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학술 논문 작성법

Booth, Wayne C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Booth, Wayne C.
Colomb, Gregory G.
Williams, Joseph M.
Bizup, Joseph, 1966-
Fitzgerald, William T.
양기석
신순옥
서명/저자사항학술 논문 작성법 / 부스 [외]저 ; 양기석 ; 신순옥 공역.
발행사항서울 : 휴먼싸이언스, 2017.
형태사항403 p. ; 23 cm.
원서명(The) craft of research(4th ed.)
ISBN9788993712889
일반주기 공저자: 그레고리 컬럼, 조셒 윌리엄스, 조셒 비접, 윌리엄 피츠제럴드
비통제주제어논문작성,글쓰기,학술논문,연구방법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11417 001.42 B7256c4양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중 2023-06-14 예약가능
인쇄
2 E511418 001.42 B7256c4양 c.2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중 2023-06-15
인쇄

초록

▶ 이 책은 학술논문 작성법을 다루고 있습니다. 논문작성에 대한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차 일부

제1부 연구, 연구자 그리고 독자
서 설 연구자가 되는 길 2
제 1 장 쓰면서 생각하기 11
1.1 연구는 무엇인가? 13
1.2 연구의 결과는 왜 글로 써 놓는가? 14
1.3 글의 형식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17
1.4 쓰기는 생각하기이다 19
제 2 장 독자에게 다가가기 21
2.1 독자들과 대화하기 22
2.2 저자의 역할을 이해하기 24
2...

목차 전체

제1부 연구, 연구자 그리고 독자
서 설 연구자가 되는 길 2
제 1 장 쓰면서 생각하기 11
1.1 연구는 무엇인가? 13
1.2 연구의 결과는 왜 글로 써 놓는가? 14
1.3 글의 형식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17
1.4 쓰기는 생각하기이다 19
제 2 장 독자에게 다가가기 21
2.1 독자들과 대화하기 22
2.2 저자의 역할을 이해하기 24
2.3 독자의 역할을 상상하기 27
요령 독자 이해를 위한 점검표 34

제2부 질문하기, 해답 찾기
서 설 연구과제의 계획 38
요령 집필 그룹을 만들기 41
제 3 장 연구주제에서 연구질문 찾기 43
3.1 관심사로부터 연구주제(topic) 찾기 45
3.2 주제의 폭 좁히기 49
3.3 좁혀진 주제로부터 연구질문 만들기 51
3.4 가장 중요한 질문: 그래서 어쨌다는 것인가? 57
요령 연구주제 찾기 63
제 4 장 연구질문에서 연구문제 도출하기 67
4.1 연구 문제를 이해하기 68
4.2 문제의 일반적 구조를 이해하기 72
4.3 좋은 연구문제를 찾기 83
4.4 문제를 갖고 연구하기 86
요령 초보자의 피할 수 없는 문제를 다루기 88
제 5 장 연구질문과 문헌 찾기 91
5.1 세 종류의 자료를 사용하는 방법 알기 92
5.2 21세기 도서관을 항해하기 96
5.3 인터넷으로 자료를 찾기 104
5.4 자료의 관련성과 신뢰성을 평가하기 106
5.5 예측할 수 있는 자료들을 뛰어넘기 112
5.6 연구를 진전시키기 위해 사람을 이용하기 113
요령 사람들을 자료로 이용할 때 지켜야 할 윤리 116
제 6 장 문헌자료의 사용 117
6.1 완전한 참고목록 정보를 기록하기 118
6.2 자료를 적극적으로 읽기 121
6.3 문제를 찾기 위해 읽기 123
6.4 주장을 위해 읽기 128
6.5 데이터와 지지를 위해 읽기 130
6.6 기록하기 131
6.7 자료에 주석 달기 141
요령 정상적인 불안의 순간들에 대처하라 144

