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학생자치를 말하다 : 학생 중심으로 민주적인 학교문화 만들기

이민영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이민영
백원석
조성현
서명/저자사항학생자치를 말하다 : 학생 중심으로 민주적인 학교문화 만들기 / 이민영 ; 백원석 ; 조성현 [공]지음.
발행사항서울 : 에듀니티, 2017.
형태사항309 p. : 삽화 ; 21 cm.
ISBN9791185992327
비통제주제어학생자치,학교문화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08075 370.115 이3968ㅎ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중 2023-10-04 예약가능
(2명 예약중)
인쇄
2 E508076 370.115 이3968ㅎ c.2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중 2023-10-04
인쇄
3 E537611 370.115 이3968ㅎ c.3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예약서가비치
인쇄

초록

목차 일부

아이들이 직접 만들고 즐기는 학교로! 

『학생자치를 말하다』는 크게 4장으로 구성된 책이다. 1장에서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소극적이고 자존감이 떨어지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행복 필수 조건으로 학생자치의 중요성에 대해 밝히고, 학교 현장에서 일군 자치 사례를 소개했다. 2장에서는 학생이라는 이유로 강요당하는 반인권적인 교육 현장의 문제점과 변화의 가능성을...

목차 전체

아이들이 직접 만들고 즐기는 학교로!

『학생자치를 말하다』는 크게 4장으로 구성된 책이다. 1장에서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소극적이고 자존감이 떨어지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행복 필수 조건으로 학생자치의 중요성에 대해 밝히고, 학교 현장에서 일군 자치 사례를 소개했다. 2장에서는 학생이라는 이유로 강요당하는 반인권적인 교육 현장의 문제점과 변화의 가능성을 조망했다.

3장에서는 사례를 통한 학교폭력 실태 및 예방 대책과 함께, 최근 들어 주목을 받고 있는 ‘회복적 생활교육’의 실천 경험을 소개했다. 4장에서는 아이들 스스로 만드는 동아리 활동과 축제에서 즐겁고 행복한 학교의 모습을 제시했다. 끝으로,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자치 사례를 ‘아직 말하지 못한 이야기’로 묶었다.

목차

목차 일부

프롤로그  세 남자 이야기
이 책을 읽는 독자들께
여는 글  아이들은 학교에서 행복할까? 

1장  학교, 자치를 말하다(조성현)
학생자치에 관하여
학생들이 너무 바빠요 
자치의 시작은 교문에서부터 
회의는 지루해요 
평화로운 학교 만들기 캠프(리더십 캠프) 
교육 3주체가 함께하는 생활인권규정 개정 & 학생과 교사의 자율적 생활규범 만들기 
학생들이 기획...

목차 전체

프롤로그  세 남자 이야기
이 책을 읽는 독자들께
여는 글  아이들은 학교에서 행복할까? 

1장  학교, 자치를 말하다(조성현)
학생자치에 관하여
학생들이 너무 바빠요 
자치의 시작은 교문에서부터 
회의는 지루해요 
평화로운 학교 만들기 캠프(리더십 캠프) 
교육 3주체가 함께하는 생활인권규정 개정 & 학생과 교사의 자율적 생활규범 만들기 
학생들이 기획하는 학교 축제 & 축제를 통해 마을교육공동체 만들기 
아빠, 어디가? 
주제가 있는 학급별 체험학습
실패는 두렵지 않다 
학교, 자치와 만날 수 있을까?

2장  학교, 인권을 말하다(백원석)
학생부와의 첫 인연 
응답하라, 1999 
저 새× 또 나왔네 
미련 없이 떠나자 
마침내 학생부에서 벗어나다 
다시 돌아온 학생부
나는 중학교 부적응 교사 
학생부장, 그만두겠습니다
교문에서 배꼽인사 하는 학생부장
미친 학생부장이 되다 
학생부, 참을 수 없는 존재의 이유 
재킷 때문에 팔이 안 올라가요 
휴대폰을 어찌 하오리까? 
제대로 된 학급회의, 처음 해봐요 
빨강머리, 파랑머리는 안 되나요? 
교내 봉사, 청소 벌에서 벗어나자 
입장 바꿔 생각해봐, 교사 ㅡ 학생 역할 바꾸기 

3장  학교, 평화를 말하다(백원석)
느닷없는 인연 
‘회복적 정의’를 만나다 
‘회복적 생활교육’을 위한 첫걸음 
B의 사례를 통해서 본 회복적 생활교육 
회복적 생활교육, 학교는 어렵다?! 
회복적 생활교육의 정착을 위하여 
‘마을 공동체 평화 학교’를 지향하며 

4장  학교, 축제를 말하다(이민영)
학생 중심 축제의 서막 
수업이 끝나면 즐거운 아이들 
우리도 영화 만들 수 있어요 
최고의 무대를 만들어줄게 
‘TENTEN’에서 ‘잉큼엉큼’까지 
역시 아이들은 아이돌이 최고 
언젠가 알게 될 거야 
상상할 수 있다면, 꿈꿀 수 있다면 
노래를 불러야지 
포기할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아이들과 함께 축제 만들기 

에필로그  아직 말하지 못한 이야기

저자소개

저자 : 이민영 
저자 이민영 선생님은 소명여자중학교 교사. 10여 년 전부터 아이들과 함께 청소년 영화와 학교 축제를 만들고 있다. 여러 해 동안 학생 뮤지컬을 기획·연출하였으며, 혁신 교육을 통해 아이들이 행복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저자 : 백원석 
저자 백원석 선생님은 광수중학교 교사. ‘교문에서 배꼽인사 하는 미친(?) 학생부장’이라고 불리는 것을 좋아한다. 학교 구성원 모두 평화롭고 안전한 학교문화 속에서 행복한 삶을 살았으면 하는 바람으로 학생부장을 맡고 있다. 

저자 : 조성현 
저자 조성현 선생님은 장곡중학교 교사. 최근 수년간 학생 인권 신장과 자율적인 생활 규정 개정을 추진하고, 아이들이 주인공인 학생자치 문화 만들기에 힘을 쏟고 있다. 이민영 선생님과 함께 가톨릭대학교에서 학교폭력 예방 관련 강의를 하고 있다.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