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글 읽는 뇌 : 읽기의 과학과 진화

Dehaene, Stanislas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Dehaene, Stanislas
이광오
배성봉
이용주
서명/저자사항글 읽는 뇌 : 읽기의 과학과 진화 / 스타니슬라스 드앤 저 ; 이광오 ; 배성봉 ; 이용주 공역.
발행사항서울 : 학지사, 2017.
형태사항430 p. : 삽화, 표 ; 24 cm.
원서명Reading in the brain : the science and evolution of a human invention
ISBN9788999712807
서지주기미주(p. 367-384), 참고문헌(p. 385-422), 색인(p. 423-430) 포함
비통제주제어읽기,읽기뇌,뇌과학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18922 418.4019 D322r이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중 2023-04-05
인쇄
2 E518923 418.4019 D322r이 c.2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글 읽는 뇌』는 읽기의 심리학/신경과학을 소개하는데, 세상의 모든 문자는 외견상 서로 매우 다르지만 처리(=이해) 방식은 대동소이하다고 설파한다. 뇌에서 문자를 처리하는 영역은 좌반구 후두-측두부에 자리한, 이른바 ‘문자상자’라고 하는 곳인데, 원래 패턴 인식을 담당하던 부위가 문자 처리에 전용된 것이다. 저자는 이런 방식의 신경재활용이 읽기뿐 아니라 다...

목차 전체

『글 읽는 뇌』는 읽기의 심리학/신경과학을 소개하는데, 세상의 모든 문자는 외견상 서로 매우 다르지만 처리(=이해) 방식은 대동소이하다고 설파한다. 뇌에서 문자를 처리하는 영역은 좌반구 후두-측두부에 자리한, 이른바 ‘문자상자’라고 하는 곳인데, 원래 패턴 인식을 담당하던 부위가 문자 처리에 전용된 것이다. 저자는 이런 방식의 신경재활용이 읽기뿐 아니라 다른 문화 영역에도 적용된다는 신경재활용 가설을 주장한다.

목차

목차 일부

서론: 새로운 읽기 과학 
 뉴런에서 교육으로
 뉴런과 문화
 글 읽는 원숭이의 불가사의
 생물적 단일성 대 문화적 다양성
 독자를 위한 안내

제1장. 우리는 어떻게 글을 읽는가 
 눈: 조잡한 스캐너
 불변성의 추구
 차이의 증폭
 단어는 나무다
 묵독
 소리의 한계
 철자법의 숨은 논리
 투명한 철자법은 불가능하다
 읽기의 두 가지 경로
 내 마음속의...

목차 전체

서론: 새로운 읽기 과학 
 뉴런에서 교육으로
 뉴런과 문화
 글 읽는 원숭이의 불가사의
 생물적 단일성 대 문화적 다양성
 독자를 위한 안내

제1장. 우리는 어떻게 글을 읽는가 
 눈: 조잡한 스캐너
 불변성의 추구
 차이의 증폭
 단어는 나무다
 묵독
 소리의 한계
 철자법의 숨은 논리
 투명한 철자법은 불가능하다
 읽기의 두 가지 경로
 내 마음속의 사전: 심성어휘집
 악마들의 의사당
 병렬적 읽기
 능동적 글자 해독
 읽기에서 협력과 경쟁
 행동에서 뇌 메커니즘으로

제2장. 뇌 속의 문자상자 
 조셉 쥘 데저린의 발견
 순수실독증
 밝혀진 병변
 현대적 병변 분석
 글 읽는 뇌의 비밀
 읽기의 보편성
 시각적 선호의 피질 분포
 읽기 속도
 뇌 속의 전극
 위치 불변성
 역하 읽기
 문화는 어떻게 뇌를 만드는가
 중국어 독자의 뇌
 일본의 두 가지 문자
 문자상자를 넘어서
 발음과 의미
 철자에서 발음으로
 의미로 가는 길
 대뇌 속의 만조
 뇌는 문화적 다양성을 제한한다
 읽기의 진화

제3장. 글 읽는 원숭이 
 원숭이와 인간에 대하여
 대상을 인식하는 뉴런
 할머니 뉴런
 원숭이 뇌 속의 알파벳
 문자 원형
 모양 습득
 학습 본능
 신경 재활용
 문화의 탄생
 바이그램 뉴런
 신경 단어 나무
 얼마나 많은 뉴런이 필요할까
 읽기 피질의 시뮬레이션
 읽기와 피질 편향성

제4장. 문자의 발명 
 표기 체계의 보편적 특징
 표기 체계의 황금 분할
 인공적 기호와 자연적 형태
 선사시대의 문자 원형
 산수에서 문자로
 그림문자의 한계
 알파벳: 대약진
 모음: 읽기의 어머니

제5장. 읽기 학습 
 미래 독자의 탄생
 읽기의 세 단계
 음소 인식
 자소와 음소: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철자 단계
 어린 독자의 뇌
 문맹자의 뇌
 읽기의 반대 급부
 문자가 색깔을 가질 때
 신경과학에서 교육으로
 읽기 전쟁
 전체 단어 읽기의 신화
 전체 언어법의 비효율성
 교사를 위한 제안

제6장. 난독증의 뇌 
 난독증은 무엇인가
 음운적 문제
 난독증의 생물학적 단일성
 유력한 용의자: 좌반구 측두엽
 뉴런 이동
 난독증 생쥐
 난독증의 유전
 난독증의 극복

제7장. 읽기와 대칭성 
 동물의 좌우 혼동
 진화와 대칭
 대칭 지각과 뇌의 대칭성
 오턴 박사의 후계자들
 대칭적 뇌의 장단점
 단일 뉴런 대칭성
 대칭적 연결
 숨어 있는 대칭 표상
 거울 깨기
 깨어진 대칭성 … 또는 숨은 대칭성?
대칭성, 읽기, 뉴런 재활용
 거울 난독증의 놀라운 사례

제8장. 뉴런 문화를 향하여 
 읽기 패러독스의 해결
 문화적 형태의 보편성
 신경 재활용과 대뇌 모듈
 문화 보편적 특성들
 왜 인간은 문화를 가진 유일한 종인가
 인간 고유의 가소성?
마음 읽기
 전역적 신경 작업공간

결론: 읽기의 미래

저자소개

저자 : 스타니슬라스 드앤(Stanislas dehaene)

수학과 심리학을 공부한 뒤 인간의 뇌에서 언어와 숫자를 처리하는 과정에 관한 학문인 인지신경과학을 연구하는, 세계에서 가장 활동적인 연구자가 되었다. 프랑스 인지신경촬영연구소(SACLAY)의 소장, 프랑스의 대표적인 고등교육기관이자 연구기관인 콜레주 드 프랑스(College de France)의 실험인지심리학 교수 등으로 재직 중이며, 프랑스 학술원과 바티칸 과학원의 회원이다. 아울러 뇌의식에 대한 훌륭한 연구들을 진행해온 이 분야의 저명한 과학자이기도 하다. 과학 전문지에 상당히 많은 글들을 발표했으며, 《수감각(The Number Sense)》과 《뇌속의 독서(Reading in the Brain)》를 집필했다.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