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1권]
목차
1. 생각에도 길이 있다
피할 수 없는 것, ‘생각’ ◆ 하늘의 길과 바다의 길 ◆ 생각에도 길이 있다 ◆ 생각의 길은 어떻게 닦여 왔을까?: 논리학의 역사 ◆ 잘못된 생각의 길: 오류 ◆ 셈을 알면 편하다, 논리도 그렇다: 셈본과 논리학
2. 논리를 알면 책 읽기가 쉬워진다
말하기, 쓰기 vs 듣기, 읽기...
목차 전체
[1권]
목차
1. 생각에도 길이 있다
피할 수 없는 것, ‘생각’ ◆ 하늘의 길과 바다의 길 ◆ 생각에도 길이 있다 ◆ 생각의 길은 어떻게 닦여 왔을까?: 논리학의 역사 ◆ 잘못된 생각의 길: 오류 ◆ 셈을 알면 편하다, 논리도 그렇다: 셈본과 논리학
2. 논리를 알면 책 읽기가 쉬워진다
말하기, 쓰기 vs 듣기, 읽기 ◆ 왜 책이 재미없지? 읽어도 무슨 말인지 모르니까! ◆ 읽기의 세 단계: ‘왜?’라고 묻기, 답을 찾기, 평가하기 ◆ 독서가 즐거워지는 법 ◆ 생각 도움닫기: 인터넷에도 글이 있는데 꼭 책을 읽어야 하나요?
3. 듣기, 상대방의 논리를 가려내는 일
왜 무슨 말인지 못 알아들을까? ◆ 상대방의 말이 맞는지 판단하며 듣자 ◆ 쫑긋 귀를 세우자 ◆ 듣기의 묘미 ◆ 생각 도움닫기: 잘 듣지 않으면 나라의 운명이 바뀐다 ◆ 96
4. 제대로 쓰려면 논리가 필요하다
왜 글을 쓰려면 가슴이 답답해질까? ◆ 독후감, 쓸 게 없어! ◆ 논증을 만드는 것부터 시작하자 ◆ 주의 깊게, 주의 깊게 ◆ 생각 도움닫기: 선한 거짓말은 용서받을 수 있을까?
5. 소통의 기본, 논리를 담아 말하기
필요한 때 필요한 말을 ◆ 말하기의 두 종류: 연설과 대화 ◆ 생각 도움닫기: 차근차근 준비해서 자기주장을 펼쳐 봅시다
6. 마음껏 상상하라, 단 논리적으로!
상상할 수 없는 것, 동그란 세모 ◆ 아이언맨은 마법을 쓸 수 없다 ◆ 논리 없는 창의력은 팥 없는 찐빵 ◆ 병 속에 든 뇌? ◆ 소설에도 논리가 필요하다 ◆생각 도움닫기: 다른 사람과 얼굴을 바꾼다면 인격도 바뀔까?
7. 논리적이되 예의 바르게
논리와 예의
[2권]
1. 생각의 건강 지키기
2. 세상에, 이렇게나 많은 오류가!
사건 1 밥만 먹는 이유: 강조의 오류
사건 2 지수의 가출: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정황적 오류
사건 3 성적표를 받다: 군중에 호소하는 오류, 피장파장의 오류
사건 4 책 읽는 리안이: 인신공격의 오류, 흑백 사고의 오류, 공포에 호소하는 오류
사건 5 죽고 싶다고 말한 적 없어요!: 허수아비 공격의 오류, 의도 확대의 오류
사건 6 그 학교 원래 깡패 학교야: 발생학적 오류, 연민에 호소하는 오류
사건 7 UFO가 있다고?: 무지에 호소하는 오류
사건 8 왜 선생님 말을 안 듣니?: 복합 질문의 오류
사건 9 공부하는 게 왜 좋아? 배우는 게 좋으니까요: 순환 논리의 오류
사건 10 철학 박사에게 건강 상식을 묻다: 잘못된 권위에 호소하는 오류
사건 11 먼저 인간이 되어라: 애매어의 오류
사건 12 스마트폰은 일 년 뒤에 살 거야: 근시안적 귀납의 오류
사건 13 금도끼와 은도끼: 거짓 원인의 오류
생각 도움닫기: 대화의 규칙을 어겼을 때, ‘비형식적 오류’
3. 논리식을 세우자, 똑똑하게 따지자
사건 14 피자가 날아갔다!: 긍정식, 전건 부정의 오류
사건 15 90점도 아닌데 피자를 먹었다고?: 후건 긍정의 오류
사건 16 오디션을 보다: 부정식
사건 17 돈가스냐 스파게티냐: 부당한 선언 논법
사건 18 엄마가 좋아, 아빠가 좋아?: 선언 논법
생각 도움닫기: 논리도 계산할 수 있다, 논리식의 세계
4. 스스로 생각하는 힘
[3권]
1. 이야기 속에도 논리가 있다
2. 갈등은 논리의 충돌
배를 갈라도 간이 없다면?: 『토끼전』으로 알아보는 ‘딜레마’ ◆나 혼자 죽지는 않겠다!: 『토끼전』에서 엿보는 오류의 힘 ◆ 이대로 모욕을 견딜 것이냐, 복수할 것이냐:『햄릿』에 나타난 딜레마 상황 ◆ 네 죄를 네가 알렷다!:딜레마로 변장한 폭력 ◆ 기생일까, 아닐까: 『춘향전』에 드러난 논쟁 ◆ 그래, 기생이라고 하자: 춘향의 승부수, 귀납법! ◆ 생각 도움닫기: 논증의 구조를 알자
3. 좋은 논증을 만들려면?
성적이 좋으면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고?: 좋은 논증에는 특별한 점이 있다 ◆ 마음은 착한데 밥벌이를 못하는 동생: 『흥부전』에서 놀부가 흥부를 쫓아낸 이유 ◆ 흥부, 넌 어렸을 때 호강했잖아!: 놀부의 결정적 실수 ◆ 썩 나가! vs 그래도 형제 아닙니까: 놀부와 흥부의 치열한 논리 승부 ◆ 감히 내 선물을 딴 남자한테 주다니: 빈약한 추론이 빚은 비극 『오셀로』 ◆ 생각 도움닫기: 논증이 ‘타당하다’는 것
4. 논증 검토하기
저 포도는 시니까 안 먹을 거야: 「여우와 포도」, 어디가 문제일까? ◆ 여자가 낳지 않은 사람? 움직이는 숲?: 『맥베스』에 나타난 오류들 ◆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니: 『홍길동전』에서 모순을 찾는 방법 ◆ 당한 대로 갚아 주겠어: 「여우와 두루미」에 숨어 있는 단순화 논법 ◆ 내가 진짜 옹고집이라니까!:『옹고집전』, 심오한 동일률을 담은 이야기 ◆ 생각 도움닫기: 모아서 보는 논리학의 개념들
5. 논리는 말꼬리 잡기가 아니다
그래, 난 무식하고 너만 잘났지!: 우리에게 필요한 원칙 ◆ 알면서 쓰는 오류: 『탈무드』의 황금 송아지 ◆ 남의 일이라고……: 속뜻을 안다는 것 ◆ 나만 대답할 수 있는 질문: 상대의 의도를 알자 ◆ 너희 담임 선생님은 어때?: 논리, 이제는 제대로 알고 쓰자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