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1. 기본 개념
1.1. 언어의 뜻
(1) 언어의 정의
(2) 일반언어와 개별언어
(3) 자연언어와 인공언어
1.2. 언어연구의 태도
1.3. 언어연구의 단계
1.4. 언어학의 하위분야
(1) 일반언어학과 개별언어학
(2) 이론언어학과 응용언어학
(3) 미시언어학과 거시언어학
2. 단어
2.1. 단어의 뜻
(1) 한국어의...
목차 전체
머리말
1. 기본 개념
1.1. 언어의 뜻
(1) 언어의 정의
(2) 일반언어와 개별언어
(3) 자연언어와 인공언어
1.2. 언어연구의 태도
1.3. 언어연구의 단계
1.4. 언어학의 하위분야
(1) 일반언어학과 개별언어학
(2) 이론언어학과 응용언어학
(3) 미시언어학과 거시언어학
2. 단어
2.1. 단어의 뜻
(1) 한국어의 전체 단어 수
(2) 한국어의 어절과 단어
(3) 어형과 어휘소
2.2. 조어법
(1) 형태소와 조어법
(2) 단순어와 복합어
2.3. 합성어
(1) 합성어의 뜻
(2) 합성어의 의미
(3) 합성어와 구의 구별
2.4. 파생어
(1) 파생어와 접사
(2) 접사의 생산성
2.5. 준말
(1) 약어
(2) 축약형
2.6. 내적 변화
2.7. 단어의 성분구조
3. 어휘
3.1. 단어 간의 관계
(1) 동형어
(2) 단어족
(3) 동의어
(4) 반의어
(5) 상위어와 하위어
(6) 연어
3.2. 어휘체계
(1) 어휘의 뜻
(2) 어휘빈칸
3.3. 품사별 어휘
3.4. 어종별 어휘
3.5. 의미별 어휘
(1) 의미장과 어휘장
(2) 친족어
(3) 착용동사
3.6. 위상별 어휘
(1) 신어와 유행어
(2) 속어와 특수어
(3) 기초어휘
4. 문법
4.1. 품사
(1) 한국어의 품사
(2) 품사분류의 기준
(3) 단품사어와 다품사어
(4) 체언과 용언
4.2. 문법구조
(1) 문장의 성분구조
(2) 수식구조와 서술구조
(3) 문형과 구문
(4) 병렬과 내포
4.3. 문법기능
(1) 문법기능의 실현과 언어의 유형
(2) 문법기능의 보편성과 개별성
(3) 격
(4) 시제와 상
(5) 양태
(6) 서법
(7) 경어법
4.4. 담화문법
(1) 담화의 뜻
(2) 담화문법의 특징
(3) 긴밀성과 주제와 대용
5. 의미
5.1. 단어의 의미
(1) 의미와 개념
(2) 원형이론
(3) 단의어와 다의어
5.2. 구와 문장의 의미
(1) 구의 의미적 적격성
(2) 숙어
(3) 문장의 의미를 형성하는 요소
5.3. 중의성
(1) 어휘적 중의성
(2) 문법적 중의성
5.4. 부정의 범위와 강조
5.5. 전제와 함의
(1) 전제
(2) 함의
5.6. 담화의 의미
(1) 담화의 통일성
(2) 문답의 통일성
(3) 문맥에 따른 의미
6. 화용
6.1. 화자와 청자
(1) 언어사용의 물리적 조건
(2) 협력원리
(3) 함축
(4) 배경지식
(5) 공손
6.2. 화행
(1) 언어와 행동
(2) 서법과 화행
6.3. 직시
(1) 직시의 뜻
(2) 사물직시
(3) 공간직시
(4) 시간직시
(5) 인물직시
(6) 담화직시
7. 음성
7.1. 음성기관과 분절음
(1) 음성기관
(2) 분절음
(3) 음성기호
7.2. 음소
7.3. 모음
(1) 단순모음
(2) 복합모음
7.4. 자음
7.5. 초분절음
7.6. 음절
7.7. 음운현상
8. 문자
8.1. 문자의 역사와 유형
(1) 문자의 탄생
(2) 단어문자와 형태소문자
(3) 음절문자
(4) 음소문자
(5) 점자
8.2. 표기법
(1) 표기법의 뜻
(2) 한글표기법
(3) 영어 표기법
(4) 일본어 표기법
(5) 로마자표기법
9. 언어의 역사
9.1. 언어사의 서술
9.2. 언어의 분화와 계통
9.3. 어휘변화
(1) 단어의 탄생과 소멸
(2) 어형의 변화
(3) 단어의미의 변화
(4) 단어의 문법적 속성의 변화
(5) 어휘분기
9.4. 문법변화
9.5. 음운변화
9.6. 표기변화
9.7. 언어변화의 과정
10. 언어와 소통
10.1. 언어기호
(1) 기표와 기의
(2) 자의성
(3) 변별성
(4) 이중분절
(5) 단선성
(6) 통합관계와 계열관계
(7) 언어기호에 대한 언어기호
10.2. 언어와 정보
(1) 정보와 지식
(2) 언어적 정보와 비언어적 정보
(3) 기표에 담긴 정보
10.3. 소통의 모형과 요소
(1) 소통의 뜻
(2) 소통의 모형
(3) 송신자와 수신자
(4) 기호
(5) 매체
(6) 환경
10.4. 언어적 소통
(1) 언어기호의 단선성과 소통
(2) 언어적 소통의 종류
(3) 구어소통과 문어소통
(4) 표현과 이해
10.5. 비언어적 소통
(1) 준언어
(2) 시각적 소통
(3) 청각적 소통
10.6. 소통과 사회
(1) 친교를 위한 소통
(2) 소통으로서의 예술
(3) 대중소통
(4) 논평과 인용과 소문
(5) 여론
11. 언어와 심리
11.1. 언어와 사고
(1) 언어적 소통에서의 사고와 언어
(2) 개념화와 단어화
(3) 유표성
(4) 언어와 사고의 상관성
11.2. 언어능력과 언어처리
(1) 언어능력의 뜻
(2) 언어지식
(3) 언어에 관한 인지능력
(4) 언어에 관한 운동능력
(5) 언어기능별 언어능력
(6) 모어능력과 외국어능력
(7) 언어처리
11.3. 언어학습과 언어교육
(1) 모어학습과 외국어학습
(2) 구어학습과 문어학습
(3) 모어교육과 외국어교육
12. 언어와 사회
12.1. 세계의 언어
(1) 세계 언어의 현황
(2) 언어와 방언의 구별
12.2. 언어변이
(1) 지역집단에 따른 언어변이
(2) 사회집단에 따른 언어변이
(3) 상황에 따른 언어변이
12.3. 문화가 반영된 언어
12.4. 대조분석과 통번역
(1) 대조분석
(2) 통역과 번역
12.5. 언어접촉
(1) 차용
(2) 언어의 공존
(3) 언어혼합과 언어사멸
12.6. 언어정책
13. 문학의 언어
13.1. 문학의 뜻
(1) 언어예술로서의 문학
(2) 아름다운 언어표현
(3) 진실의 추구
13.2. 문학의 종류
(1) 구어문학의 탄생
(2) 문어문학의 탄생
(3) 시와 노래의 분화
(4) 서정문학과 서사문학
13.3. 허구와 가능세계
13.4. 운율
(1) 운율의 기능
(2) 압운
(3) 율격
13.5. 시점
(1) 기본 시점
(2) 시점의 이동
(3) 한국어의 심리용언과 ‘-더-’
13.6. 비유
(1) 비유의 기능과 유형
(2) 직유
(3) 은유
(4) 비유의 관습화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영한 대조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