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정리하는 뇌 : 디지털 시대, 정보와 선택 과부하로 뒤엉킨 머릿속과 일상을 정리하는 기술

Levitin, Daniel J.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Levitin, Daniel J.
김성훈
서명/저자사항정리하는 뇌 : 디지털 시대, 정보와 선택 과부하로 뒤엉킨 머릿속과 일상을 정리하는 기술 / 대니얼 J. 레비틴 지음 ; 김성훈 옮김.
발행사항서울 : 와이즈베리 : 미래엔, 2015.
형태사항634 p. : 삽화 ; 23 cm.
원서명(The) organized mind : thinking straight in the age of information overload
ISBN9788937837654
일반주기 부록: 나만의 사분표 만들기
서지주기참고문헌(p. 572-627), 색인(p. 628-634) 포함
비통제주제어심리학,시간관리,뇌과학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479473 153.42 L6662o김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2 E479474 153.42 L6662o김 c.2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정보, 생각, 삶을 정리정돈하는 기술! 

우리의 뇌는 고도로 발달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시대의 정보와 물건, 의사결정 과잉 상황에 버거워 한다. 이런 인지 과부하 증상은 우리의 머릿속도 주변 환경도 산만해지는 결과로 이어진다. 이에 말콤 글래드웰의 《아웃라이어》에서 언급되어 세계적으로 화제를 모은 바 있는 ‘1만 시간의 법칙’을 과학적으로 규명한 신경...

목차 전체

정보, 생각, 삶을 정리정돈하는 기술!

우리의 뇌는 고도로 발달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시대의 정보와 물건, 의사결정 과잉 상황에 버거워 한다. 이런 인지 과부하 증상은 우리의 머릿속도 주변 환경도 산만해지는 결과로 이어진다. 이에 말콤 글래드웰의 《아웃라이어》에서 언급되어 세계적으로 화제를 모은 바 있는 ‘1만 시간의 법칙’을 과학적으로 규명한 신경과학자이자 인지심리학자인 대니얼 레비틴 맥길대학 교수가 정보 시대의 인지 과부하 문제의 규명과 처방을 위해 나섰다.

그는 인지 과부하 시대에 정보와 생각과 주변환경을 정리하고, 효율적으로 의사결정할 수 있는 관건은 바로 뇌의 작동방식을 이해하고 그에 맞춰 정리하는 습관임을 강조한다. 뇌 신경과학, 인지심리학, 행동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의 최신 연구들을 토대로 일상의 온갖 것들을 잃어버리지 않게끔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법을 비롯해 인간관계를 더 창의적이고 생산적으로 정리하는 법 등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정리정돈을 알려준다.

목차

목차 일부

서문_정보, 그리고 성실한 정리 

 제1부 
01 정보는 넘쳐나고 결정할 것은 너무 많다: 인지 과부하의 속사정 
 정보 과부하, 과거와 현재 
 선사시대의 정신적 범주화 
 성공하는 사람들의 탁월한 범주화 능력 

02 제일 먼저 이해해야 할 것: 주의와 기억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주의 기울이기의 신경화학적 원리 
 기억은 어디에서 ...

목차 전체

서문_정보, 그리고 성실한 정리 

 제1부 
01 정보는 넘쳐나고 결정할 것은 너무 많다: 인지 과부하의 속사정 
 정보 과부하, 과거와 현재 
 선사시대의 정신적 범주화 
 성공하는 사람들의 탁월한 범주화 능력 

02 제일 먼저 이해해야 할 것: 주의와 기억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주의 기울이기의 신경화학적 원리 
 기억은 어디에서 오는가 
 범주 나누기가 중요한 이유 
 뇌가 지는 부담을 주변 환경에 떠넘겨라 

 제2부 
03 집 안의 정리: 정리정돈의 시작은 집에서부터 
 잡동사니 서랍에서 서류 캐비닛, 서류 캐비닛에서 잡동사니 서랍으로 
 가정에서의 디지털 정보 정리 
 내가 원하는 대로 정리된 집 

04 사회세계의 정리: 오늘날 사람들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 
 정리하기엔 너무 복잡한 현대의 사회관계 
 왜 사람들은 에둘러 말할까? 
사회적 판단은 무엇에 휘둘리는가 
 사회세계를 탈출하고 싶을 때 

