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마음의 사생활 : 마음을 압박하는 심리에 관한 고정관념들

김병수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병수
서명/저자사항마음의 사생활 : 마음을 압박하는 심리에 관한 고정관념들 / 김병수 지음.
발행사항서울 : 인물과사상사, 2016.
형태사항333 p. : 천연색삽화 ; 21 cm.
ISBN9788959063888
서지주기주(p. 321-333) 포함
비통제주제어마음,사생활,고정관념,심리치료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489718 616.8914 김4432ㅁ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2 E489719 616.8914 김4432ㅁ c.2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거꾸로 뒤집어보는 심리학!

우리 마음이 마치 달과 같다. 달의 뒷면은 볼 수 없듯이, 마음의 뒷면도 우리 시야 바깥에 있다. 눈에 보이는 면만 가지고 그것이 전부인 양 이야기하다 보면 마음이 ‘삐걱’대게 된다. 우리가 아무리 노력해도 달의 뒷면은 볼 수 없는 것처럼, 마음의 뒷면도 결코 다 알 수 없다. 하지만 마음에 숨겨진 부분이 있다는 것을 알고 ...

목차 전체

거꾸로 뒤집어보는 심리학!

우리 마음이 마치 달과 같다. 달의 뒷면은 볼 수 없듯이, 마음의 뒷면도 우리 시야 바깥에 있다. 눈에 보이는 면만 가지고 그것이 전부인 양 이야기하다 보면 마음이 ‘삐걱’대게 된다. 우리가 아무리 노력해도 달의 뒷면은 볼 수 없는 것처럼, 마음의 뒷면도 결코 다 알 수 없다. 하지만 마음에 숨겨진 부분이 있다는 것을 알고 그것을 인정한다면, 그리고 그 부분에 손을 뻗어본다면, 이전과는 전혀 다른 마음의 풍경을 보게 될 것이다.

『마음의 사생활』은 마음에 대해 우리가 믿고 있는 고정관념을 뒤집어 보고자 쓴 책이다. ‘의지력을 믿지 마라’, ‘자기계발 하면 할수록 우울해진다’, ‘옳은 말은 마음을 변화시키지 못한다’, ‘스트레스는 풀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마음은 원래 순수할 수 없다’ 등 심리에 대해 진실이라고 믿고 있었던 것이 사실은 진실이 아니라는 것을 말한다. 이를 통해 마음의 문제에 대해 끝까지 고민함으로써 마음의 이면에 닿을 수 있는 곳까지 가고자 한다.

목차

목차 일부

프롤로그: 심리학 뒤집어 읽기 

의지력을 믿지 마라 
의지력만 믿다가 골병든다 + 의지력 과신이 충동을 부른다 + 의지력은 유한자원 + 공감 간극 효과 + 의지력은 (마음이 아니라) 몸에서 나온다 + 과신하지 말고 아껴 써라

인생 표준 시간은 없다
시간은 고무줄이다 + 시간과 어떤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가 + 마음의 병도 시간의 문제 + 시간의 힘을 믿어...

목차 전체

프롤로그: 심리학 뒤집어 읽기 

의지력을 믿지 마라 
의지력만 믿다가 골병든다 + 의지력 과신이 충동을 부른다 + 의지력은 유한자원 + 공감 간극 효과 + 의지력은 (마음이 아니라) 몸에서 나온다 + 과신하지 말고 아껴 써라

인생 표준 시간은 없다
시간은 고무줄이다 + 시간과 어떤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가 + 마음의 병도 시간의 문제 + 시간의 힘을 믿어라 + 생체 시계를 거스르는 삶 + 시간의 소용돌이에서 벗어나라

부정적 사고, 바꾸지 마라 
인지왜곡 + 생각이 바뀌면 기분이 바뀔까? + 생각의 뿌리 + 옳다고 믿는 것을 그대로 실천하는 법은 없다 + 마음은 유쾌한 친구가 아니다 + 생각이 아니라, 몸으로 바꿔라

권력이 사이코패스를 만든다
우리 곁의 사이코패스 + 사이코패스의 본질: 극단적 자기중심성 + 권력은 자기중심성을 강화시킨다 + 권력 중독과 사이코패스 + 권력에 중독되면, 약도 없다

