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예술인간의 탄생 : 인지자본주의 시대의 감성혁명과 예술진화의 역량

조정환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조정환, 1956-
서명/저자사항예술인간의 탄생 : 인지자본주의 시대의 감성혁명과 예술진화의 역량 / 조정환 지음.
발행사항서울 : 갈무리, 2015.
형태사항428 p. ; 22 cm.
총서사항아우또노미아총서 ; 49
ISBN9788961950886
9788961950039(세트)
서지주기후주(p. 392-411), 참고문헌(p. 412-416), 색인(p. 417-428) 포함
비통제주제어미학,예술론,예술진화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472088 700.1 조7376ㅇ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2 E472089 700.1 조7376ㅇ c.2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인지자본주의』(2011)의 저자, 정치철학자 조정환이 4년 만에 신작 『예술인간의 탄생』으로 돌아왔다. 저자는『인지자본주의』에서 “축적을 위한 인지의 전용이 아니라 삶의 혁신과 행복을 위한 인지혁명이 필요한 때”라는 말로 우리 시대의 대안적 경로와 실천적 과제에 대한 생각을 제시했다. 『인지자본주의』가 논리적 방법으로 권력의 지도를 그리는 것이었다면 이 ...

목차 전체

『인지자본주의』(2011)의 저자, 정치철학자 조정환이 4년 만에 신작 『예술인간의 탄생』으로 돌아왔다. 저자는『인지자본주의』에서 “축적을 위한 인지의 전용이 아니라 삶의 혁신과 행복을 위한 인지혁명이 필요한 때”라는 말로 우리 시대의 대안적 경로와 실천적 과제에 대한 생각을 제시했다. 『인지자본주의』가 논리적 방법으로 권력의 지도를 그리는 것이었다면 이 책에서는 예술인간이라는 주체성의 형성을 중심으로 인지혁명의 계보학적 가능성을 더듬어 나가면서, 역량의 지도, 활력의 지도, 주체성의 지도를 그린다.

목차

목차 일부

책머리에 : 예술인간의 시공간 10 

1부 현대 사회의 변형과 예술의 운명 23 
1. 신자유주의, 비물질노동, 그리고 예술의 운명 24 
머리말 24 
경제인간 26 
예술인간 38 
역사적 배경 : 예술의 일상화와 아방가르드 48 
신자유주의 전략 : 노동의 인지화와 예술의 노동화 57 
예술종말 상황에서 예술진화의 가능성 : 미래 예...

목차 전체

책머리에 : 예술인간의 시공간 10 

1부 현대 사회의 변형과 예술의 운명 23 
1. 신자유주의, 비물질노동, 그리고 예술의 운명 24 
머리말 24 
경제인간 26 
예술인간 38 
역사적 배경 : 예술의 일상화와 아방가르드 48 
신자유주의 전략 : 노동의 인지화와 예술의 노동화 57 
예술종말 상황에서 예술진화의 가능성 : 미래 예술에서 자기배려의 테크놀로지 65 

2. 예술의 비물질화와 이미지노동 71 
질병으로서의 이원론과 이미지 일원론 71 
노동의 인지화와 이미지노동 75 
화폐의 비물질화와 채무사회 78 
예술의 비물질화 경향 81 
추상화와 이미지화에 대해 82 

2부 인지자본주의 시대 감성혁명과 예술의 진화 85 
3. 예술종말인가 예술진화인가 86 
예술종말론 86 
예술진화론 89 
저항예술론과 소수예술론 90 
서술계획 91 

4. 근대의 예술종말론과 예술적대성론 93 
헤겔의 예술종말론 93 
자본주의와 예술의 적대성에 관한 맑스의 고찰 99 
헤겔의 예술종말론과 맑스의 예술적대성론에 대한 루카치의 종합과 변용 105 

5. 현대의 예술종말론들 115 
가라타니 고진의 근대문학 종언론 119 
아서 단토의 예술종말론과 다원주의 미학 125 
잭 번햄의 예술종말론과 시스템미학 130 
잔니 바티모의 ‘예술의 죽음’과 ‘몰락을 통한 극복’ 135 
바디우의 예술도식론과 랑시에르의 예술체제론 142 
예술종말론은 예술진화론을 예비한다 146 

6. 예술종말론에서 예술진화론으로의 전환 147 
발터 벤야민의 예술진화론적 관점 147 
푸코의 삶의 미학 156 
가타리의 새로운 미학적 패러다임 158 
마우리찌오 랏자라또의 ‘노동의 예술화와 미적 생산’론 163 
비포의 미래주의 종말론과 시 이론 169 

7. 예술진화에서 상황창조와 관계구축의 문제 178 
상황주의자 미학 179 
니꼴라 부리요의 관계미학 195 

보론 1 우리 시대 도시형성의 조건과 예술가 210 
도시를 보는 관점들 210 
인지자본주의에서 도시의 변형 214 
개혁, 탈주, 혁명 : 운동하는 도시의 이미지 217 

8. 네그리의 예술진화론과 삶정치적 다중예술론 221 
네그리의 예술진화론 221 
삶정치적 예술론과 미술관으로서의 메트로폴리스 227 

9. 들뢰즈의 예술진화론과 이미지장치로서의 예술 236 
해석, 배치, 그리고 이미지장치 236 
감각의 기념비로서의 예술 242 
들뢰즈의 영화론과 다중예술의 문제 246 
다중의 삶정치적 장치로서의 영화정치 258 

