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생명의료윤리의 원칙들

Beauchamp, Tom L.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Beauchamp, Tom L.
Childress, James F.
박찬구
최경석
김수정
인선호
조선우
추정완
서명/저자사항생명의료윤리의 원칙들 / Tom L. Beauchamp ; James F. Childress [공]지음 ; 박찬구 [외]옮김.
발행사항서울 : 이화여자대생명의료법연구소, 2014.
형태사항xv, 740 p. ; 22 cm.
원서명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6th ed.)
ISBN9788993244458
일반주기 공역자: 최경석, 김수정, 인선호, 조선우, 추정완
색인 포함
비통제주제어생명의료,의료윤리,생명의료윤리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483416 174 B3722p6박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2 E484182 174 B3722p6박 c.2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초록

▶ 이 책은 생명의료윤리의 원칙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생명의료윤리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차 일부

1부 도덕적 토대


1장 도덕 규범들


 규범 윤리학과 비규범 윤리학 


 보편적 도덕으로서의 공통 도덕


 비보편적인 것으로서의 개별 도덕들


 도덕적 딜레마


 도덕 규범들의 틀


 상충하는 도덕 규범들


 맺음말


 1장 미주 





2장 도덕적 성품


 도덕적 덕


 전문직 역할에서의 덕 


 돌봄의...

