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책'의 운명 : 조선~일제강점기 금서의 사회·사상사

이중연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이중연
서명/저자사항'책'의 운명 : 조선~일제강점기 금서의 사회·사상사 / 이중연 지음.
발행사항서울 : 혜안, 2001.
형태사항560 p. ; 23 cm.
ISBN8984941387
9788984941380
서지주기참고문헌(p. 524-533), 색인(p. 534-560) 포함
비통제주제어금서,조선금서,사회사상사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14527 098.1 이775ㅊ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2 E514528 098.1 이775ㅊ c.2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지금은 고리타분한 책으로만 보이는 <소학>도 한때 금서(禁書)였다. '신분제를 위협하는 내용이 담긴 홍길동전이나 이씨왕조체제를 부정하는 정감록도 아닌 <소학>이 웬 금서?' 하겠지만, 당시의 <소학>은 요즘 표현으로 치면 급진운동권(조광조)의 '이념서'였다. 

이처럼 금서는 단순히 책 '한 권'의 문제가 아니었다. 금서 처분은 지배자들이 자신들의 지배...

목차 전체

지금은 고리타분한 책으로만 보이는 <소학>도 한때 금서(禁書)였다. '신분제를 위협하는 내용이 담긴 홍길동전이나 이씨왕조체제를 부정하는 정감록도 아닌 <소학>이 웬 금서?' 하겠지만, 당시의 <소학>은 요즘 표현으로 치면 급진운동권(조광조)의 '이념서'였다.

이처럼 금서는 단순히 책 '한 권'의 문제가 아니었다. 금서 처분은 지배자들이 자신들의 지배질서와 권력에 반하는 책들을 금지함으로써 영향력을 강화하려 한 일종의 통제 수단이었다. 중국 진나라의 분서갱유, 일제강점기 국어와 국사책에 대한 금서조치, '읽지 못하는 책'이 수두룩했던 우리의 70~80년대 등 금서의 문제는 늘 역사 속에 존재해 왔다.

<'책'의 운명>은 이러한 '금서'를 통해 조선시대부터 일제 강점기까지의 사회, 사상사를 살핀 책이다. 지은이는 조선시대 불교와 도교 서적, 양명학과 천주교 서적 등이 당시의 정치적, 사상적 상황에 따라 어떻게 간행되고 금지되었는지, 그리고 대한제국기와 일제강점기의 금서정책이 어떻게 이뤄졌는지 등 그 과정뿐 아니라, 그 이면의 사상과 권력투쟁에 대해서도 역사적 맥락에서 자세히 설명해 나간다.

약간 학술적인 느낌이 없진 않지만, 금서를 통해 지배세력의 문화적·사상적 독점과 그 해체 과정을 설명해내는 지은이의 노력이 돋보인다.

목차

목차 일부

1부 조선전기의 정치. 사상과 금서
2. 불교와 도교 
3. 정치 
4. 소설. 패관잡기 
5. 서적(문화)의 전파자 

2부 조선 후기의 정치. 사상과 금서
6. 양명학 
7. 정치 
8. 서학(천주교) 
9. 소설 
10. 민중소설 
11. 서적(문화)의 생산. 전파자 

3부 대한제국 ~ 일제 강점기의 출판운동과 금서
12....

목차 전체

1부 조선전기의 정치. 사상과 금서
2. 불교와 도교 
3. 정치 
4. 소설. 패관잡기 
5. 서적(문화)의 전파자 

2부 조선 후기의 정치. 사상과 금서
6. 양명학 
7. 정치 
8. 서학(천주교) 
9. 소설 
10. 민중소설 
11. 서적(문화)의 생산. 전파자 

3부 대한제국 ~ 일제 강점기의 출판운동과 금서
12. 대한제국기의 출판운동 
13. 대한제국기 일제의 출판 금압정책과 금서 
14. 일제강점기 일제의 서적 금압 정책과 금서(1) : 1910~20년대 
15. 일제강점기 일제의 서적 금압 정책과 금서(2) : 1930~40년대 
16. 조선~일제강점기 금서에 대한 두가지 이해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1960년 서울 출생. 연세대학교 사학과와 같은 대학 사학과 대학원을 졸업했다. 저서로는 <신대한국 독립군의 백만용사야>가 있다.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