10. 아감벤 미학에서 삶과 예술의 일치 문제 271 
스펙타클의 사회와 소통가능성의 소외 271 
게니우스 276 
몸짓 279 
저자와 독자, 그리고 주체 281 
장치로서의 글쓰기와 생명체 진화의 역설 285 
세속화할 수 없는 것의 세속화 286 
스페키에스와 이미지 존재론 290 
구원의 장치로서의 마술과 사진 294 
스페키에스적 존재의 증언자로서의 조수들 296 
패러디와 곁존재론 298 
도래하는 예술 301 

보론 2 아감벤의 역량론 및 공동체론의 정치미학적 가능성과 한계 303 
머리말 303 
임의성의 존재와 탈자의 경험, 그리고 아이스테시스 307 
스펙타클 : 셰키나의 고립과 소통가능성의 소외 313 
‘차라리’의 역량과 도래하는 공동체 316 
두 얼굴의 아감벤 320 
맺음말 329 

3부 예술가-다중, 삶미학, 그리고 리얼리즘 335 
11. 다중 : 예술가보다 더 예술가적인 336 
예술가에 대한 관점 변화 338 
오늘날의 예술가와 국가 341 
누구나가 예술가인 시대 343 
다중예술가 350 

12. 삶미학과 리얼리즘 : 리얼리즘의 대안근대적 재구축 353 
머리말 353 
현실 리얼리즘론의 미적 체제 355 
리얼리즘 대 모더니즘 논쟁의 역사적 성격 359 
재현실재에서 시뮬라크르 실재로 362 
시뮬라크르에 대항하는 시뮬라크르 365 
시뮬라크르와 사실, 그리고 재현 367 
내재성의 리얼리티 혹은 어떤 리얼리즘인가라는 문제 370 
다중과 내재성의 리얼리티 : 생명되기로서의 예술 376 

후기 : 정치시학으로의 길 379 
후주 392 
참고문헌 412 
인명 찾아보기 417 
용어 찾아보기 420

저자소개

저자 : 조정환저자 조정환  Joe Jeong Hwan, 1956~  은 서울대학교와 대학원에서 한국근대문학을 연구했고, 1980년대 초부터 [민중미학연구회]와 그 후신인 [문학예술연구소]에서 민중미학을 공부했다. 1986년부터 호서대, 중앙대, 성공회대, 연세대 등 여러 대학에서 한국근대문예비평사와 탈근대사회이론을 강의했다. 『실천문학』 편집위원, 월간 『노동해방문학』 주간을 거쳐 현재 [다중지성의 정원](http://daziwon.net) 대표 겸 상임강사, 도서출판 갈무리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 정치철학과 정치미학을 연구하면서 화폐형태 및 주권형태의 변형과 정치의 새로운 주체성의 형성에 관한 저작들을 준비 중이다.저서 『민주주의 민족문학론과 자기비판』(연구사, 1989), 『노동해방문학의 논리』(노동문학사, 1990), 『지구 제국』(갈무리, 2002), 『21세기 스파르타쿠스』(갈무리, 2002), 『제국의 석양, 촛불의 시간』(갈무리, 2003), 『아우또노미아』(갈무리, 2003), 『탈영자들의 기념비』(공저, 생각의나무, 2003), 『제국기계 비판』(갈무리, 2005), 『비물질노동과 다중』(공저, 갈무리, 2005), 『카이로스의 문학』(갈무리, 2006), 『민중이 사라진 시대의 문학』(공저, 갈무리, 2007), 『들뢰즈와 그 적들』(공저, 우물이있는집, 2007), 『현대철학의 모험』(공저, 길, 2007), 『레닌과 미래의 혁명』(공저, 그린비, 2008), 『미네르바의 촛불』(갈무리, 2009), 『공통도시』(갈무리, 2010), 『플럭서스 예술혁명』(공저, 갈무리, 2011), 『인지자본주의』(갈무리, 2011), 『인지와 자본』(공저, 갈무리, 2011), 『후쿠시마에서 부는 바람』(공저, 갈무리, 2012), 『옥상의 정치』(공저, 갈무리, 2014) 편역서 『오늘의 세계경제 : 위기와 전망』(C. 하먼, 갈무리, 1994), 『현대 프랑스 철학의 성격 논쟁』(A. 캘리니코스 외, 갈무리, 1995), 『소련의 해체와 그 이후의 동유럽』(C. 하먼 외, 갈무리, 1995), 『이딸리아 자율주의 정치철학 1』(S. 볼로냐 외, 갈무리, 1997), 『자유의 새로운 공간』(A. 네그리 외, 갈무리, 2000)번역서 『변혁기 러시아의 리얼리즘 문학』(G. 루카치, 동녘, 1986), 『오늘날의 세계경제?:?위기와 전망』(A. 캘리니코스 외, 갈무리, 1994), 『오늘날의 노동자계급』(A. 캘리니코스, 갈무리, 1994), 『디오니소스의 노동 1』(A. 네그리 외, 갈무리, 1996), 『디오니소스의 노동 2』(A. 네그리 외, 갈무리, 1997), 『사빠띠스따』(H. 클리버, 공역, 갈무리, 1998), 『신자유주의와 화폐의 정치』(W. 본펠드 외, 갈무리, 1999), 『권력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는가』(J. 홀러웨이, 갈무리, 2002), 『무엇을 할 것인가』(W. 본펠드, 갈무리, 2004), 『들뢰즈 맑스주의』(N. 쏘번, 갈무리, 2005), 『다중』(A. 네그리 외, 공역, 세종서적, 2008), 『선언』(A. 네그리 외, 갈무리, 2012), 『크랙 캐피털리즘』(J. 홀러웨이, 갈무리, 2013)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