목차 전체

1부 도덕적 토대


1장 도덕 규범들


 규범 윤리학과 비규범 윤리학 


 보편적 도덕으로서의 공통 도덕


 비보편적인 것으로서의 개별 도덕들


 도덕적 딜레마


 도덕 규범들의 틀


 상충하는 도덕 규범들


 맺음말


 1장 미주 





2장 도덕적 성품


 도덕적 덕


 전문직 역할에서의 덕 


 돌봄의 덕


 다섯 가지의 중요한 덕들


 도덕적 덕과 행위 지침


 도덕적 이상


 도덕적 탁월함


 맺음말


 2장 미주





3장 도덕적 지위


 도덕적 지위의 문제


 도덕적 지위에 대한 이론들


 이론으로부터 실제적 가이드라인으로


 취약한 집단


 맺음말


 3장 미주





2부 도덕적 원칙들


4장 자율성 존중


 자율성의 본질


 자율적 선택을 내릴 수 있는 역량


 충분한 정보에 의한 동의의 의미와 정당화


 정보공개


 이해


 자발성


 대리의사결정을 위한 기준의 틀


 맺음말


 4장 미주





5장 해악금지


 해악금지의 개념


 비치료와 관련된 구분과 규칙들


 선택적 치료와 의무적 치료


 죽임과 죽게 내버려 둠


 의도적으로 마련된 죽음에 대한 정당화


 의사결정능력이 없는 환자의 보호


 맺음말 


5장미주





6장 선행


 선행의 개념


 의무적 선행과 이상적 선행


 온정적 간섭주의 : 선행과 자율성 사이의 충돌들


 이익, 비용, 위험 간의 균형 잡기


 생명의 가치와 삶의 질


 맺음말


 6장 미주 





7장 정의


 정의의 개념


 정의에 대한 이론들


 공정한 기회와 불공정한 차별


 취약성과 착취


 국가 보건정책과 보건의료에 대한 권리


 세계 보건정책과 건강권


 할당하기, 우선순위 설정, 배분


 맺음말


 7장 미주 





8장 전문인과 환자의 관계


 진실성


 프라이버시


 기밀유지


 신의


 의사와 연구자의 이중적 역할


 맺음말


 8장 미주





3부 이론과 방법


9장 도덕이론들 


 이론 구성을 위한 기준들


 공리주의


 칸트주의


 권리 이론


 공동체주의


 이론들의 수렴


 맺음말


 9장 미주





10장 방법과 도덕적 정당화 


 윤리학에서 정당화


 하향식 모델들 : 이론과 적용


 상향식 모델들 : 사례와 유추


 반성적 평형을 사용하는 통합 모델


 공통 도덕 이론


 맺음말


 10장 미주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 Tom L. Beauchamp저자 Tom L. Beauchamp은 미국 Georgetown University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케네디윤리연구소(Kennedy Institute of ethics)에도 관여하고 있다. 1975년 의료생명과학 및 행동 연구의 인간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한 국가위원회(Nathional Commission of the Protection of Human Subjects of Biomedical and Behavioral Research)에 참여하여 1978년 벨몬트 보고서의 주요 부분을 집필하였다. 인간 대상 연구의 윤리뷴만 아니라 생명의료윤리에서의 보편적인 원친과 권리, 생명윤리학 방법론 등의 메타적 이론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기업윤리에도 관심을 지니고 있다.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외에도 A History and Theory of Informed Consent(Oxford, 1986), The Human use of Animals(Oxford, 2008), Philosophical Ethics(Mc-Graw-Hill, 2001), Ethical Theory and Business(Pearson, 2013) 등의 저서가 있으며, 자신의 논문을 모아 출간한 Standing on Principles: Colected Works(Oxford, 2010)이 있다.저자: James F. Childress저자 James F. Childress는 미국 University of Virginia의 Institute for Practical Ethics and Public Life 소장이고, 윤리학 및 의학교육 교수이며, 종교학과 학과장을 역임하였다. 1996년부터 2001년까지 국가생명윤리자문위원회(National Bioethics Advisory Commission)에서 활동하였고, 장기이식국가대책위원회(National Task Force on Organ Transplantaion) 부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윤리학과 생명윤리 외에도 정치윤리 및 종교윤리 등에 관심을 지니고 있다.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외에도 Who Should Decide?(Oxford University Press, 1982), Practical Reasoning in Bioethics(Indiana University Press, 1997), Christian Ethics(Pilgrim Press, 1996), Belmont Revisited(Georgetown University Press, 2005), Organ Donation(National Academy Press, 2006) 등의 저서가 있다.역자: 박찬구역자 박찬구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이며, 독일 튀빙겐(T?bingen)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교수 및 한국생명윤리학회 회장(2006~2008)을 역임하였고, 현재 한국윤리학회 회장(2014~)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개념과 주제로 본)우리들의 윤리학』, 『우리들의 응용윤리학』, 『칸트의 「도덕형이상학 정초」읽기』, 번역서로는 Broad의 『윤리학의 다섯 가지 유형』, Pojman의 『윤리학 : 옳고 그름의 발견』 등이 있다.역자: 최경석역자 최경석은 이화여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이며, 대학원 생명윤리정책 협동과정 겸임쇼수이고,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Michigan State University)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생명윤리학괴 부회장, 한국의료윤리학회 편집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논문으로 “생명윤리에서 윤리적 허용가능성 담론과 법제화”, “생명의료윤리에서의 ‘자율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등이 있다.역자: 김수정역자 김수정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과 조교수이며, 미국가톨릭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와 생명윤리에의 적용”, “맥킨타이어의 자유주의적 개인주의비판” 등이 있고 역서로 『토미즘의 원리와 생명윤리학』과 『생의 마지막에서의 의료적 보살핌』(공역)이 있다.추가역자역자: 인선호


서울 대명중학교 도덕교사이며,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 박사과정(윤리학 전공)을 수료하였다. 개정 7차, 2009 개정 중학교 도덕교과서 집필에 참여하였으며, 강남교육청 소속 영재교육원에서 생명윤리를 주제로 학생들과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역자: 조선우


이화여대 생명의료법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미국 Temple University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와 국민대에서 강의하고 있다. 논문으로 “인체 부분들의 존재론적 특성에 대한 철학적 고찰”, “아크라시아 사례들을 통해 본 자율성과 감정의 문제”, “내러티브 작품 감상을 통한 윤리교육의 가능성 고찰” 등이 있다.





역자: 추정완


목포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조교수이며,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에서 “도덕반실재론 비판을 통한 도덕실재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한국생명윤리학회 교육이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홍보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논문으로 “싱어의 종차별주의 비판”, “윤리학적 비판을 통한 사회생물학의 도덕교육적 문제” 등이 있다.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