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복지관 사례관리 공부노트 : 여러 사회복지사와 사례관리 핵심 주제를 공부한 기록과 성찰, 사례관리 사회사업 이야기

김세진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세진
서명/저자사항복지관 사례관리 공부노트 : 여러 사회복지사와 사례관리 핵심 주제를 공부한 기록과 성찰, 사례관리 사회사업 이야기 / 김세진 엮음.
발행사항서울 : 푸른복지, 2014.
형태사항iv, 566 p. : 삽화 ; 21 cm.
ISBN9788997143092
비통제주제어복지관,사회복지사,사회사업,사례관리,복지관사례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491181 361.32 김5378ㅂㄱ c.2 중앙도서관/제2보존서고/ 대출가능
2 E491180 361.32 김5378ㅂㄱ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초록

『복지관 사례관리 공부노트』는 여러 사회복지사와 사례관리 핵심 주제를 공부한 기록과 성찰, 사례관리 사회사업 이야기를 담아낸 책이다. 서너 해 동안 사례관리에 관한 연수, 강의, 공부 모임을 진행하면서 주고받은 실무자들과의 대화 내용을 정리한 글 묶음이다.

목차

목차 일부

머리말 1 

1부 생태 강점 관계 

생태 3 
과잉행동장애 8 
우울증 11 
스마트폰 문제 16 

강점 19 
문제라고 다 없애야 할까? 38 
벌레 끓는 나무를 살리는 방법 40 
영화 ‘엘 시스테마’ 41 
당사자의 강점을 찾을 수 없다? 43 
당사자의 강점을 널리 알려서 자존감 UP, 소식지 활용하기! 52 

관계 55 
회복탄력성 : 카우...

목차 전체

머리말 1 

1부 생태 강점 관계 

생태 3 
과잉행동장애 8 
우울증 11 
스마트폰 문제 16 

강점 19 
문제라고 다 없애야 할까? 38 
벌레 끓는 나무를 살리는 방법 40 
영화 ‘엘 시스테마’ 41 
당사자의 강점을 찾을 수 없다? 43 
당사자의 강점을 널리 알려서 자존감 UP, 소식지 활용하기! 52 

관계 55 
회복탄력성 : 카우아이 섬 종단 연구 56 
길고양이 ‘사라’의 이웃 관계 59 
건빵도 여럿이 먹으면 맛있는데 65 
봉사자가 아니라, ‘친구가 되어 줄게’ 68 
당사자와 인간적인 관계 70 
당사자와 인간적 만남이 비전문가적 온정주의? 74 
관계의 순서 76 
생태·강점·관계 83 

2부 사례관리 여러 주제 

사례관리 맥락 84 

사례관리 개념 : 개념 없이 실천하면, 개념 없는 일? 88 
‘사례관리’를 ‘사람관리’로 해석하면 90 
심청이 91 

욕구 : 어떤 욕구를 붙잡고, 어떻게 욕구를 합의할 것인가? 93 
새옹지마 101 
당사자 욕구에 관한 정영규 선생님 단편 105 

복지 자원 108 
이런 ‘자원’ 탐색 순서는 사례관리 실천의 윤리 114 
비공식 자원을 찾는 일은 복지관 현장에서는 불가능한 일? 117 
지나치게 가족중심으로 몰아간다? 120 

초기면접 124 
선의관악종합사회복지관 정영규 선생님의 초기면접 단편 128 

사례회의 131 
경남 거창 중증장애인 거주시설 ‘월평빌라’의 예 136 
당사자와 함께한 사례회의 예 ① : 어느 부부 이야기 138 
당사자와 함께한 사례회의 예 ② : 학생을 돕기 위해 아버지와 선생님이 함께한 사례회의 142 
당사자와 함께한 사례회의 예 ③ : 주 어르신과 어르신을 돕고자 하는 주민이 함께한 사례회의 148 
‘사례관리 대상자 선정표’를 요구받을 때 159 

사례 종료 163 
사례 종료 예시 164 
어디까지 도와야 할지 모르겠다 166 
종료에 관한 실무자들의 대화 168 

사례관리 평가와 실적 173 
외부평가를 생각하며 179 
외부평가, 이 책에서는 내려놓습니다. 183 
사례관리 하려고 하니 모두 사례관리 대상으로 보인다 184 
사례관리 외에 다른 일을 함께 맡아야 하는 상황 185 