05 시간의 정리: 무엇이 미스터리인가 
 시간의 생물학적 본질 
 시소 같은 사건을 정복하기 
 수면 시간과 기억의 정리 
 할 일을 미루는 버릇 
 창의적인 시간 만들기 
 인생의 시간을 위해 

06 어려운 결정을 위한 정보의 정리: 삶이 위태로운 순간 
 확률을 제대로 이해해야 하는 이유 
 아니에요, 그냥 양성반응이 나온 것뿐이잖아요! 
어느 쪽이든 위험이 따를 때 
 의사들이 제공하는 것 
 대체의학: 고지에 입각한 동의 원칙의 위반 
 당신의 사고방식과 행동방식 
 의학과 수학, 그리고 의미 있는 선택 

07 비즈니스 세계의 정리: 가치를 창조하는 법 
 계층구조 조직화와 의사결정 
 누가 어떤 책임을 맡아야 하는가 
 생산성과 효율성을 위한 문서 정리 
 멀티태스킹에서 실패에 대비한 계획까지 

 제3부 
08 아이들에게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정리된 마음의 미래 
 정보 소양 
“대충 그 정도”라고 어림짐작할 수 있는가 
“연필로 글 쓰는 것 말고 뭘 할 수 있지?” 
정보를 얻는 곳에 대해 확인해봐야 할 것들 

09 그 외 모든 것의 정리: 잡동사니 서랍의 힘 

 부록 나만의 사분표 만들기 
 주석에 대한 주석 
 주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 : 대니얼 J. 레비틴 

저자 대니얼 J. 레비틴(Daniel J. Levitin): 인지심리학자이자 신경과학자이며, 베스트셀러 작가. 현재 몬트리올 맥길대학에서 심리학, 행동신경과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음악지각, 인지, 전문지식을 위한 레비틴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미국 과학진흥협회, 심리과학협회, 캐니다 왕립협회 석학회원으로 활동하고 있고, AT&T,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미국 해군, 소니 등 세계 유수 조직에서 자문역을 담당해왔다. TV, 라디오 프로그램 출연 및 잡지 기고 활동을 통해 심리학과 신경과학의 대중화에도 힘 쏟고 있다. 저서로는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1위를 차지한 《뇌의 왈츠》《호모 무지쿠스》가 있다. 절대 음감 및 음악 인지에 관한 신경과학 논문으로 유명하며, 말콤 글래드웰이 《아웃라이어》에서 언급해 세계적으로 화제를 모은 ‘1만 시간의 법칙’을 과학적으로 연구한 장본인이기도 하다. 음반 프로듀서이자 음악가로도 맹활약하고 있다. 블루 오이스터 컬트, 크리스 아이작, 조 사트리아니 등의 음반을 제작했고, 스티비 원더, 스틸리 댄 등의 음반 제작 자문역을 맡았다. 산타나, 그레이트풀 데드 등 세계적 뮤지션들의 음반을 엔지니어링했는데, 그가 제작하고 참여한 음반들은 3000만 장이 넘는 판매고를 올렸다 
  

역자 : 김성훈 
  
역자 김성훈은 치과의사의 길을 걷다가 번역의 길로 방향을 튼 엉뚱한 번역가. 중학생 시절부터 과학에 대한 궁금증이 생길 때마다 틈틈이 적어온 과학 노트를 아직도 보물 1호로 간직하고 있다. 학생 시절부터 흥미를 느꼈 던 번역 작업을 통해 이런 관심을 같은 꿈을 꾸는 사람들과 함께 나누기 원한다.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을 졸업했고, 현재 출판번역 및 기획그룹 바른번역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역서로는 《신의 호텔》 《편안함의 배신》《우리 아이를 위한 내몸 사용설명서》《의사들에게는 비밀이 있다》 《메이요 클리닉 이야기》《뇌의 미래》《위대한 수학》《WOW!: 뱁티스트 헬스케어의 탁월한 서비스경영을 배우다》 《흥미로운 심해 탐사여행》 《퀀텀맨》 《동물학자 시턴의 아주 오래된 북극》 《글자로만 생각하는 사람 이미지로 창조 하는 사람》 등이 있다.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