제3부 논증을 제시하기
서 설 연구논증을 작성하기 146
제 7 장 좋은 논증을 만들기 151
7.1 독자와 하는 대화로서의 논증 151
7.2 주장을 지지하기 155
7.3 예상된 질문과 반대를 인정하고 수용하기 158
7.4 주장과 이유를 보장과 연결하기 160
7.5 단순한 논증에서 복잡한 논증을 세우기 163
7.6 당신의 논증을 굳게 해서 윤리성을 창조하기 165
요령 흔한 실수-기존 지식에 의존하기 166
제 8 장 주장하기 169
8.1 주장의 종류를 결정하기 170
8.2 주장을 평가하기 173
8.3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주장을 제한하기 179
제 9 장 이유와 증거 모으기 183
9.1 논증을 계획하기 위해 이유들을 사용하기 184
9.2 증거와 이유를 구분하기 185
9.3 증거와 증거를 보고하는 것을 구별하기 187
9.4 당신의 증거를 평가하기 191
제10장 수용과 반론 197
10.1 독자의 입장에서 질문하기 199
10.2 주장에 대한 대안의 예측 203
10.3 수용할 내용의 결정 204
10.4 반박에 대한 대응을 하위 주장으로 설정하기 208
10.5 인정과 대응의 어휘 210
요령 예상되는 세 개의 반론 215
제11장 보 장 219
11.1 일상생활 속의 보장 221
11.2 학술적 논증 체계의 보장 223
11.3 보장 논리의 이해 225
11.4 보장의 신뢰도 검증 226
11.5 보장을 명시해야 할 때를 아는 방법 232
11.6 보장을 통한 주장의 검증 234
11.7 다른 사람의 보장을 도전하기 237
요령 이유, 증거, 그리고 보장 241

제4부 논증의 집필
서 설 연구의 재기획 244
제12장 초안의 기획과 쓰기 247
12.1 논문의 기획 248
12.2 초안 기획안의 실패 유형 3가지 257
12.3 기획안을 초안으로 전환하기 260
요령 글쓰기 미루기와 집필 장애 264
제13장 논증체계의 정리 267
13.1 독자의 입장에서 생각하기 268
13.2 논문 구조의 수정 269
13.3 논증 체계의 수정 271
13.4 논문 구조의 수정 274
13.5 문단의 점검 277
13.6 초안을 풀어서 말해 보기 278
요령 초록 279
제14장 문헌자료의 사용 283
14.1 인용, 풀어쓰기, 그리고 요약정리의 기준 283
14.2 직접 인용을 통한 문헌의 본문 편입 285
14.3 독자에게 증거의 적합성을 설명하기 286
14.4 출처 제시의 사회적 중요성 288
14.5 네 가지의 보편적 인용 스타일 290
14.6 표절시비를 피하는 방법 292
요령 인용문의 출처 제시 300
제15장 증거 자료의 시각적 제시 305
15.1 시각적 제시와 언어적 제시의 결정 306
15.2 가장 적절한 그래픽 제시방법의 결정 307
15.3 도표, 차트 그리고 그래프의 작성 309
15.4 도표, 막대그래프, 선형 차트 등을 작성할 때 유의점 315
제16장 서론과 결론 쓰기 331
16.1 서론의 구조적 공통 요소 332
16.2 제1단계: 배경 상황을 설정한다 335
16.3 연구문제의 진술 339
16.4 제3단계: 해결책을 제시한다 346
16.5 적절한 문제 제기의 속도 348
16.6 서문의 전체 구성 350
16.7 서문을 시작하는 첫 문장 351
16.8 결론 쓰기 353
요령 제목 356
제17장 문장의 수정 357
17.1 문장 스타일의 판단 358
17.2 명확한 문장 쓰기의 첫 번째 두 원칙 360
17.3 세 번째 원칙 : 익숙한 것을 낯선 것 앞에 제시한다 374
17.4 능동태와 수동태의 선택 377
17.5 마지막 원칙 : 복합적 개념은 마지막에 380
17.6 마지막 광내기 384
요령 신속한 수정의 전략 385

제5부 최후에 고려할 몇 가지 사항들
연구의 윤리 388
교사를 위한 안내서 395

저자소개

저자 : W.부스(Wayne C. Booth)

시카고대학 영어영문학과 조지 풀번 석좌교수 역임저서:《허구의 수사학》,《즐기는 아마추어리즘과 경쟁》《웨인 부스의 핵심》(시카고대학 출판부) 

저자 : 그레고리 콜럼(Gregory G. Colomb)

버지니아대학 영어영문학과 교수이자 버지니아대학 라이팅프로그램 책임운영자이다. 글쓰기, 18세기문학, 문학이론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조셉 윌리엄스와 함께 The Little Red Schoolhouse를 이끌었다.  

역자 : 양기석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영어학을 전공하였다. 텍사스 주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에서 저널리즘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방송영화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3년 현재 동아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이다. 
옮긴 책으로는 <작가의 탄생>(2006), <학술논문의 작성>(2000), <영국의 방송재정>(1995), <문화(株): 공공의사 표현의 사유화>(1994), <세계의 방송제도>(1992) 등이 있다.  

역자 : 신순옥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영어학을 전공하였다. 남일리노이대학교 교육심리학으로 석사를, 텍사스 주립대학교 교육심리학 전공으로 박사를 받았다. 2013년 현재 동아대학교 강사이다.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