사례관리 기록 187 
그러나 기록도 가려서 해야 합니다 192 
현실을 생각한 효율적인 이야기 형식의 과정기록 193 
사례관리 기록 예시 1 195 
사례관리 기록 예시 2, 생명의전화종합사회복지관 민야래 선생님 글 207 
몇몇 기관의 이야기 형식 기록 시도 221 

사례관리 사례집 만들기 223 
군산 지역 실무자들과 ‘사례집 만들기 위한 워크숍’ 예 232 
선의관악종합사회복지관 사례집 ‘사례관리 팀학습’ 만들기 234 
사례관리팀 실습지도 후에도 소책자 만들기 240 
사회복지사 공무원 조만선 선생님의 글쓰기 소감 242 

사례발표회 244 
당사자와 함께한 사례발표회 예시 : 2013년 선의관악종합사회복지관 사례 발표회 246 
오지영 선생님의 선의관악종합사회복지관 사례발표회 참가 소감 251 

사례관리 진행 과정 주안점 252 

사례관리 업무를 내려놓을 때 254 
문미숙 선생님의 예 : 구미에서 대구로 떠나며 사례관리 업무를 내려놓을 때 256 

적용 258 
한 가정 적용에 관한 문미숙 선생님의 답변 262 
한 가정의 의미 264 
이미 굳어진 관계에서는 266 
"내 발은 힘들지만 영혼은 평안하다우" 271 
진짜 현실 273 
사례관리팀장으로서 적용하기 276 
사례관리팀장으로 상급자를 설득할 때와 팀원을 설득할 때 287 
여전히 현실을 탓하는 이들에게 289 

3부 사례관리 실천 이야기 : 당사자의 삶과 지역사회 사람살이를 향한 사례관리 실천 사례 

기적을 꿈꾸는 보람이와 엄마의 이야기, 문미숙 안심종합사회복지관 294 
어느 부부 이야기, 정수현 김제사회복지관 306 
‘비오는 날 만나요’ 지 씨 아저씨 이야기, 정영규 선의관악종합사회복지관 325 
꿈이 현실로 유미 이야기, 원혜진 나운종합사회복지관 334 
대나무집 어르신 이야기, 이상훈 성심노인복지센터 342 
한걸음 더 유민이 엄마 이야기, 양경이 군산영유아통합지원센터 ‘시소와그네’ 346 
이 씨 아저씨 이야기, 김세진 356 
장 씨 아저씨 이야기, 문미숙 안심종합사회복지관 361 
문학청년 Y 씨 이야기, 문미숙 안심종합사회복지관 369 
문 씨 아주머니 이야기, 이선영 마포영유아통합지원센터 ‘시소와그네’ 377 
혼자 아이들 키우는 아저씨 이야기, 정수현 김제사회복지관 383 
때로는 듣기만 해도 도움이 됩니다, 임병관 본오종합사회복지관 388 
오 씨 아저씨 이야기, 김기철 금성카리타스요양원 393 
해병대 김 씨 어르신 이야기, 정영규 선의관악종합사회복지관 397 
멋쟁이 카투사 남 씨 어르신 이야기, 조동수 선의관악종합사회복지관 413 
어려움 속에서도 언제나 긍정적인 장미 이야기, 김엔지 선의관악종합사회복지관 423 
새로운 가족을 꿈꾸는 김 씨 할머니 이야기, 김봉선 선의관악종합사회복지관 435 
방 씨 할머니 이야기, 조동수 선의관악종합사회복지관 447 
오뚝이 김 씨 어르신 이야기, 정영규 선의관악종합사회복지관 456 
박 군 이야기, 김세진 464 
황 씨 아저씨 이야기, 김세진 482 

공공 현장에서 사례관리 494 
지영이 이야기, 김기범 인천기독교종합사회복지관 496 
맥가이버 할아버지 이야기, 김정란 대전시 유성구청 희망복지지원팀 511 

한계 521 

더 많은 사례관리 실천 이야기는… 522 

맺음말 : 열정과 밥벌이 사이에서 523

저자소개

저자 : 김세진

프리랜서 사회복지사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