001년 일본 근현대사를 총체적으로 기술한 역사서이다. 결정적인 국면에서 발휘되는 일본사의 계기적인 발전에 주목하면서, 근대일본의 형성과정을 흥미진진하고 생생하게 재구성하고 있다. 이 책은 일본의 근대적 변혁이 어떤 과정을 거쳤으며, 이런 변화에 일본의 지식인과 민중...

목차 전체

일본의 근현대를 폭넓은 시각으로 살펴보는 <현대일본을 찾아서> 제1권. 도쿠가와 시대부터 2001년 일본 근현대사를 총체적으로 기술한 역사서이다. 결정적인 국면에서 발휘되는 일본사의 계기적인 발전에 주목하면서, 근대일본의 형성과정을 흥미진진하고 생생하게 재구성하고 있다. 이 책은 일본의 근대적 변혁이 어떤 과정을 거쳤으며, 이런 변화에 일본의 지식인과 민중이 현재까지 어떻게 대응해왔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한 시대를 풍미했던 인물들에서부터 힘들게 살아가야 했던 일본 서민들까지 다양한 실존인물들을 통해 일본의 근현대사를 풀어내고 있다. 유려한 이야기와 인물평, 명쾌하고 상세한 설명을 바탕으로 근대일본을 통찰하는 책이다.

목차

목차 일부

머리말
감사의 말
1장 세키가하라 전투센고쿠의 배경/ 새로운 센고쿠다이묘/ 천하 통일자: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아즈치. 모모야마 문화/ 세키가하라 전투의 수혜자: 도쿠가와 이에야스

2장 도쿠가와 국가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집권/ 다이묘의 서열화/ 도쿠가와 막부의 구조/ 번/ 중심과 주변: 막부와 번의 관계/ 도쿠가와 ''''국가''''
...

목차 전체

머리말
감사의 말
1장 세키가하라 전투센고쿠의 배경/ 새로운 센고쿠다이묘/ 천하 통일자: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아즈치. 모모야마 문화/ 세키가하라 전투의 수혜자: 도쿠가와 이에야스

2장 도쿠가와 국가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집권/ 다이묘의 서열화/ 도쿠가와 막부의 구조/ 번/ 중심과 주변: 막부와 번의 관계/ 도쿠가와 ''''국가''''

3장 대외관계배경/ 조선과의 관계/ 서양의 여러 나라/ 쇄국정책/ 나가사키의 네덜란드인/ 중국과의 관계/ ''''쇄국''''이라는 문제
4장 신분집단조정/ 사무라이 지배계층/ 농촌의 삶/ 조닌/ 하위 신분/ 신분과 기능
5장 도시화와 교통참근교대제/ 교통망/ 조카마치/ 에도: 매혹적인 중심도시
6장 서민문화의 발전지배계급의 개명/ 서적과 식자/ 오사카와 교토/ 겐로쿠 문화
7장 교육. 사상. 종교교육/ 유교의 보급/ 학자와 학문/ 중국이라는 문제/ 국학/ 난학 또는 양학/ 종교/ 서민 교화
8장 변화. 저항. 개혁인구/ 지배자와 피지배자/ 민중의 저항/ 막부의 대응
9장 개국러시아/ 서유럽/ 중국으로부터의 소식/ 페리 내항/ 내부에서의 전쟁/ 지사
10장 막부의 멸망정치적 내러티브/ 개항장/ 서양 체험/ 그 밖의 일본인들/ 사람들이 기억하는 메이지 유신/ 도쿠가와 막부는 왜 멸망했는가?
11장 메이지 혁명배경/ 합의에 이른 과정/ 중앙집권화를 향하여/ 실패한 문화혁명/ 전세계에서 지식을 구함/ 유신연합의 붕괴/ 승자와 패자지은이 주

저자소개

지은이 마리우스 B. 잰슨(Marius B. Jansen) 1922년 네덜란드에서 태어났다. 이듬해 부모와 함께 미국으로 이주하여 미국에서 자라고 교육받았다. 1943년 프린스턴 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제2차 세계대전 말에 미군에 입대하여 군복무를 했다. 이때 미 육군의 일본어 특훈 프로그램에 참가하여 하버드 대학에서 일본어를 배우고 일본 현지에서 군생활을 한 것이 계기가 되어 전역 후 하버드 대학 대학원에서 일본사를 전공하고 평생 일본사를 연구하게 되었다. 1950년 쑨원(孫文)을 중심으로 한 중국의 혁명운동과 일본의 관계에 대한 연구로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워싱턴 대학을 거쳐 1960년부터 1992년까지 프린스턴 대학에서 일본사 교수로 재직했다. 그동안 미국아시아학회 회장을 역임하는 등 미국에서 일본학의 중심적 존재로 활약했다. 1982년 일본의 국제교류기금상을 수상했고, 1998년에는 일본학사원 객원회원에 선출되었다. 말년에는 극도로 약화된 시력에도 불구하고 혼신의 힘을 다해 이 책 『현대 일본을 찾아서』를 집필하는 데 전념하여 마침내 2000년 12월 8일 이 필생의 대작이 출판되었다. 그러나 모든 기력을 소진했던 탓이었을까, 그로부터 불과 이틀 뒤인 2000년 12월 10일 밤 자택에서 세상을 떠났다. 주요 저서로는 이 책 외에 The Japanese and Sun Yat-sen(1954), Sakamoto Ryoma and the Meiji Restoration(1961), Japan and Its World: Two Centuries of Change(1982) 등이 있다. 옮긴이 소개 김우영 195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고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과 미국 코넬 대학 대학원에서 인류학을 전공했다. 현재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강인황 1961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했다. 현재 도서출판 이산의 대표이다. 허형주 1972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국제학 대학원에서 중국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 동아시아학과 박사과정에 있다. 이정 1972년 대구에서 태어났다. 연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했다. 현재 미국 아이오와 주립대학 역사학과 과학기술사 박사과정에 있다.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