우리는 누구나 자신을 속이며 산다
리플리 증후군 + 자기개념과 자기기만 + 자기기만은 살아가는 힘이 되기도 한다 + 불평등한 사회가 자기기만을 강화시킨다 + 자기기만에서 벗어날 수 없다 

누가 정상인지는, 누구도 제대로 알 수 없다
그렇다면 정상일까? + 정상은 규정하기 어려운 개념 + 정상의 기준, 믿을 수 있나 + 불확실성을 두려워 마라 + 정상과 비정상을 재정의하라

자기계발, 하면 할수록 우울해진다
내 마음 나도 몰라 + 마음으로 파고들면, 우울해진다 + 기분이 좋아지면, 나에 대한 생각이 줄어든다 + 개념화된 자기 + 관찰하는 자아 + 분석을 요구하는 사회는 사람을 불행하게 만든다

옳은 말은 마음을 변화시키지 못한다 
설득하려 덤벼들수록, 설득이 안 된다 + 차가운 논리보다 따뜻한 비논리 + 명제적 시스템 vs. 내포적 시스템 + 정서 우선주의

완벽주의를 치료하라 
완벽을 향한 충동 + 완벽주의의 세 가지 유형 + 파르마콘 + 사회적으로 강요된 완벽주의 + 완벽의 환상에서 벗어나라

기분 좋게 미쳐야, 창조할 수 있다
확장과 연합 + 개방성, 초월성, 그리고 기분 순환성 + 역사는 마니아가 만든다 + 조울병과 창조성 + 확장 구축 이론 + 창조는 (말이 아니라) 감동에서 시작된다

다중인격자가 돼라
심플할 수 있다면, 좋겠다 + 감정은 복잡해야 정상이다 + 정체성은 복잡할수록 좋다 + 삶은 복잡해야 한다

인간은 (이성이 아니라) 감정의 동물이다
감정은 신호 + 감정적으로 결정하면 안 될까? + 불확실성의 시대 + 스트레스 교육은 또 다른 감정 노동 + 감정에 충실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트라우마는, 전문가가 치유하는 것이 아니다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 트라우마 사회 + 시간을 멈추다 + 울부짖을 수밖에 없다 + 누가 치유할 수 있을까? +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터치는 이성보다 강하다
진실된 의사소통, 터치 + 말보다 터치 + 미워도 다시 한 번 + 터치 공포증 사회

스트레스는 풀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런 뻔한 방법 말고, 다른 것은 없나요? + 술로 스트레스를 푼다는 착각 + 스트레스는 추상적 개념일 뿐이다 + 통제 소재 + 버텨낼 수밖에 없다

마음은 원래 순수할 수 없다 
이런 생각을 하다니, 내가 미친 걸까? + 누구나 불순한 생각을 한다 + 생각 억제의 역설 + 자기 마음을 더 괴롭히는 방법 + 생각에 대한 생각

성격은 변하기도 하고, 변하지 않기도 한다
제발 성격 문제라고 하지 마라 + 성격 정의의 핵심, 일관성 + 성격은 아무것도 말해주지 않는다 + 기질은 안 바뀐다 + 캐릭터는 바뀐다 + 나에 대한 이야기 + 성격은 뱃살일까, 콧대일까

월터의 상상은 이루어질까
정신 건강과 상상력 + 심상 + 정서와 심상 + 뇌는 상상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한다+ ‘시크릿’은없다+ 투표율을 높이는 방법

죽을 만큼 우울해도, 행복할 수 있다 
행복에 대한 착각 + 우울증은 절대로 사라지지 않는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행복하길

에필로그: 열정을 잃어버리게 만드는 일곱 가지 생각

저자소개

저자 : 김병수

저자 김병수는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한국정신신체의학회 이사,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이사, 대한우울조울병학회 정회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KBS-2 《남자의 자격》과 《비타민》, KBS-1 《아침마당》 등에 출연했고, SBS 라디오 《호란의 파워FM》에서 ‘남자를 부탁해’, 팟캐스트 《이동진의 빨간책방》에서 ‘닥터 K의 고민상담소’를 진행하기도 했다. 지은 책으로는『당신이라는 안정제』(공저),『 버텨낼 권리』,『 사모님 우울증』, 『흔들리지 않고 피어나는 마흔은 없다』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당신 안의 예술가를 깨워라』,『우울증의 행동활성화 치료』등이 있다.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